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의 개요 및 구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CM의 개요 및 구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SCM(SEPPLY CHIAN MANAMENT)개요 및 구축
1. SCM의 개요
2. SCM의 구축

Ⅱ. SCM의 사례
1.유통정보화(SCM), 국내 유통업계에 본격 확산
2.대리점 등 중소유통업체의 e-비즈니스 진출 지원 추진
3.한국을 아시아 B2B의 중심축으로 만든다
4.하나의 테그로 비용줄였다(신영와코루&롯데백화점)

본문내용

다.
대형 유통업체가 먼저 나서야 | 의류업체는 납품하는 유통업체의 태그를 일일이 따로 보관해야 한다. 대형 유통업체가 KAN-code를 도입할 경우 의류업체는 대형 유통업체에 대해서는 KAN-code 하나만을 DB화 해 놓으면 된다. 또한, 대형유통 업체에 납품하는 물량이 크므로 자연스레 자사 제품에도 KAN-code를 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중소 유통업체들도 KAN-code를 도입하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해 신영와코루의 오세헌 전산부장은 납품하는 의류업체들로서는 유통업체가 KAN-code를 도입하라고 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자원부 역시 대형 유통업체들에게 KAN-code를 도입할 것을 독려하고 있으며, 이번 의류, 제조 QR실무위원회 구성에도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이 참석토록한데에는 한국섬유산업연합회와 한국유통정보센터의 숨은 뜻이 있었다.
공동의 상품 DB센터 구축 | 의류정보의 DB 구축을 모든 유통업체, 제조업체가 각각한다면 막대한 비용이 소모될 것은 불보듯 훤한일이다. 때문에 연세대학교의 천종숙 교수는 한국유통정보센터 등의 공공기관이 나서서 상품 DB 센터를 구축할 것을 제안한다. 천 교수는 섬유산업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표준화된 정보의 도입이 필수적이라는 공감대는 이미 형성된 것으로 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섬유산업체 전체가 기존 시스템을 포기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DB 센터를 구축하고 각사의 시스템들을 여기에 연동시키거나 둘 중의 하나라고 강조한다. DB센터를 구축해 각사의 시스템을 연동시키는 일이 훨씬 가능한 일임은 틀림없다.
4. 시사점
롯데백화점은 2001년 5월 2차 시범사업의 오퍼레이팅 결과에 따라 KAN-code를 도입할지 말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것이 전사적으로 도입되면 매장정보 등을 노트북을 통해 입력하던 불필요한 업무가 사라질 것이다. 유통 자체의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과 함께 의류업체의 정보화 노력이 함께 만났다는데서 이번 SCM 프로젝트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IT 도입과 이를 바탕으로 한 표준화라는 문제의식의 공유와 함께 다른 산업에 비해 뒤쳐진 의류 및 유통의 정보화에 관련 업계 전체가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한편, 의류 제조유통업체(Retailer↔Apparel)간 QR 제2차 시범사업이 끝나면, 국내 의류부문 유통정보화를 추진하기 위한 기반 정보기술(EAN-13코드, EDI) 및 QR 시스템 성공사례를 발굴할 것으로 보이며, 롯데백화점은 QR 시스템 도입 후 매출증가율이 30%, 재고감소율 25%, 재고회전율 30% 정도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용어설명
EAN/UCC 시스템
상품, 서비스, 로케이션 등 유통공급체인 구성요소에 대한 신속유일한 정보 처리 및 교환을 위해 개발된 다산업용 국제식별표준으로 표준바코드(코드+심벌)와 표준 EDI 전자문서를 말한다.
EAN/UCC-128
EAN/UCC-128은 업종, 업태에 관계없이 물류를 취급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지 사용가능한 표준코드로 박스, 팔렛트, 콘테이너와 같은 물류단위에 제조업체, 물류센터, 유통업체 등에서 각 업체간 또는 업체내부에서 물류관리를 위해서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설계된 국제 표준물류바코드이다.
CAO
자동발주시스템(CAO : Computer Assisted rdering)은 고객에 대한 반응과 효율적인 상품보충 측면에서 상당한 잠재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POS(Point of Sale)데이터와 상품보충 과정을 연계함으로써 더 적은 비용으로 보다 한정된 판매공간에서의 상품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SN
사전납품통지(ASN : Advanced Shipping Notice)는 공급업체에서 상품의 납품내역을 유통업체에게 EDI를 통해 사전에 통보함으로써, 상품의 납품 및 검수업무 처리시간을 절감하고 나아가 대금결제의 정확성을 확보시킴.
EAN-13
백화점, 할인점, 편의점 등 일반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표기된 국제표준바코드로써 국내에서는 KAN-code(Korean Article Number)로 널리 불린다. 소매점 POS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며 신속정확한 체크아웃처리, 판매관리재고관리수발주관리 등의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신영와코루
신영와코루는 비너스라는 대표 브랜드로 더 잘 알려진 연간1,200억 정도의 매출을 내고 있는 속옷생산전문업체이다. 비너스외에도 고급 브랜드인 와코루, 할인점 전문 브랜드인 아르보, 남성 브랜드 트레노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일본 NEC사의 ACOS 사용하던 신영와코루는 시스템이 낡아서 늘어난 정보를 수용하기 어려워 93년 12월 후지쯔의 M1006으로 교체하고95년 KAN-cod 도입해 정보화에 발을 내딛었다. 현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경영환경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6월 LG-EDS에 의해 C/S환경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올해5월 완료예정이다. 올 IT 예산은 25억.
SCM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것
■ 롯데백화점으로 납품하기 위한 태그의 수작업이 사라졌다.
■ 롯데백화점만을 위한 DB가 사라졌다.
■ 롯데백화점의 매입정보를 미리 알 수 있었다.
■ 신뢰관계가 구축되었다.
■ 섬유 B2B 및 지식관리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과 롯데마그넷으로 불리는 유통전문업체이다. 롯데마그넷은 지난해 제일제당, 오뚜기, 유한킴벌리, LG생활건강과 함께 SCM프로젝트를 추진하여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뤘으며, 롯데백화점은 2번 걸친 BPR 작업 끝에 CRM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기존의 DB마케팅팀을 CRM추진팀으로 바꾸고, CRM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의 IT 예산 300억이며 이중 QR과 관련해 투자될 금액은 60억이다.
SCM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것
■ 신영와코루를 위한 태그를 따로 발행하지 않아도 된다.
■ 이중 검품작업이 사라졌다.
■ 신뢰관계가 구축되었다.
■ 전사적 KAN-code 도입시 발생하게 될 문제에 미리 대처할 수 있었다.
■ 상품공급업체를 고려한 정보화의 가닥을 잡을 수 있었다.
출처 : CIO(경영전문잡지)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2.2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2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