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형측량의 의의
국토기본도(national base map)
지도의 종별 및 특성
표현방법에 의한 분류
축척에 따른 분류
지형표시 방법
지형의 표현
등고선의 성질
지형도 작성방법
지형도를 읽는 방법
등고선의 측정법
단면도의 작성
국토기본도(national base map)
지도의 종별 및 특성
표현방법에 의한 분류
축척에 따른 분류
지형표시 방법
지형의 표현
등고선의 성질
지형도 작성방법
지형도를 읽는 방법
등고선의 측정법
단면도의 작성
본문내용
도근점 설치
기계 도근점 측량 : 삼각, 다각측량 실시 → 평판상에 전개
(기준점의 밀도가 낮은 경우)
도해 도근점 측량 : 직접 평판상에 전개
(기준점의 밀도가 낮은 경우)
↓
세부측량
→
평판, 시거, 지형측량 등을 이용
지물의 위치 및 지모의 형상을 도식을 이용하여 평판상에 작도
- 지물측량, 지모측량
↓
측량원도 작성
↓
지형도 편집
사진측량에 의한 방법
항공사진 및 지상사진에 의한 방법
계획준비
←
지형도 축척, 사진의 축척, 등고선 간격 결정
↓
촬영계획 및 촬영
←
촬영계획시 : 촬영고도, 촬영사진기, 항공기 선정, 촬영경로 및 중복도, 표정점 배치, 촬영 및 기준점 측량의 작업량 산출
↓
사진 제작
←
밀착, 축소, 확대, 인화, 투명 양화 제작
↓
기준점 측량
(지상기준점 측량,
항공 삼각 측량)
←
수평, 수직 위치 측량
↓
세부도화
←
정밀 입체 도화기에 의한 도화
↓
현지조사
←
대상물 명칭, 행정 경계, 지명 확인→현지 조사와 보측
↓
윈도 작성
↓
지형도
수치지도제작에 의한 방법
수치지도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사진을 중복촬영하여 입체시가 가능한 지역을 해석도화 기 등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의 도형정보를 수치화하고 이에 관련된 속성정보를 연결하여 지형도를 제작하거나 목적별 주제도를 작성하여 출력한 것
자료취득방법
종래의 지도를 디지타이저 또는 스케너를 이용하여 수치화하는 방법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사진의 도화 작업시 해석도화기를 이용하여 수치지도 자료를 직접 취득하는 방법-일반적
GPS나 Total Station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취득하는 방법
지형도를 읽는 방법
사면(斜面)
등경사면-등고선 상호의 거리가 같은 사면
능선형(凸형)사면-등고선간의 거리가 상부에서는 넓고 하부에서는 좁은 사면
곡선형(凹형)사면-등고선간의 거리가 상부에서는 좁고 하부에서는 넓은 사면
능선곡선(凸凹형)형사면
계단형사면
능선형(凸형)사면 곡선형(凹형)사면 등경사면(평사면)
산배(山背) 또는 산능
산꼭대기와 산꼭대기 사이의 제일 높은 점을 이은 선
안부(鞍部)
인접한 산꼭대기가 서로 만나는 점으로 교통로가 되는 고개 부분
산 능 안 부
계곡(溪谷)
계곡의 종단면이 상류가 급하고 하류가 완만
등고선 사이의 거리는 상류가 좁고 하류가 넓게 된다.
계 곡
분지와 산정
최대경사선의 방향에 화살표
대지(臺地)-산꼭대기는 평탄, 사면의 경사는 급경사
선상지(扇狀地)-산간부로부터 흐르는 하천이 평지에 나타나면 급한 하천경사가 완만모래를 형성된 원추형의 경사지
산급(山級)-산꼭대기 부근이나 능선상에 대지형으로 되어 있는 곳
(산꼭대기와 안부 양쪽의 성질)
단구(段丘)-河岸단구,海岸단구
지성선
지표면을 다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할 때 이 평면의 접합부, 즉 접선 을 말함
능선,곡선,경사변환선,최대경사선으로 구성
능선
지표면 높은 곳의 꼭대기점을 연결한 선
빗물이 이 경계선을 좌우로 하여 흐르게 되므로 분수선이라고도 함 곡선-지표면이 낮거나 움푹패인점을 연결한 선
사면을 흐른 물이 이 요선을 향하여 모이게 되므로 합수선,합곡선이라고도 함
경사변환선 - 동일방향의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면의 접합선
최대경사선
지표의 임의의 1점에 있어서 그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유선이라고도 함
등고선의 측정법
중요한 측점(지성선)을 택하여 이들 점의 표고 및 위치를 정한후 이들 점을 기 준으로 지형과 충분히 일치하도록 등고선을 그린다.
능선 및 곡선의 위치, 경사의 변환점, 각종변형지의 외곽을 선정
직접관측법
등고선이 통과하는 점을 현지에서 구하고 그 위치를 도시하여 직접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으로 정확도가 좋은 대축척 지형측량에 이용
고원, 대지, 평야 등의 완경사지와 같은 시통하기 좋은 곳에 적합
레벨 또는 핸드레벨에 의한 방법
레벨에 의한 등고선 측정방법
평판에 의한 방법
기계고
58m 등고선 = 60.6 - 58 = 2.6m → Target
60m 등고선 = 60.6 - 60 = 0.6m → Target
평판에 의한 시거법
평판에의한 등고선 측정방법
간접관측법
산악지의 임의의 점에 측점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또는 빠르게 작업을 하지 않고 전체적인 지형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중요시한 경우의 관측법.
지성선상의 주요점의 위치와 표고 관측-계산,목측→등고선을 도상에 기입망원경 알리다드에 의한 방법
망원경 알리다드에 등고선 측정방법
시거측량 - Stadia Computer
기지점의 표고를 이용한 계산법 : 보간법
목측
지성선상의 경사변환점의 위치와 표고를 기본으로 하여 지성선상의 각 등고 선의 통과점을 목측에 의해 도상에 구하고 현지지형을 스케치하여 등고선을 그린다.
1/10,000 이하의 소축척에 이용
방안법-정방형, 장방형→ 교점의 표고를 관측→등고선 추출
장방형 정방형 분할 측정법
종단점법
지성선방향이나 주요방향의 측선에 대해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높이를관측 →등고선을 추출
횡단점법
노선측량, 수준측량에서 중심말뚝의 표고와 횡단선상의 횡단측량 결과를 이 용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
종단점법 횡단점법
관측상의 주의사항
등고선은 지성선을 만들면서 그린다.
지성선상의 등고선의 통과점은 스케일법 또는 목측으로 결정하고 등고선의
곡률을 정함
2개의 지평선 간격이 클 때 등고선 삽입에 주의-기회가 있을때마다 점검
등고선 점검-알리다드로 수평, 시준하여 등고선의 통과점을 관측
평지부의 등고선(지성선이 불분명)-직접법
등고선과 종단면도
등고선 기입방법
계산에 의한 기입방법
계산에 의한 방법 작도에의한 방법
작도에 의한 기입방법
투사척도에 의한 기입방법
목측에 의한 기입방법
지형도의 이용
토목공사(설계, 계획, 조사) 및 노선의 도상선점, 면적, 토공량 계산
위치결정
경위도 결정 -지형도의 도곽과 경위도를 기준으로 도상 임의점의 경위도를 결정
경위도 결정
표고 결정-임의점 표고는 주위 등고선으로부터 추정
표고에의한 등고선 결정
단면도의 작성
등경사선의 관측
등경사선-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를 가진 지표면상의 선 중심선이 등경사선에 가깝도록 결정
(h:등고선간격, i:등경사선의 경사, L:수평거리)
지형측량의 실례
기계 도근점 측량 : 삼각, 다각측량 실시 → 평판상에 전개
(기준점의 밀도가 낮은 경우)
도해 도근점 측량 : 직접 평판상에 전개
(기준점의 밀도가 낮은 경우)
↓
세부측량
→
평판, 시거, 지형측량 등을 이용
지물의 위치 및 지모의 형상을 도식을 이용하여 평판상에 작도
- 지물측량, 지모측량
↓
측량원도 작성
↓
지형도 편집
사진측량에 의한 방법
항공사진 및 지상사진에 의한 방법
계획준비
←
지형도 축척, 사진의 축척, 등고선 간격 결정
↓
촬영계획 및 촬영
←
촬영계획시 : 촬영고도, 촬영사진기, 항공기 선정, 촬영경로 및 중복도, 표정점 배치, 촬영 및 기준점 측량의 작업량 산출
↓
사진 제작
←
밀착, 축소, 확대, 인화, 투명 양화 제작
↓
기준점 측량
(지상기준점 측량,
항공 삼각 측량)
←
수평, 수직 위치 측량
↓
세부도화
←
정밀 입체 도화기에 의한 도화
↓
현지조사
←
대상물 명칭, 행정 경계, 지명 확인→현지 조사와 보측
↓
윈도 작성
↓
지형도
수치지도제작에 의한 방법
수치지도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사진을 중복촬영하여 입체시가 가능한 지역을 해석도화 기 등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의 도형정보를 수치화하고 이에 관련된 속성정보를 연결하여 지형도를 제작하거나 목적별 주제도를 작성하여 출력한 것
자료취득방법
종래의 지도를 디지타이저 또는 스케너를 이용하여 수치화하는 방법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사진의 도화 작업시 해석도화기를 이용하여 수치지도 자료를 직접 취득하는 방법-일반적
GPS나 Total Station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취득하는 방법
지형도를 읽는 방법
사면(斜面)
등경사면-등고선 상호의 거리가 같은 사면
능선형(凸형)사면-등고선간의 거리가 상부에서는 넓고 하부에서는 좁은 사면
곡선형(凹형)사면-등고선간의 거리가 상부에서는 좁고 하부에서는 넓은 사면
능선곡선(凸凹형)형사면
계단형사면
능선형(凸형)사면 곡선형(凹형)사면 등경사면(평사면)
산배(山背) 또는 산능
산꼭대기와 산꼭대기 사이의 제일 높은 점을 이은 선
안부(鞍部)
인접한 산꼭대기가 서로 만나는 점으로 교통로가 되는 고개 부분
산 능 안 부
계곡(溪谷)
계곡의 종단면이 상류가 급하고 하류가 완만
등고선 사이의 거리는 상류가 좁고 하류가 넓게 된다.
계 곡
분지와 산정
최대경사선의 방향에 화살표
대지(臺地)-산꼭대기는 평탄, 사면의 경사는 급경사
선상지(扇狀地)-산간부로부터 흐르는 하천이 평지에 나타나면 급한 하천경사가 완만모래를 형성된 원추형의 경사지
산급(山級)-산꼭대기 부근이나 능선상에 대지형으로 되어 있는 곳
(산꼭대기와 안부 양쪽의 성질)
단구(段丘)-河岸단구,海岸단구
지성선
지표면을 다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할 때 이 평면의 접합부, 즉 접선 을 말함
능선,곡선,경사변환선,최대경사선으로 구성
능선
지표면 높은 곳의 꼭대기점을 연결한 선
빗물이 이 경계선을 좌우로 하여 흐르게 되므로 분수선이라고도 함 곡선-지표면이 낮거나 움푹패인점을 연결한 선
사면을 흐른 물이 이 요선을 향하여 모이게 되므로 합수선,합곡선이라고도 함
경사변환선 - 동일방향의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면의 접합선
최대경사선
지표의 임의의 1점에 있어서 그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유선이라고도 함
등고선의 측정법
중요한 측점(지성선)을 택하여 이들 점의 표고 및 위치를 정한후 이들 점을 기 준으로 지형과 충분히 일치하도록 등고선을 그린다.
능선 및 곡선의 위치, 경사의 변환점, 각종변형지의 외곽을 선정
직접관측법
등고선이 통과하는 점을 현지에서 구하고 그 위치를 도시하여 직접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으로 정확도가 좋은 대축척 지형측량에 이용
고원, 대지, 평야 등의 완경사지와 같은 시통하기 좋은 곳에 적합
레벨 또는 핸드레벨에 의한 방법
레벨에 의한 등고선 측정방법
평판에 의한 방법
기계고
58m 등고선 = 60.6 - 58 = 2.6m → Target
60m 등고선 = 60.6 - 60 = 0.6m → Target
평판에 의한 시거법
평판에의한 등고선 측정방법
간접관측법
산악지의 임의의 점에 측점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또는 빠르게 작업을 하지 않고 전체적인 지형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중요시한 경우의 관측법.
지성선상의 주요점의 위치와 표고 관측-계산,목측→등고선을 도상에 기입망원경 알리다드에 의한 방법
망원경 알리다드에 등고선 측정방법
시거측량 - Stadia Computer
기지점의 표고를 이용한 계산법 : 보간법
목측
지성선상의 경사변환점의 위치와 표고를 기본으로 하여 지성선상의 각 등고 선의 통과점을 목측에 의해 도상에 구하고 현지지형을 스케치하여 등고선을 그린다.
1/10,000 이하의 소축척에 이용
방안법-정방형, 장방형→ 교점의 표고를 관측→등고선 추출
장방형 정방형 분할 측정법
종단점법
지성선방향이나 주요방향의 측선에 대해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높이를관측 →등고선을 추출
횡단점법
노선측량, 수준측량에서 중심말뚝의 표고와 횡단선상의 횡단측량 결과를 이 용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
종단점법 횡단점법
관측상의 주의사항
등고선은 지성선을 만들면서 그린다.
지성선상의 등고선의 통과점은 스케일법 또는 목측으로 결정하고 등고선의
곡률을 정함
2개의 지평선 간격이 클 때 등고선 삽입에 주의-기회가 있을때마다 점검
등고선 점검-알리다드로 수평, 시준하여 등고선의 통과점을 관측
평지부의 등고선(지성선이 불분명)-직접법
등고선과 종단면도
등고선 기입방법
계산에 의한 기입방법
계산에 의한 방법 작도에의한 방법
작도에 의한 기입방법
투사척도에 의한 기입방법
목측에 의한 기입방법
지형도의 이용
토목공사(설계, 계획, 조사) 및 노선의 도상선점, 면적, 토공량 계산
위치결정
경위도 결정 -지형도의 도곽과 경위도를 기준으로 도상 임의점의 경위도를 결정
경위도 결정
표고 결정-임의점 표고는 주위 등고선으로부터 추정
표고에의한 등고선 결정
단면도의 작성
등경사선의 관측
등경사선-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를 가진 지표면상의 선 중심선이 등경사선에 가깝도록 결정
(h:등고선간격, i:등경사선의 경사, L:수평거리)
지형측량의 실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