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담의 구조분석-설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담의 구조분석-설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地下國大賊除治設話」의 構造分析

2. 「 興夫歌」의 類型構造

3. 「洪吉童傳」의 構造分析

본문내용

점에서 이원론적 주기론(主氣論)의 구조를 가졌던 다른 영웅소설들과는 달리 「洪吉童傳」은 지상계에 국한되어 있다.
2)김열규의 구조분석
이조소설들은 대부분 그 제명(題名)부터 「---傳」되어 있어 그 양식적 특색이 전기적(傳奇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전기적 양식에도 일정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를 토대로 이조소설의 구조를 마음과 같이 유형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① 기단(起段)---------------출생(出生)
② 승단(承段)---------------결연(結緣)
고행(苦行)
③ 전단(轉段)---------------회운(回運)
출생(出生)
④ 결단(結段)---------------행복(幸福)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분류법 내지 그에 준하는 분류법은 피하고 H(Hahn) - R(Rank) - L(Lord Ruglan) - C(Campbell)의 공통유형에 의거하여 「洪吉童傳」의 구조를 분석해보기로 한다. 먼저, 서구민담 영웅구조도인 H-R-L-C 유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a. 고귀한 혈통이되 그 회임(懷妊)에 장애가 있거나 회임 자체가 비정상적이다.
b. 현몽(現夢) 혹은 탁선(託宣)
c. 기아(棄兒) 또는 은신(隱身)
d. 하천민 혹은 야수에 의한 양육
e. 환향(還鄕)과 복수(復讐)
f. 도읍창건
g. 이례적인 죽음
이제 「洪吉童傳」의 전기적 유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청룡(靑龍)의 태몽 끝에 시비(侍婢)의 아들로 길동이 탄생함
2) 집안에서 박해와 곤욕(困辱)을 겪음
3) 집을 버리고 떠남
4) 활빈당(活貧黨) 괴수로서 여러 가지 신이(神異)를 보임
5) 병조판서가 됨
6) 율도국을 건설함
7) 요괴굴(妖怪屈)에서 악마를 퇴치함
8) 악마에 피납되었던 소녀를 아내로 삼음
「洪吉童傳」은 이조소설이 지니고 있는 민담적 근원은 물론, 동명왕 전승등과 같은 신화류와도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즉 「洪吉童傳」후반부에 보이는 괴물퇴치며, 부자 백룡(白龍)의 딸과의 결연 등은 민담인 ‘地下國大賊除治’와 동일하며, 후반부의 탄생부분은 영우신화류와 비슷하다.
H-R-L-C
유형
a
1)
b
2)
c
3)
d
e
4), 5)
f
6)
g
이제 「洪吉童傳」의 전기적 유형을 H-R-L-C유형에 대입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물유형성의 유형화에 대한 것은 재구성하는 유형을 살펴보면 표면적인 의미를 살릴 수 있다.
<참고자료>
- 조동일의 『 한국소설의 이론』
- 김열규의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 가격1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01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