원자력과 환경에 대해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자력과 환경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자력에 대해서
(1) 원자력의 원료
(2) 원자력 발전의 원리
(3) 발전용 원자로의 종류
(4) 한국원자력연구소는?

2. 원자력의 필요성
(1) 연료의 공급 안정성
(2) 경제성
(3) 연료의 청정성
(4) 관련 산업의 육성

3.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 방향
(1) 우리나라의 원자력 현황
(2)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와 주변 환경
(3) 세계 원자력 발전소 현황

4. 원자력의 폐해
(1) 방사능 관련
(2) 냉각수에 의한 피해
(3) 원전 사고

5.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1) 우리 나라는 앞으로도 원자력 발전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 인가?
(2) 원자력 대신 태양에너지나 다른 대체 에너지를 이용

6. 원자력과 환경의 관계
(1) 해양환경의 피해
(2) 방사성으로 인한 인간의 피해
(3) 폐기물이 주는 피해
(4) 원자력 발전은 지구환경개선에 이바지한다고 할 수 있다.

7. 원자력에 대한 나의 견해

본문내용

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안으로 원자력발전을 계속 가동해야하는지 아니면 다른 대체에너지를 개발해야 될지 고민 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이 원자력에 의존할려고 한다는 것을 에너지관련 공공기관 사이트에 들어가면서 알 수가 있었습니다.
최근에 일어났었던 우리나라의 부안의 원자력 발전소의 폐기물 처분장 부지선정을 둘러싸고 정부와 지역주민 간의 갈등이 우려할 만한 수준에 달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현재 18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앞으로 10년 후에 거의 두 배 가까이 늘리려 하는 정부로서는 이와 함께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핵폐기물을 처분하는 시설을 하루빨리 건설해야만 현재의 핵 발전 중심 전력 정책을 계획대로 밀고나갈 수 있을 수 있지만, 처분장 후보지역 주민들은 현재의 핵폐기물도 문제지만, 바로 정부의 대대적인 원자력 확대정책 때문에라도 핵폐기물 처분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금 처분장을 수용하면 앞으로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쏟아져 나올 핵폐기물을 모두 받아들여야 하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지역을 완전히 황폐화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주민들은 또한 자기들은 지금까지 원자력발전의 혜택을 입은 것이 거의 없는데, 그럼에도 그 찌꺼기인 핵폐기물을 떠맡는다는 것은 이치에 조금도 닿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고 영광이나 울진 같이 원자력발전소가 4-6개나 있는 곳이 그런대로 발전한 것도 아니었고, 주민들은 예나 마찬가지로 어업이나 농업을 하면서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으며, 그곳에서 생산되는 전기도 주민들을 위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원자력발전의 혜택은 지역 주민이 아니라 오히려 대도시에서 자기들이 쓰는 전기가 어디에서 나오는지도 모르고 사무실, 공장, 가정의 에어컨을 돌리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입는다고 할 수 있고, 원자력의 혜택을 받은 것도 없고, 앞으로 핵폐기물의 항상적인 위험 속에서 살게 될지 모른다는 지역주민들의 염려를 고려하면 주민들의 저항은 당연한 것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보듯이 원자력발전소의 한 가지 골칫거리인 폐기물 처분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핵폐기물 처분장을 찾지 못하고, 이것이 원자력발전의 가동을 계속할 수 없게 만들고, 그 결과 전력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이는 근본적으로 에너지문제를 대하는 정부의 자세가 너무 굳어져있기 때문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정부에서 지금까지 그랬던 것과 같이 앞으로도 원자력과 화석연료 이외의 대안은 없다는 생각을 고수하면, 핵폐기물 문제는 결코 해결할 수 없을 것입니다. 원자력발전을 계속 확대하는 한 핵폐기물은 점점 더 많이 나오고 이렇게 해서 쌓여가는 핵폐기물을 처분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대안은 없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레포트의 세계 원자력발전 현황을 보면 원자력을 자꾸 줄어나가는 방법으로 나가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유럽 국가들의 예는 원자력을 하지 않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점을 알 수가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 영국 등 대부분의 원자력발전을 하던 나라가 원자력발전소를 이미 완전히 폐쇄했거나, 점진적으로 폐쇄하거나, 잠정적으로 원자력발전을 확대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대신에 이들 국가는 태양에너지, 풍력, 조력 같은 재생가능 에너지를 적극 개발하는 길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미 풍력과 태양에너지는 상당한 양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독일에서 풍력발전이 공급한 전력은 전체 전력의 거의 5%에 달한다는 사례를 접해보면서, 이렇게 원자력을 포기하더라도 대안은 이미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정부에서도 원자력만을 고집하지 않고 시야를 넓혀 대안을 찾아나간다면 원자력발전을 장기적으로 줄이면서 핵폐기물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아무튼 원자력은 아직까지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무해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는 대체에너지가 나오고 정책으로 되기 전까지는 가장 효과적인 에너지자원임에는 틀림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가 시간이 지나고 점차 발전함에 따라 그에 따른 에너지의 수요도 계속 증가하게 되기 떠문에 이런 점에서 볼 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도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그에 따른 환경의 피해도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에너지 수요의 변화와 앞으로의 대체에너지 개발을 고려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은 신중하고도 세밀한 계획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현재 가동 중인 발전소도 앞에서 언급한 방사능이나 원전사고, 그리고 냉각수의 피해가 나타나지 않도록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원자력이 무조건 나쁘다는 우리 모두의 잘못된 선입관을 버린다면 또한 타 에너지원과 잘 조합해서 사용한다면 원자력은 우리에게 정말 소중한 자원일 것입니다. 두서도 맞지 않는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이나마 저의 의견을 말 할 수 있어 나름대로 이번 레포트를 통해 제가 생각하고 있는 원자력에 대한 의견이 어떤지 알 수있었습니다.
(교수님에게 드리는 글) 남은 강의시간 동안 더 좋은 강의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시간에 뵙겠습니다.
8.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과학기술부
www.most.go.kr
한국원자력연구소
www.kaere.re.kr
원자력환경관리센터 websys.kaeri.re.kr
연구개발정보센터
www.kordic.re.kr
한국전력공사 전력 연구원
www.kepri.re.kr
한국전력공사
www.kepco.co.kr
한국전력기술
www.kepec.co.kr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ww.kist.re.kr
한국과학기술원
www.kaist.ac.kr
에너지관리공단
www.kemco.or.kr
한국에너지기술원
www.kier.re.kr
알기쉬운 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2001년 문영수외 공역
지구환경과학 교양자료(원자력) 김기범 교수님
  • 가격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12.1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