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의 인물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길동전의 인물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길동의 어머니
2. 초란
3. 홍승상의 부인
4. 홍승상의 부인과 큰 아들 길현
5. 홍승상의 세 부인 & 길동의 세 부인
6. 홍승상

맺으며

본문내용

아버지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포용적이고 수용적이고 관대한 모습을 그리고 있을 뿐 아니라 길동이 개인적, 사회적 성공을 거둔 후에는 그 성과를 온전히 누리고 있는 것이다. 홍학희, “허균:‘남성-양반’ 중심의 개혁론자” [한문학사의 여성인식](집문사, 2003), p.205
이것은 홍길동의 과도기적인 영웅의 모습, 즉 윤리적 제약으로 인한 것 김일렬, [고전소설신론](새문사, 2003) p.169
이라 이해될 수 있으나 허균이 이 소설 속에서 다른 여성인물을 대하고 바라보는 시각과 엄연한 차이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맺으며
「홍길동전」을 양성성의 입장에서 살펴보는 것이 그렇게 쉽지만은 않았다. 특히 작품 속에서 양성성에 어긋나는 몇 가지를 바라볼 때 그 시대적 상황이라는 것과의 적정선을 찾는 것에 고심하였다.
허균이 급진적 개혁론자였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도 당시 명문가에서 성장한 사대부였기에 작품 속에서 그의 시선이나 생각의 범위가 양반계층의 테두리 안에 머물러 있는 듯 하다. 우리는「홍길동전」속의 여성차별에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일부다처제 혹은 일부일처축첩제라는 제도라 보았다. 이 구조로 인해 길동어미의 비극도, 초란의 살인극도, 길동이 서얼로서 고통 받는 것도 일어나게 된 것이다. 하지만「홍길동전」에서 허균이 이러한 문제들을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보면 허균의 생각이 여기에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렇듯 성차별 혹은 양성성의 문제는 허균과 같이 시대를 앞서간 지식인도 넘을 수 없었던 개인의 한계이자, 시대적 한계였던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