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 설정의 이유
Ⅱ. 단원 학습 목표
Ⅲ. 본시 학습 목표
Ⅳ. 아동의 실태
Ⅴ.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지도방법 및 지도시 유의점
Ⅵ. 교사가 갖추어야 할 관련된 지식
Ⅱ. 단원 학습 목표
Ⅲ. 본시 학습 목표
Ⅳ. 아동의 실태
Ⅴ.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지도방법 및 지도시 유의점
Ⅵ. 교사가 갖추어야 할 관련된 지식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배젖에 인접하여 있고 발아할 때에 양분을 흡수하여 어린 식물체에 보내는 역할을 함
배젖이 없는 식물의 경우는 떡잎 자체에 양분을 저장함.
4. 종자의 분류 : 배젖(배유)의 유무에 따라 구분
- 유배유종자(배유종자) : 곡류, 감, 배, 사과, 복숭아, 살구, 자두처럼 배유가 존재하는 종자
- 무배유종자(비배유종자) : 완두콩, 녹두, 팥, 강낭콩, 쥐눈이콩 등의 콩과나 박과와 같이 배유가 없는 종자
5. 종자 발아
1) 발아 : 종자가 성숙한 후 보통 배의 성장이 정지 되는데, 배가 다시 발육하는 것을 발아라고 한다.
2) 발아의 중요한 요인
①수분
ㆍ발아과정에서 수분은 종피를 연화시켜 배가 쉽게 종피를 삐져 나오도록 해준다.
ㆍ종피의 가스투과성을 증가시켜 산소공급과 탄산가스 배출을 쉽게 해준다.
ㆍ흡수된 수분은 저장물질의 분해와 전류를 가능케 하여 발아에 필요한 물질대사를 원할 하게 해준다.
②온도
종자는 일정한 범위의 온도에서만 발아하는데 보통은 25-30도에서 대부분의 종자가 발아한다. 자연상태의 온도는 낮에는 높고 밤에는 낮으므로 종자가 자연상태에서 발아할 때에는 온도의 일변화 영향을 받아서 밤과 낮의 온도가 일정할 때보다 더 잘 발아한다.
변온이 발아를 촉진하는 이유는 낮에 온도가 높아지면 호흡작용이나 또는 물질대사가 촉진되어 호흡과정에 있는 중간생성물의 평형상태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 새로운 평형상태는 고온이 계속되는 한 발아에 불리하지만, 밤에 이르러 저온으로 변화되면 고온의 호흡과정에서 생성된 물질이 소비되지 않고 남으므로 이것이 발아를 촉진하는 데 이용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③산소
종자 발아 시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호흡작용을 하는데 이는 산소를 이용하여 탄수화물 을 산화시키고, 탄산가스를 배출하면서 배의 생장에 필요한 ATP(식물의 물질대사에 쓰이는 에너지)를 생산한다.
④햇빛
식물의 종자는 대부분 빛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발아하지만,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빛의 유무와 큰 관계가 있는 것도 있다. 그러므로, 발아와 빛과의 관계에 따라서 식물의 종자를 다음과 같이 3가지 형으로 나눌 수 있다.
ㆍ호광성종자 : 담배·상치·뽕나무·차조기·우엉 등
ㆍ혐광성종자 : 파속의 몇 종과 대부분의 나리과식물 및 호박
ㆍ광중성종자 : 화곡류 ·옥수수 및 대부분의 콩과식물
3) 휴면 : 외부요인이 최적이라 할지라고 내부요인으로 인해 종자가 발아하지 않는 기간
(1) 휴면의 요인
①종피가 수분이나 산소를 투과시키지 않는다.
②종피가 단단하여 파열되지 않는다.
③종자가 미성숙하여 배가 덜 발달되었다.
④화학물질이 발아를 억제한다.
→ 많은 식물 종자는 휴면상태로 있는데, 이는 종자가 미성숙하여 배가 덜 발달하였거나, 저해물질이 있기 때문이다. 앱시스산 같은 저해물질은 비에 의해 용해된다. 예를 들면, 사막의 1년생 식물들은 종종 종자에 높은 수준의 앱시스산을 가지고 있는데, 강우량이 충분할 때에만 앱시스산이 용해되어 종자가 발아된다.
(2) 종자의 휴면기간에 대한 과학적 실험
- 1879년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시행되었는데, 여러종류의 종자를 항아리에 봉하여 묻었다가 정기적으로 발아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일부 종자는 101년후(1980년)에도 여전히 발아가 되었다.
(3) 휴면의 타파
- ‘저온요구시간’을 적절히 경과해야 한다. 일정기간 동안 5도 이하의 저온에 경과되어야 하는데 이를 ‘저온요구시 간’ 이라 하며 품종에 따라 다르다.
4) 발아의 과정
(1) 1단계: 물리적 흡수기
①건조한 종자가 물을 흡수하고 효소가 가동되면 물질대사가 시작된다.
②배 안의 물질이 에너지가 된다.
③물을 흡수한 결과 배와 종피가 부풀어 종피가 파열된 후 산소로 고효율의 호흡을 한다.
(2) 2단계: 지체기
①씨가 충분히 물을 흡수하면 산소로 호흡하지 않는다.
②여전히 배 안의 물질이 에너지가 된다.
③3단계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기간
(3) 3단계: 흡수기
①세포물질의 합성, 대사가 활발해지고 뿌리나 어린식물의 끝에서 세포분열이 일어난다.
②배젖 또는 떡잎에 축적되어 있는 녹말 또는 지방을 이용한다.
③발아능력이 없어진 씨나 휴면씨는 1,2단계는 진행되나 3단계는 진행되지 않는다.
5) 생장
식물체의 부피가 커지는 것으로써, 식물이 자란다는 것은 정단부 조직의 분열과 그것의 생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것이다. 이렇게 분열하고 자란 세포들이 각각의 특수한 부분들로 분화되어지고 성숙되어지는 것이다.
4) 발아와 생장
종자가 발아하면 자엽과 배의 유근이나 배축이 신장되는 것으로 첫 생장부분은 유근 또는 배근이다. 뿌리가 토양을 뚫고 자라는 데는 상당한 저항을 받기 때문에 뿌리끝은 근관에 의해 보호된다. 그러나 어린줄기 끝은 세포의 보호층으로 덮혀 있지 않다. 씨에서 갓자란 콩의 줄기는 고리모양으로 굽어서, 그 끝이 토양으로부터 당겨져 나온다. 옥수수와 다른 단자엽식물에는 어린싹을 둘러싸는 초엽이 있다. 이 초엽은 토양을 밀어올려주고 , 연한 어린싹이 초엽 속을 통해서 자라 나오게 한다.
6.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의 발아의 차이점
배의 모양
떡잎의 개수
떡잎의 기능
어린눈과
뿌리의 보호
쌍떡잎식물
심장형 구조
2개의 떡잎(자엽)
양분의 저장,
소화, 흡수
해당기관 없음
외떡잎식물
긴 원통형 구조
1개의 떡잎
배젖의 저장양분을 흡수
자엽초 , 근초
Ⅶ. 참고 문헌
▷ 제 7차 과학과 교과서 4학년 1학기 과학, 교육부, 2001.
▷ 제 7차 과학과 교과서 4학년 1학기 실험관찰, 교육부, 2001.
▷ 제 7차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4학년 1학기 과학, 교육부, 2001.
▷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교육 인적 자원부, 1999.
▷ 식물 발생학, S.S.Bhojwani, S.P.Bhatnagar, 아카데미서적, 2000.
▷ “동, 식물의 생장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이용주ㆍ한귀연, 1997.
▷ “식물 생장에 관한 아동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Space 수업 전략의 효과”, 김정호, 1994.
▷ www.balan.hs.kr/2003/main.cgi/농업기초기술.hw...ame=농업기초기술.hwp
배젖이 없는 식물의 경우는 떡잎 자체에 양분을 저장함.
4. 종자의 분류 : 배젖(배유)의 유무에 따라 구분
- 유배유종자(배유종자) : 곡류, 감, 배, 사과, 복숭아, 살구, 자두처럼 배유가 존재하는 종자
- 무배유종자(비배유종자) : 완두콩, 녹두, 팥, 강낭콩, 쥐눈이콩 등의 콩과나 박과와 같이 배유가 없는 종자
5. 종자 발아
1) 발아 : 종자가 성숙한 후 보통 배의 성장이 정지 되는데, 배가 다시 발육하는 것을 발아라고 한다.
2) 발아의 중요한 요인
①수분
ㆍ발아과정에서 수분은 종피를 연화시켜 배가 쉽게 종피를 삐져 나오도록 해준다.
ㆍ종피의 가스투과성을 증가시켜 산소공급과 탄산가스 배출을 쉽게 해준다.
ㆍ흡수된 수분은 저장물질의 분해와 전류를 가능케 하여 발아에 필요한 물질대사를 원할 하게 해준다.
②온도
종자는 일정한 범위의 온도에서만 발아하는데 보통은 25-30도에서 대부분의 종자가 발아한다. 자연상태의 온도는 낮에는 높고 밤에는 낮으므로 종자가 자연상태에서 발아할 때에는 온도의 일변화 영향을 받아서 밤과 낮의 온도가 일정할 때보다 더 잘 발아한다.
변온이 발아를 촉진하는 이유는 낮에 온도가 높아지면 호흡작용이나 또는 물질대사가 촉진되어 호흡과정에 있는 중간생성물의 평형상태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 새로운 평형상태는 고온이 계속되는 한 발아에 불리하지만, 밤에 이르러 저온으로 변화되면 고온의 호흡과정에서 생성된 물질이 소비되지 않고 남으므로 이것이 발아를 촉진하는 데 이용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③산소
종자 발아 시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호흡작용을 하는데 이는 산소를 이용하여 탄수화물 을 산화시키고, 탄산가스를 배출하면서 배의 생장에 필요한 ATP(식물의 물질대사에 쓰이는 에너지)를 생산한다.
④햇빛
식물의 종자는 대부분 빛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발아하지만,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빛의 유무와 큰 관계가 있는 것도 있다. 그러므로, 발아와 빛과의 관계에 따라서 식물의 종자를 다음과 같이 3가지 형으로 나눌 수 있다.
ㆍ호광성종자 : 담배·상치·뽕나무·차조기·우엉 등
ㆍ혐광성종자 : 파속의 몇 종과 대부분의 나리과식물 및 호박
ㆍ광중성종자 : 화곡류 ·옥수수 및 대부분의 콩과식물
3) 휴면 : 외부요인이 최적이라 할지라고 내부요인으로 인해 종자가 발아하지 않는 기간
(1) 휴면의 요인
①종피가 수분이나 산소를 투과시키지 않는다.
②종피가 단단하여 파열되지 않는다.
③종자가 미성숙하여 배가 덜 발달되었다.
④화학물질이 발아를 억제한다.
→ 많은 식물 종자는 휴면상태로 있는데, 이는 종자가 미성숙하여 배가 덜 발달하였거나, 저해물질이 있기 때문이다. 앱시스산 같은 저해물질은 비에 의해 용해된다. 예를 들면, 사막의 1년생 식물들은 종종 종자에 높은 수준의 앱시스산을 가지고 있는데, 강우량이 충분할 때에만 앱시스산이 용해되어 종자가 발아된다.
(2) 종자의 휴면기간에 대한 과학적 실험
- 1879년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시행되었는데, 여러종류의 종자를 항아리에 봉하여 묻었다가 정기적으로 발아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일부 종자는 101년후(1980년)에도 여전히 발아가 되었다.
(3) 휴면의 타파
- ‘저온요구시간’을 적절히 경과해야 한다. 일정기간 동안 5도 이하의 저온에 경과되어야 하는데 이를 ‘저온요구시 간’ 이라 하며 품종에 따라 다르다.
4) 발아의 과정
(1) 1단계: 물리적 흡수기
①건조한 종자가 물을 흡수하고 효소가 가동되면 물질대사가 시작된다.
②배 안의 물질이 에너지가 된다.
③물을 흡수한 결과 배와 종피가 부풀어 종피가 파열된 후 산소로 고효율의 호흡을 한다.
(2) 2단계: 지체기
①씨가 충분히 물을 흡수하면 산소로 호흡하지 않는다.
②여전히 배 안의 물질이 에너지가 된다.
③3단계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기간
(3) 3단계: 흡수기
①세포물질의 합성, 대사가 활발해지고 뿌리나 어린식물의 끝에서 세포분열이 일어난다.
②배젖 또는 떡잎에 축적되어 있는 녹말 또는 지방을 이용한다.
③발아능력이 없어진 씨나 휴면씨는 1,2단계는 진행되나 3단계는 진행되지 않는다.
5) 생장
식물체의 부피가 커지는 것으로써, 식물이 자란다는 것은 정단부 조직의 분열과 그것의 생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것이다. 이렇게 분열하고 자란 세포들이 각각의 특수한 부분들로 분화되어지고 성숙되어지는 것이다.
4) 발아와 생장
종자가 발아하면 자엽과 배의 유근이나 배축이 신장되는 것으로 첫 생장부분은 유근 또는 배근이다. 뿌리가 토양을 뚫고 자라는 데는 상당한 저항을 받기 때문에 뿌리끝은 근관에 의해 보호된다. 그러나 어린줄기 끝은 세포의 보호층으로 덮혀 있지 않다. 씨에서 갓자란 콩의 줄기는 고리모양으로 굽어서, 그 끝이 토양으로부터 당겨져 나온다. 옥수수와 다른 단자엽식물에는 어린싹을 둘러싸는 초엽이 있다. 이 초엽은 토양을 밀어올려주고 , 연한 어린싹이 초엽 속을 통해서 자라 나오게 한다.
6.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의 발아의 차이점
배의 모양
떡잎의 개수
떡잎의 기능
어린눈과
뿌리의 보호
쌍떡잎식물
심장형 구조
2개의 떡잎(자엽)
양분의 저장,
소화, 흡수
해당기관 없음
외떡잎식물
긴 원통형 구조
1개의 떡잎
배젖의 저장양분을 흡수
자엽초 , 근초
Ⅶ. 참고 문헌
▷ 제 7차 과학과 교과서 4학년 1학기 과학, 교육부, 2001.
▷ 제 7차 과학과 교과서 4학년 1학기 실험관찰, 교육부, 2001.
▷ 제 7차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4학년 1학기 과학, 교육부, 2001.
▷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교육 인적 자원부, 1999.
▷ 식물 발생학, S.S.Bhojwani, S.P.Bhatnagar, 아카데미서적, 2000.
▷ “동, 식물의 생장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이용주ㆍ한귀연, 1997.
▷ “식물 생장에 관한 아동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Space 수업 전략의 효과”, 김정호, 1994.
▷ www.balan.hs.kr/2003/main.cgi/농업기초기술.hw...ame=농업기초기술.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