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평직
2.능직
3.수자직
직기의 기본 구조
4.바스켓직
5.특별 조직
6.타피스트리
2.능직
3.수자직
직기의 기본 구조
4.바스켓직
5.특별 조직
6.타피스트리
본문내용
Hopsack) : 면, 마 또는 모의 굵은 실로 짠 홈스펀 같은 거칠고 성긴 바스켓 직물로 맥주용 홉을 넣는데 사용한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 몽크크로스 >
◎ 몽크크로스(Monk`s cloth)
5. 특별 조직(特別 組職)
특별 조직은 지금까지의 어느 조직에도 속하지 않는 변화 조직으로 조직에 따라 간단한 모양등을 표현할 수 있다. 허니코움 직(honeycomb weaves), 허거백직(huckaback weaves) 등이 있다.
허니코움 조직은 경사, 위사가 직물 표면에 길게 드러나 방형(方形)의 凹凸을 만들어 벌집과 같은 외관을 같게 한다. 봉소직(봉소직)이라고도 한다. 시트, 숄,아동복지 등에 많이 사용된다. 허커백 조직은 봉소직 효과를 낸 바스켓 조직이다.
6. 타피스트리(TAPESTRY)
타피스트리는 실로 짜여진 회화를 일컫는 말로 씨실(Weft)과 날실(Warp)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색실로 회화를 한올 한올 짜아나간 고도의 감각과 기술이 어우러진 섬유예술작품이다.
유럽 최초의 타피스트리 곱틱 타피스트리(기원전 5세기붙커 6세기 말)는 이집트의 크리스찬들이 사용하였던 장식용으로서 성서의 내용이 담겨있고 종교적 성격이 강하므로 성서와 역사서의 역할을 한다.
도한 고블랭 타피스트리(기원전 8세기부터 14세기)는 교황과 왕족에 의해 주문제작되어 발달하였다. 내용은 역사적 기록에 필요한 사실과 전설을 주제로 하였다.
서구의 고대 건축에서 전통 직조방식이나 고블랭기법으로 제작된 섬유공예품은 필수적 요소러서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이러한 전통 타피스트리는 방음이나 흡음 효과가 있고 건물 내부의 온도를 조절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실내건축의 한 요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고블랭 타피스트리리는 내구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외풍을 막아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비한 주요 생활용품이었다. 그러나 전통 타피스트리는 오늘날 다양한 기법에 의한 섬유공예품이 발달함에 따라 점차 생활용품으로서보다는 예술품으로서 그 존재 가치가 바뀌게 되었다.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 타피스트리 작품도 유행의 흐름을 타고 1950년~70년 에는 새로운 소재를 이용한 독특한 타피스트리가 많이 전시되었으며, 장식용으로서가 아닌 순수 조형물로서 개척되고 발전되었다. 7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유행의 조류는 다시 유럽의 전통 타피스트리 기법을 응용, 회화적 표현을 강조한 작품 쪽으로 흐르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타피스트리 작품들은 기존 페인팅에서 느낄 수 없는 독특한 질감을 갖고 있으며 따뜻하고 부드럽다. 또한 시각적으로나 촉각적 측면에서 다른 장르보다 친숙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 타피스트리는 건축가와 인테리어 전문가들에 의해 주문제작이 활성화됨에 따라 본래의 역할을 되찾고 있다. 현재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에 타피스트리는 호텔이나 대형 건물의 로비 등에 폭넓게 보급되어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어 친숙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주택에도 각자의 인테리어 감각을 반영해 주는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 몽크크로스 >
◎ 몽크크로스(Monk`s cloth)
5. 특별 조직(特別 組職)
특별 조직은 지금까지의 어느 조직에도 속하지 않는 변화 조직으로 조직에 따라 간단한 모양등을 표현할 수 있다. 허니코움 직(honeycomb weaves), 허거백직(huckaback weaves) 등이 있다.
허니코움 조직은 경사, 위사가 직물 표면에 길게 드러나 방형(方形)의 凹凸을 만들어 벌집과 같은 외관을 같게 한다. 봉소직(봉소직)이라고도 한다. 시트, 숄,아동복지 등에 많이 사용된다. 허커백 조직은 봉소직 효과를 낸 바스켓 조직이다.
6. 타피스트리(TAPESTRY)
타피스트리는 실로 짜여진 회화를 일컫는 말로 씨실(Weft)과 날실(Warp)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색실로 회화를 한올 한올 짜아나간 고도의 감각과 기술이 어우러진 섬유예술작품이다.
유럽 최초의 타피스트리 곱틱 타피스트리(기원전 5세기붙커 6세기 말)는 이집트의 크리스찬들이 사용하였던 장식용으로서 성서의 내용이 담겨있고 종교적 성격이 강하므로 성서와 역사서의 역할을 한다.
도한 고블랭 타피스트리(기원전 8세기부터 14세기)는 교황과 왕족에 의해 주문제작되어 발달하였다. 내용은 역사적 기록에 필요한 사실과 전설을 주제로 하였다.
서구의 고대 건축에서 전통 직조방식이나 고블랭기법으로 제작된 섬유공예품은 필수적 요소러서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이러한 전통 타피스트리는 방음이나 흡음 효과가 있고 건물 내부의 온도를 조절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실내건축의 한 요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고블랭 타피스트리리는 내구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외풍을 막아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비한 주요 생활용품이었다. 그러나 전통 타피스트리는 오늘날 다양한 기법에 의한 섬유공예품이 발달함에 따라 점차 생활용품으로서보다는 예술품으로서 그 존재 가치가 바뀌게 되었다.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 타피스트리 작품도 유행의 흐름을 타고 1950년~70년 에는 새로운 소재를 이용한 독특한 타피스트리가 많이 전시되었으며, 장식용으로서가 아닌 순수 조형물로서 개척되고 발전되었다. 7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유행의 조류는 다시 유럽의 전통 타피스트리 기법을 응용, 회화적 표현을 강조한 작품 쪽으로 흐르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타피스트리 작품들은 기존 페인팅에서 느낄 수 없는 독특한 질감을 갖고 있으며 따뜻하고 부드럽다. 또한 시각적으로나 촉각적 측면에서 다른 장르보다 친숙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 타피스트리는 건축가와 인테리어 전문가들에 의해 주문제작이 활성화됨에 따라 본래의 역할을 되찾고 있다. 현재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에 타피스트리는 호텔이나 대형 건물의 로비 등에 폭넓게 보급되어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어 친숙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주택에도 각자의 인테리어 감각을 반영해 주는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