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습 목표]
[시험 장치 및 기구]
[안전 및 유의 사항]
[실습 순서]
⒧ 다짐 시험 방법의 종류
⑵ 시료의 준비 방법 및 사용 방법
⑶ 시험 방법의 선택
⑷ 시료의 준비
⑸ 시험 방법
[관계 지식]
1.결과의 정리
⑴ 건조 단위 무게의 계산
⑵ 다짐 곡선
2. 결과의 이용
⑴ 다짐 시공에의 이용
⑵ 상대 밀도
⑶ 다짐 에너지(Ec)
⑷ 포화 상태의 건조 단위 무게
⑸ 토질에 의한 다짐 곡선의 해석
[시험 장치 및 기구]
[안전 및 유의 사항]
[실습 순서]
⒧ 다짐 시험 방법의 종류
⑵ 시료의 준비 방법 및 사용 방법
⑶ 시험 방법의 선택
⑷ 시료의 준비
⑸ 시험 방법
[관계 지식]
1.결과의 정리
⑴ 건조 단위 무게의 계산
⑵ 다짐 곡선
2. 결과의 이용
⑴ 다짐 시공에의 이용
⑵ 상대 밀도
⑶ 다짐 에너지(Ec)
⑷ 포화 상태의 건조 단위 무게
⑸ 토질에 의한 다짐 곡선의 해석
본문내용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실내 다짐 시험의 이용으로서는 다음과 같다.
㈎ 각종 흙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다지기 어려운 흙인가 아닌가를 상호 비교한다.
㈏ 현자의 다짐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사용한다.
㈎는 다짐 시험 결과를 이용한 흙의 분류, 판별의 한 수법이라 말할 수 있고, 곡선의 형상에서 경험적으로 현장 시공상의 문제점도 관련 시킬 수가 있다.
㈏는 도로나 철도 등의 성토, 노상, 노반, 휠댐 등의 다짐 시공에 있어서, 그 다짐도는 다짐 시험의 최대 건조 단위 무게에 대한 다짐 후의 건조 단위 무게와의 비, 즉
Cd=
여기서, Cd: 다짐도(%)
γdf: 다짐 후의 현장 건조 단위 무게(g/cm³)
γd max: 실험실의 다짐 최대 건조 단위 무게 (g/cm³)
을 지정할 때에 사용된다.
⑵ 상대 밀도
흙의 다짐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 상대 밀도(Dr %)가 있으며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상대밀도를 계산하기 위해 공극비를 측정하는 것은 건조 단위 무게를 계산하는 것보다 어렵기 때문에 보통 건조 단위 무게를 이용하여 상대 밀도를 계산한다.
Dr=
=
여기서, Dr: 상대 밀도(%)
e max: 흙이 가장 느슨한 상태에 있을 때의 공극비
e min: 흙이 가장 조밀한 상태에 있을 때의 공극비
rd min: 흙이 가장 느슨한 상태에 있을 때의 건조 단위 무게(g/cm³)
e: 구하고자 하는 다짐 상태의 공극비
rd: 구하고자 하는 다짐 상태의 건조 단위 무게(g/cm³)
상대 밀도는 일반적으로 점성이 작은 사질토에 이용되며, 다짐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Dr=0~0.33 느슨한 상태
Dr=0.33~0.70 보통 상태
Dr=0.7~1.00 조밀한 상태
⑶ 다짐 에너지(Ec)
Ec=
여기서, WR:래머의 무게(Kg)
H: 낙하 높이(cm)
NB: 1층에 대한 낙하 횟수
NL: 다짐 층수
V: 몰드 부피(Cm³)
다짐 에너지가 너무 크면 다짐 상태가 오히려 나빠지는 데 이를 과도 전압이라 한다.
⑷ 포화 상태의 건조 단위 무게
rd sat=
여기서, rd sat: 100% 포화되었을 때의 건조 단위 무게(g/cm³)
Gs: 흙의 비중
rw: 물의 단위 무게 (g/cm³)
Sr: 포화도(%)
⑸ 토질에 의한 다짐 곡선의 해석
통일 분류에 따른 최대 건조 단위 무게와 최적 함수비, Wopt와의 관계 곡선이 그림 3 에 나타나 있다.
㈎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높은 흙일수록 최적 함수비가 낮다.
㈏ 입도가 좋은 사질토일수록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높으며, 다짐 곡선이 뾰족 하다. 또 세립토일수록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낮으며 다짐 곡선이 평편하다.
㈐ 모래일지라도 입도가 나쁜 것은 최대 건조 단위 무게는 낮고, 다짐 곡선이 평편하여 최대값이 확실하지 않을 것이 많다.
㈑ 화산회질 점성토는 극단으로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낮고 최적 함수비가 높다. 시험전 시료의 건조 정도에 따라 별개의 다짐 곡선이 되어버린다. 또, 자연 함수비에서 함수비를 저하시키면서 다짐을 행하여 얻은 다짐 곡선과 전혀 다른 곡선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실내 다짐 시험의 이용으로서는 다음과 같다.
㈎ 각종 흙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다지기 어려운 흙인가 아닌가를 상호 비교한다.
㈏ 현자의 다짐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사용한다.
㈎는 다짐 시험 결과를 이용한 흙의 분류, 판별의 한 수법이라 말할 수 있고, 곡선의 형상에서 경험적으로 현장 시공상의 문제점도 관련 시킬 수가 있다.
㈏는 도로나 철도 등의 성토, 노상, 노반, 휠댐 등의 다짐 시공에 있어서, 그 다짐도는 다짐 시험의 최대 건조 단위 무게에 대한 다짐 후의 건조 단위 무게와의 비, 즉
Cd=
여기서, Cd: 다짐도(%)
γdf: 다짐 후의 현장 건조 단위 무게(g/cm³)
γd max: 실험실의 다짐 최대 건조 단위 무게 (g/cm³)
을 지정할 때에 사용된다.
⑵ 상대 밀도
흙의 다짐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 상대 밀도(Dr %)가 있으며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상대밀도를 계산하기 위해 공극비를 측정하는 것은 건조 단위 무게를 계산하는 것보다 어렵기 때문에 보통 건조 단위 무게를 이용하여 상대 밀도를 계산한다.
Dr=
=
여기서, Dr: 상대 밀도(%)
e max: 흙이 가장 느슨한 상태에 있을 때의 공극비
e min: 흙이 가장 조밀한 상태에 있을 때의 공극비
rd min: 흙이 가장 느슨한 상태에 있을 때의 건조 단위 무게(g/cm³)
e: 구하고자 하는 다짐 상태의 공극비
rd: 구하고자 하는 다짐 상태의 건조 단위 무게(g/cm³)
상대 밀도는 일반적으로 점성이 작은 사질토에 이용되며, 다짐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Dr=0~0.33 느슨한 상태
Dr=0.33~0.70 보통 상태
Dr=0.7~1.00 조밀한 상태
⑶ 다짐 에너지(Ec)
Ec=
여기서, WR:래머의 무게(Kg)
H: 낙하 높이(cm)
NB: 1층에 대한 낙하 횟수
NL: 다짐 층수
V: 몰드 부피(Cm³)
다짐 에너지가 너무 크면 다짐 상태가 오히려 나빠지는 데 이를 과도 전압이라 한다.
⑷ 포화 상태의 건조 단위 무게
rd sat=
여기서, rd sat: 100% 포화되었을 때의 건조 단위 무게(g/cm³)
Gs: 흙의 비중
rw: 물의 단위 무게 (g/cm³)
Sr: 포화도(%)
⑸ 토질에 의한 다짐 곡선의 해석
통일 분류에 따른 최대 건조 단위 무게와 최적 함수비, Wopt와의 관계 곡선이 그림 3 에 나타나 있다.
㈎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높은 흙일수록 최적 함수비가 낮다.
㈏ 입도가 좋은 사질토일수록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높으며, 다짐 곡선이 뾰족 하다. 또 세립토일수록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낮으며 다짐 곡선이 평편하다.
㈐ 모래일지라도 입도가 나쁜 것은 최대 건조 단위 무게는 낮고, 다짐 곡선이 평편하여 최대값이 확실하지 않을 것이 많다.
㈑ 화산회질 점성토는 극단으로 최대 건조 단위 무게가 낮고 최적 함수비가 높다. 시험전 시료의 건조 정도에 따라 별개의 다짐 곡선이 되어버린다. 또, 자연 함수비에서 함수비를 저하시키면서 다짐을 행하여 얻은 다짐 곡선과 전혀 다른 곡선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추천자료
대학입시(대입제도, 수학능력시험)의 특징, 대학입시(대입제도, 수학능력시험)의 변화, 대학...
과학교육의 본질, 과학교육의 목적, 과학교육의 동향, 수능시험(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영역...
대학입시제도(대학입학, 대입시험)의 성격과 현황, 대학입시제도(대학입학, 대입시험)의 학생...
대학입학전형(대학입시, 대학입학시험) 특성,유형, 대학입학전형(대학입시, 대학입학시험) 자...
[1919년][보통시험][베르사이유체제][임시정부][임시정부폐쇄][조약][인구세]1919년의 보통시...
[로크웰, 경도시험, 로크웰 시험이론, 로크웰 시험원리, 로크웰 시험방법]로크웰의 경도시험,...
[브리넬][브리넬 경도시험][브리넬 시험원리][브리넬 시험방법][브리넬 시험기구][브리넬 장...
[경도, 경도 개념, 경도 구분, 경도 시험분류, 경도 측정방법, 경도 계산, 경도 강화기구]경...
RT(방사선투과검사, 방사선투과시험) 원리, RT(방사선투과검사, 방사선투과시험) 분야, RT(방...
재료시험 - 충격시험
[시험보고서] 인장시험 - KS 10호 시험편.ppt
[재료공학실험] 재료시험법(경도시험) - 로크웰 경도시험 & 브리넬 경도 시험
샤르피 충격시험 보고서 충격시험(Impact Test by Charpy) 예비보고서 및 실험 결과 분석 보...
시험불안 극복기법 ; 시험불안의 정의와 원인 분석 - 시험불안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