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arx
2. 각 나라에서 공산주의가 나타나게 된 배경
1) 조선
2) 러시아
3) 중국
3. 이 당시 구축된 사회주의 사상의 주요내용
1) 철학
2) 경제학
3) 사회사상
4. 공산주의가 옳은가 그른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바탕된 논리를 잘 알아야한다.
1)철학 중 유물 변증법과 유물사관
2)유물변증법의 원칙
3) 유물사관
5. 평가
2. 각 나라에서 공산주의가 나타나게 된 배경
1) 조선
2) 러시아
3) 중국
3. 이 당시 구축된 사회주의 사상의 주요내용
1) 철학
2) 경제학
3) 사회사상
4. 공산주의가 옳은가 그른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바탕된 논리를 잘 알아야한다.
1)철학 중 유물 변증법과 유물사관
2)유물변증법의 원칙
3) 유물사관
5. 평가
본문내용
인을 하부구조로 보고 경제 외적인 요인-법, 정치, 인문, 연극, 영화-을 상부구조로 보았다.)
유물사관은 이러한 하부구조에 대응하여 상부구조가 존재하는 것이라 하고 하부구조가 규제하는 범위 내에서 상부구조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사관으로 인해 북한에서는 아직도 공산가요와 공산당찬양시가 존재하고, 거주이전의 자유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깊이 보면 이것도 의미가 없다. 사상이 혁명을 일으키는 것이지 혁명이 사상을 부르는 것은 아니다.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움직인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이 논리 역시 객관적, 타당성 있는 논거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헤겔의 변증법에서 발전하는 주체는 이념(유신론, 유신변증법)이지만, 맑스의 변증법의 주체는 이념이 아니라 물질(예: 밀알, 물)인 유물변증법이다.
-경제부문의 자본주의는 가진 자가 갖지 못한 자를 억압ㆍ착취하는 사회이고, 이러한 역사가 자본주의 시대의 역사이다. 즉 모순의 시대이다. 이러한 억압과 착취라는 내재적 모순을 갖고 있는 자본주의는 망하고 공산주의가 와야한다 라는 자본주의의 자멸이론과 공산주의의 도래이론을 주장한다.
(@종교)
공산주의는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하나의 종교로 본다. => 공산주의를 신봉하도록 교육
5. 평가
당시에 실제로 자본주의의 내재적 모순은 있었지만, 정당주의가 나오면서 여당과 야당의 경쟁에의해(표를 얻기위해 서로 나은 정책주장) 이러한 모순이 제거되자, 자본주의의 번성(GNP상승, 삶의 질 향상)=>모순 제거된 현재에는 맞지 않는 공산주의를, 북한은 어거지로 뒤집어 씌우면 안된다. 따라서 이 논리를 수긍할 수 없다
유물사관은 이러한 하부구조에 대응하여 상부구조가 존재하는 것이라 하고 하부구조가 규제하는 범위 내에서 상부구조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사관으로 인해 북한에서는 아직도 공산가요와 공산당찬양시가 존재하고, 거주이전의 자유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깊이 보면 이것도 의미가 없다. 사상이 혁명을 일으키는 것이지 혁명이 사상을 부르는 것은 아니다.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움직인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이 논리 역시 객관적, 타당성 있는 논거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헤겔의 변증법에서 발전하는 주체는 이념(유신론, 유신변증법)이지만, 맑스의 변증법의 주체는 이념이 아니라 물질(예: 밀알, 물)인 유물변증법이다.
-경제부문의 자본주의는 가진 자가 갖지 못한 자를 억압ㆍ착취하는 사회이고, 이러한 역사가 자본주의 시대의 역사이다. 즉 모순의 시대이다. 이러한 억압과 착취라는 내재적 모순을 갖고 있는 자본주의는 망하고 공산주의가 와야한다 라는 자본주의의 자멸이론과 공산주의의 도래이론을 주장한다.
(@종교)
공산주의는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하나의 종교로 본다. => 공산주의를 신봉하도록 교육
5. 평가
당시에 실제로 자본주의의 내재적 모순은 있었지만, 정당주의가 나오면서 여당과 야당의 경쟁에의해(표를 얻기위해 서로 나은 정책주장) 이러한 모순이 제거되자, 자본주의의 번성(GNP상승, 삶의 질 향상)=>모순 제거된 현재에는 맞지 않는 공산주의를, 북한은 어거지로 뒤집어 씌우면 안된다. 따라서 이 논리를 수긍할 수 없다
추천자료
[공산주의]
프랑스혁명의 해석을 통한 역사인식틀의 발상 전환 - 세계체제이론
[과외]고등 공산주의의 이념과 실제 03
[시민사회][시민사회론]시민사회의 변천과 다양한 시민사회론 고찰 및 성숙한 시민사회의 요...
사회과학, 과학인가? 이데올로기인가?: 학문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맑스주의
마르크스(맑스)의 사회주의 혁명 이론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북한 문화예술 관계, 정책, 문예이론, 창작제도, 분야별 실태, 예...
빈곤 문제의 특징, 정의, 빈곤의 측정, 빈곤 이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빈곤, 분석, 특징...
2012년 2학기 기초거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케인즈의 유효수요이론)
현대문화론 - 공산주의와 코뮨주의
마르크스주의(맑스주의)에 대하여
2015년 2학기 기초거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케인즈의 유효수요이론, 재정정책의 예)
유시민의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을 읽고(부자의경제학, 빈민의경제학, 경제이론, 자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