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역사
2. 특징
3. 생산 현황
4. 품종
[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
[ 레드 와인 포도 품종 ]
5. 와인 재배지역
6. 와인 등급
1. 역사
2. 특징
3. 생산 현황
4. 품종
[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
[ 레드 와인 포도 품종 ]
5. 와인 재배지역
6. 와인 등급
본문내용
을 일체 첨가하지 않은 최고 품질의 와인.
9.5%의 천연 알코올을 함유하며 특정 포도원에서만 생산된다.
QmP급 포도주들은 라벨위에 6개의 품질등급표가 표시되는데 이는 수확 시 포도의 성숙도(포도가 익은 정도)에 의하여 순서대로 Kabinett, Spatlese, Auslese, Beerenauslese, Eiswein, 그리고 Trockenbeerenauslese로 구분된다.
▣ Q.m.P의 품질 등급표(Pradikat)
Pradikat
특징
카비네트 (Kabinett)
잘 익은 포도로 제조하며 섬세하고 가볍다.
슈페트레제 (Spatlese)
정상시기보다 1주정도 늦게 수확, 맛과 향이 더 강하나 달지는 않다.
아우스레제 (Auslese)
잘 익는 포도송이만 수확, 맛과 향이 더 강하나 달지는 않다.
베렌아우스레제(Beerenauslese)
완전히 익은 포도 알만 골라서 수확, 완숙미와 진한 맛으로
식후용.
아이스바인 (Eiswein)
B. A와 같은 정도의 포도를 밭에서 얼려 수확,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진 최고급 와인.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Trockenbeerenauslese)
건포도에 가깝게 마른 포도송이에서 골라 수확.
향기가 풍부하고 진한 맛의 최고급 와인.
- Q.b.A ( 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
독일 와인의 가장 많은 양이 Q.b.A의 범주에 포함된다. 13개의 포도재배지역에서 생산되고 와인이 그 지역의 특성과 전통적인 맛을 갖도록 보증할 수 있기에 충분할 만큼 인정된 포도로 만들어진다.
가볍고 상쾌하며 풍미 있는 이 와인들을 미숙(未熟)시에도 매일 식사와 곁들여 즐길 수 있는 포도주이다. Q.b.A는 쿠발리테츠바인 베슈팀터 안바우게비테(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의 약자로 특정 지역에서 산출되는 중급 품질 와인이다.
- 란트바인(Landwein)
Deutscher Tafelwein 범주 안에서 좀 더 좋은 와인이 "Landwein"인데, 이 와인은 프랑스의 Vin de Pays급 와인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 타펠바인(Tafelwein)
Tafelwein은 보통의 독일산 테이블 와인으로 대부분이 독일에서 소비된다. Tafelwein앞에 Deutsche라는 단어가 따라 붙는데, 이것이 없으면 독일이외의 타 지역 와인이 혼합되었거나, 타 지역 와인을 단순히 독일에서 병입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9.5%의 천연 알코올을 함유하며 특정 포도원에서만 생산된다.
QmP급 포도주들은 라벨위에 6개의 품질등급표가 표시되는데 이는 수확 시 포도의 성숙도(포도가 익은 정도)에 의하여 순서대로 Kabinett, Spatlese, Auslese, Beerenauslese, Eiswein, 그리고 Trockenbeerenauslese로 구분된다.
▣ Q.m.P의 품질 등급표(Pradikat)
Pradikat
특징
카비네트 (Kabinett)
잘 익은 포도로 제조하며 섬세하고 가볍다.
슈페트레제 (Spatlese)
정상시기보다 1주정도 늦게 수확, 맛과 향이 더 강하나 달지는 않다.
아우스레제 (Auslese)
잘 익는 포도송이만 수확, 맛과 향이 더 강하나 달지는 않다.
베렌아우스레제(Beerenauslese)
완전히 익은 포도 알만 골라서 수확, 완숙미와 진한 맛으로
식후용.
아이스바인 (Eiswein)
B. A와 같은 정도의 포도를 밭에서 얼려 수확,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진 최고급 와인.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Trockenbeerenauslese)
건포도에 가깝게 마른 포도송이에서 골라 수확.
향기가 풍부하고 진한 맛의 최고급 와인.
- Q.b.A ( 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
독일 와인의 가장 많은 양이 Q.b.A의 범주에 포함된다. 13개의 포도재배지역에서 생산되고 와인이 그 지역의 특성과 전통적인 맛을 갖도록 보증할 수 있기에 충분할 만큼 인정된 포도로 만들어진다.
가볍고 상쾌하며 풍미 있는 이 와인들을 미숙(未熟)시에도 매일 식사와 곁들여 즐길 수 있는 포도주이다. Q.b.A는 쿠발리테츠바인 베슈팀터 안바우게비테(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의 약자로 특정 지역에서 산출되는 중급 품질 와인이다.
- 란트바인(Landwein)
Deutscher Tafelwein 범주 안에서 좀 더 좋은 와인이 "Landwein"인데, 이 와인은 프랑스의 Vin de Pays급 와인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 타펠바인(Tafelwein)
Tafelwein은 보통의 독일산 테이블 와인으로 대부분이 독일에서 소비된다. Tafelwein앞에 Deutsche라는 단어가 따라 붙는데, 이것이 없으면 독일이외의 타 지역 와인이 혼합되었거나, 타 지역 와인을 단순히 독일에서 병입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추천자료
브랜드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국제비지니스 사업계획서
5 Forces Model을 활용한 기업환경 분석-워커힐 호텔
한국의 FTA에 관하여 알아보며 FTA의 실패사례를 통하여 자유무역 반대론자들의 입장에서 FTA...
머스터드의 종류와 머스터드를 이용한 드레싱
프랑스의 의료제도, 응급구호, 병원제도 분석 및 다른 나라와의 비교
미국 소비자 만족 1위 슈퍼마켙기업 트레이더죠( TRADER JOE`S)의 경영전략
프랑스에 대한 조사
커피문화
서양음식문화의 이해(고대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중심으로)
영국의 차 문화 발전사 개요
펜션(pension)의 현황과 문제점 - 강원도 (펜션의 개념 및 유형, 펜션의 현황(강원도 평창 횡...
[음식관광] 음식관광의 중요성과 효과 및 성공사례 (음식관광의 중요성, 음식과 관광의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