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취업 적합직종 발굴 및 수요처 개발방안 -노인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일자리 창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노인일자리 창출사업과 사회적 일자리

Ⅲ. 한국의 노인일자리 창출사업

Ⅳ. 외국의 노인 일자리 창출 사업

Ⅴ. 향후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의 방향

본문내용

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 기관에 대한 충분한 기금이 지원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현재 노인일자리 창출 사업을 시도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혹은 노인복지관 등에 충분한 인건비 및 관리비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운영자의 입장에서 굳이 정성들여 할 필요가 없는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을 무엇 때문에 하겠는가?
넷째, 고령자 적합직종과 노인일자리 사업은 구분되어야 한다. 그동안 노동부 주관의 고령자 적합직종 개발과 보건복지부 주관의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은 중복되고 혼동되어 그 대상이 모호하였었다. 고령자 적합직종이 55세 이상의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실제 적합직종에 취업이 된다 해도 그것은 50세 후반까지이고 60세 이상의 노인이 취업되는 경우는 드물다. 현실적으로 50대는 정년연장 혹은 정년 후 재고용 등의 욕구가 강하고 소득이 절실한 재취업 대상이고, 60대는 소득이 중요하긴 하지만 그것과 함께 정년 후 자기효능감 혹은 사회적 유능성을 확인하려는 욕구가 강한 재통합 대상이다. 기술훈련에 있어서도 50대와 60대의 욕구와 능력은 상이하다. 따라서 노인일자리 사업은 고령자 적합직종을 참고하고 응용은 할 수 있으나, 그 대상과 내용은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사회적 일자리 사업이 촉진될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다섯째, 현재의 노인인력운영센터는 향후 보다 포괄적인 ‘노인인력개발공단(가칭)’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은 충분한 예산지원과 함께 사업계획가 혹은 사업수행자의 뛰어난 기획과 조정 능력을 필요로 하고, 때로는 그들이 발품을 팔면서 관계자들을 설득해야 성과를 볼 수 있는 고된 일이다. 노인들의 관심과 능력, 단기 혹은 장기의 취업욕구, 전일제 혹은 시간제의 신체적 능력, 전문성 있는 일의 수용 여부 등 노인 개개인의 상황을 잘 파악하여 맞춤형 일자리 제공이 아니면 지속적으로 취업유지를 시키기가 어렵다. 노인의 능력에 관한 부정적인 선입관이 만연한 사회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와 홍보 또한 중요하다. 특히 그동안 제대로 다루지 못했던 노인능력개발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노인인력개발공단의 설립이 필요하다. 이 공단은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능력개발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재평가하는 업무와 노인취업 관련 기관의 기존 실무자의 재교육 혹은 새로운 전문가를 양성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노인의 인력개발과 관련된 정부부처 및 민간단체의 업무를 통합조정하고, 국내외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구이다. 노인일자리에 관한 이러한 포괄적이고 전문화된 기구만이 기술훈련이 중요시 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실효성 있는 계획(planning)과 개발(development)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동배, 이윤화(2003). 『저소득층 노인의 소득창출과 연계한 능력개발 방안 연구』. 2002년 보건복지부 정책과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김성순(1985). 『고령사회와 노동』. 이우출판사.
김신양(2002). “대안의 경제시스템과 사회적 연대를 위한 사회적 기업, 또는 제3섹터."『빈곤과 실업극복을 위한 국제포럼 자료집』. 한국노동연구원.
노대명(2004). “외국사례를 통해 본 사회적 일자리 유형.” 종로자활후견기관 홈페이지(http://www.jrjahwal.or,kr) 자료실.
노대명(2003). “사회적 일자리 창출의 쟁점과 과제.” 『국제노동브리프』. 노동연구원. 61-68.
박찬임(2004). “사회적일자리 대두배경.” 종로자활후견기관 홈페이지 자료실.
보건복지부(2004). 『2004년도 노인일자리사업안내』.
석재은(2003). “공적연금의 사각지대: 실태, 원인과 정책방안.” 『한국사회복지학』 53. 285-310.
전병유 외(2003). 『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중앙고용정보원(2002). 『고령자 적합직종 개발보고서』.
지성희(2002). “일본 고령자협동조합과 적용가능성.” 『제5회 노인복지전문가세미나』. 밝은 노후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모임.
최성재(2002). “중고령자의 증가와 경제활동.” 『중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 지원 대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9-62.
한만주(2002). “중고령자의 실업 및 노동시장 차별” 토론. 『중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 지원 대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1-117.
황덕순(2004). “사회적 일자리의 개념과 유형.” 종로자활후견기관 홈페이지 자료실.
America's Workforce Network(2001). The Older Americans Act Amendments of 2000: Legislative Changes to the Senior Community Service Employment Program
Erikson, E. H.(1964).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W. W. Norton & Co.
Havighurst, R. J.(1972). Developmental Task and Education(3rd ed.). New York: David Mckay.
Kaye, L. W., Alexander, L. B. & Kauffman, S.(1999). "Factors Contributing to Job Quality and Satisfaction Among Ethnically Diverse, Lower Income, Elderly Part-Tim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1(1/2). 143-166.
Laslett, P. A.(1989). Fresh Map of Life.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State of Michigan, Office of Services to the Aging(2004). 2003 Annual Report.
21세기 실버포럼(2003). 『4060세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 당선작』.
매일신문 홈페이지: http://www.imaeil.com
유니실버 홈페이지: http://www.unisilver.co.kr
미국 노동성 홈페이지: http://doleta.gov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01.0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