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폐증의 정의
2. 자폐증 원인
3. 자폐아의 특징
4. 자폐아의 행동적 유형
5. 자폐아의 치료와 교육적 접근

Ⅲ. 결론

본문내용

치료자가 어떤 물건의 이름을 말한다. 몇 가지 이름들이 학습되면 이미 학습한 물건과 더불어 새로운 물건이 제시되어 그 둘을 구분할 수 있게 가르친다. 다음에는 간단한 부탁을 하는 문장을 가르친다. 능력이 향상되면 언어 자체가 강화 자극이 되며 외적 강화와 보조적인 도움은 차츰 없어진다.
② 비적응적 행동의 감소
스스로를 자극하는 행동, 기이한 말소리, 공격성, 자해 행동 등은 사회적 관계와 학습을 방해할 뿐 아니라 자폐 아동 자신에게 직접적인 상해를 입히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법들이 적용되었는데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한 단일 피험자 연구들이 있었다.
ex) 자해 행위
- 반복적인 자해 행동(self-injurious behavior: SIB)는 상동증적 반복 행동과 약한 상관을 나타낸다. 동기 평가 척도(Motivation Assesment Scale)는 관심, 구체적 강화, 회피, 감각 피드백이 SIB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기 좋은 평정 도구이다. 전체적으로 자폐증이 있는 사람의 SIB와 기타 부적응 행동을 치료하는 데 큰 진전이 있다.
(3) TEACCH
- TEACCH는 '자폐증 및 그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아동의 치료와 교육'을 의미하는 Treatment and Education of Autistic and related Communication handicapped CHildren의 머리 글자를 딴 것이다. TEACCH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평가되었는데 예컨대 치밀하게 구조화된 조작 학습 훈련을 비지시적이고 정신분석학적인 놀이치료와 비교한 결과, 구조화된 방식이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평가는 부모 교육의 효과 및 TEACCH에 대한 부모들의 긍정적인 태도가 입증되었다.
TEACCH 치료 프로그램에서 공유하는 가치들
- 자폐증의 특성은 전문적인 이론보다는 관찰을 통해 이해한다.
- 부모와 전문가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아동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고 장애를 고려한 환경 시설을 갖추면 아동 적응이 향상된다.
- 개별화된 치료의 평가는 공식적인 평가 도구나 비공식적 관찰에 의해 이루어진다.
- 인지 및 행동 이론을 우선한다.
- 장애를 인정하는 것과 기술이 향상되는 것은 함께 이루어진다.
- 총체적 접근에서는 상황 전체를 다룬다.
-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평생 서비스가 중요하다.
(4) LPDAC(The Learning Program for Development The Autistic Child) 프로그램
- 치료교육에 적용되는 LPDAC(The Learning Program for Development The Autistic Child) 자폐아동 치료교육프로그램은 자폐아동의 외현상으로 나타나는 행동문제만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폐아동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접근하여 해결하고자 만들어졌다. 자폐아동의 다양한 문제들은 근본적으로 아동의 인지결함의 문제로 보고 인지치료와 학습 그리고 교육을 통해 인지발달을 돕도록 함으로써 학업적응능력과 사회적응능력을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① 인지치료
대부분의 자폐아동의 경우 자폐증의 원인이 기질적인 것이며 선천적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주의, 표상, 심상을 형성 및 발달시킴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과 세상을 지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인지치료과정에서는 아동이 지각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발달시킵니다.
② 언어치료
아동은 스스로 개념을 획득하고 획득된 개념들을 언어로서 맥락화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장이해와 문장표현이 확장되어집니다. 특히, 언어의 문법체계를 형성함으로써 언어를 의미 있게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언어치료과정에서 아동이 언어를 다루는 인지능력을 향상시킵니다.
③ 행동치료
자폐아동의 과격한 행동과 특정한 것에 대한 집착 그리고 자기몰입과 같은 이상행동 등의 증후적 행동반응을 치료를 통해 현재의 환경을 적절히 지각하고 반응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 시켜 줌으로써 행동을 지각하고 스스로 절제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한 행동양식으로 변화
시킵니다. 또한 동일시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타인의 행동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역할기능과 인격을 내제화하여 사회성을 발달시키도록 합니다.
(5) 이외의 구체적 치료 및 교육방법
자폐증의 재활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치료/교육 방법이 있으며, 이것들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며 실시되고 있다.
① 놀이요법
② 행동수정 요법
③ 특수 교육
④ 언어치료
⑤ 부모상담
Ⅲ. 결론
발달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선척적과 후천적의 양론이 서로 다르지만 중요한건 자폐아동의 치료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주 관심사이다. 아동의 치료 교육은 의학면이나 교육면에서는 높이 인정되고 있지만 자폐 아동들은 사회 정서적인 문제가 교육적이고 의료적인 문제 보다 더 절실하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어린 시기에 부모가 돌보고 양육하는 문제에서 사회 정서적인 문제가 다른 아동보다 더 심각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각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조기에 치료 교육하면 매우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아동이 자율적으로 감각 손상을 보상 할 수 없기 때문에 보고, 듣고, 움직이는데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교육과 치료는 발달장애아동을 치료하는 한 과정으로 반드시 전문가, 부모, 자폐아동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1. 제4판 아동기행동장애, 시그마프레스, 2003.
2. 자폐아와 발달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지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3. 박옥희, 장애인 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1999.
4. 자폐아 행동의 이해와 대처방법, 하나출판사, 2002
5. 사회복지 대백과 사전,나눔의 집
5. 자폐 아동 교육, 이승국 1998
5. <
http://cafe.naver.com/yabbab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
=33>
6. 자폐증 클리닉 센터.<
http://autismcenter.or.kr/index.htm
>
7. 신석호 소아청소년 정신과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2.1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