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본문
1.자살의 정의 및 유사개념 분석
2.자살의 원인
3.국내 자살 현황 분석
4.자살의 유형
5.자살문제에 대한 종교적 접근
6.자살문제에 대한 대안책
Ⅲ.맺으며
참고자료 및 문헌
Ⅱ.본문
1.자살의 정의 및 유사개념 분석
2.자살의 원인
3.국내 자살 현황 분석
4.자살의 유형
5.자살문제에 대한 종교적 접근
6.자살문제에 대한 대안책
Ⅲ.맺으며
참고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돕기 위해서는 자살의 조기경보 신호를 빨리 읽어내야 한다.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자살의 전조신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자살하겠다는 이야기를 농담반 진담반으로 한다.
갑자기 사찰이나 교회를 찾는다.
몸이 크게 불편하지도 않으면서 의사를 찾아가 아프다고 이야기한다.
평소 아끼던 물건들을 스스럼없이 남에게 주거나 사진 등을 정리한다.
불면증에 걸린 사람이 숙면을 취하거나, 숙면을 취하던 사람이 잠을 못 자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식사량이 줄어든다.
가족이나 친구에게 뜬금 없이 전화해 ‘잘 지내’ ‘그동안 고마웠어’등의 말을 한다.
유언을 써 두는 등 마치 긴 여행을 떠나는 듯한 행동을 한다.
특히 근래 가족친지가 사망했거나, 청소년의 경우 동일시하는 인물이 사망한 경우, 평소 우울증상이 있는 경우, 평소 알코올로 인한 정신 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가족중에 자살자가 있는 경우에는 ‘자살 고위험군’에 속하는데, 여기에 속하는 사람들을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렇듯 우리는 평소에 조금만 타인에게 관심을 가진다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자살하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나온다면 나 역시 공범자라는 책임의식을 가져야 하며, 내가 속한 공동체를 정겹고 신뢰할 만하고 서로에게 책임지며 돌보는 보살핌의 공동체로 변화시켜 나가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야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관심을 갖고서 남을 수용해하는 ‘창문 열기’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고민해 봐야할 것이다. 이렇게 남을 위해 나에게 있는 무언가를 나누고 베푸는 행동을 가리켜 기독교에서는 ‘섬김(servise)'이라고 하고, 불교에서는 ’보시(布施)‘라고 한다.
비록 작은 실천일지 몰라도, 생활 속에서 타인에 대한 관심과 베품이 결국 우리 사회를 서서히 ‘살 맛 나는’곳으로 변화시킬 것이라 믿는다.
Ⅲ.맺으며
현재의 심각성이 날로 깊어가는 자살문제는 이전의 불균형적인 사회발달로 인해 발생된 많은 사회문제들과 사회 전반적인 생명경시적인 흐름에서 그 원인을 엿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로 인해 기존의 다른 사회문제들에 대한 부수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자살의 정의를 알고, 자살의 원인을 분석하여, 자살의 예방법을 알아봤으며, 또한 자살을 종교적 차원에서도 살펴보았다. 앞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자살문제는 다른 사회문제와는 달리 치료란 거의 불가능하다. 치료를 할 수 있는 경우는 자살이 실패로 끝난 경우에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수의 가르침 중에서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뜻은 이웃사랑뿐만이 아니라 건강한 자기 사랑 또한 하나님 사랑의 밑거름이 된다는 뜻이다. 이처럼 자기 몸을 소중히 여기는 정신이야말로 우리가 자살을 피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자살의 가장 큰 예방은 서로에게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 옆집에 홀로 사는 노인은 없는가! 뒷집에 어린 청소년이 집안을 혼자 꾸리진 않는가! 우리 주변을 살피는 것 이야말로 가장 큰 예방임을 배웠다. 이에 따라 우리는 자살을 기도하는 사람들을 '우리'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서로를 사랑으로 감싸 안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자살은 결코 문제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문제의 ‘시작’이다. 자살에 이르도록 만든 그 원인이야말로 나로 하여금 새로운 부활의 삶을 살도록 자극하고 초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및 문헌
박상칠, 1998, 자살예방 할 수 있다, 학지사
청소년백서, 2003
청소년 자살의 원인과 실태, 2004,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자살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2003, 청소년보호위원회
자살하겠다는 이야기를 농담반 진담반으로 한다.
갑자기 사찰이나 교회를 찾는다.
몸이 크게 불편하지도 않으면서 의사를 찾아가 아프다고 이야기한다.
평소 아끼던 물건들을 스스럼없이 남에게 주거나 사진 등을 정리한다.
불면증에 걸린 사람이 숙면을 취하거나, 숙면을 취하던 사람이 잠을 못 자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식사량이 줄어든다.
가족이나 친구에게 뜬금 없이 전화해 ‘잘 지내’ ‘그동안 고마웠어’등의 말을 한다.
유언을 써 두는 등 마치 긴 여행을 떠나는 듯한 행동을 한다.
특히 근래 가족친지가 사망했거나, 청소년의 경우 동일시하는 인물이 사망한 경우, 평소 우울증상이 있는 경우, 평소 알코올로 인한 정신 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가족중에 자살자가 있는 경우에는 ‘자살 고위험군’에 속하는데, 여기에 속하는 사람들을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렇듯 우리는 평소에 조금만 타인에게 관심을 가진다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자살하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나온다면 나 역시 공범자라는 책임의식을 가져야 하며, 내가 속한 공동체를 정겹고 신뢰할 만하고 서로에게 책임지며 돌보는 보살핌의 공동체로 변화시켜 나가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야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관심을 갖고서 남을 수용해하는 ‘창문 열기’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고민해 봐야할 것이다. 이렇게 남을 위해 나에게 있는 무언가를 나누고 베푸는 행동을 가리켜 기독교에서는 ‘섬김(servise)'이라고 하고, 불교에서는 ’보시(布施)‘라고 한다.
비록 작은 실천일지 몰라도, 생활 속에서 타인에 대한 관심과 베품이 결국 우리 사회를 서서히 ‘살 맛 나는’곳으로 변화시킬 것이라 믿는다.
Ⅲ.맺으며
현재의 심각성이 날로 깊어가는 자살문제는 이전의 불균형적인 사회발달로 인해 발생된 많은 사회문제들과 사회 전반적인 생명경시적인 흐름에서 그 원인을 엿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로 인해 기존의 다른 사회문제들에 대한 부수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자살의 정의를 알고, 자살의 원인을 분석하여, 자살의 예방법을 알아봤으며, 또한 자살을 종교적 차원에서도 살펴보았다. 앞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자살문제는 다른 사회문제와는 달리 치료란 거의 불가능하다. 치료를 할 수 있는 경우는 자살이 실패로 끝난 경우에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수의 가르침 중에서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뜻은 이웃사랑뿐만이 아니라 건강한 자기 사랑 또한 하나님 사랑의 밑거름이 된다는 뜻이다. 이처럼 자기 몸을 소중히 여기는 정신이야말로 우리가 자살을 피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자살의 가장 큰 예방은 서로에게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 옆집에 홀로 사는 노인은 없는가! 뒷집에 어린 청소년이 집안을 혼자 꾸리진 않는가! 우리 주변을 살피는 것 이야말로 가장 큰 예방임을 배웠다. 이에 따라 우리는 자살을 기도하는 사람들을 '우리'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서로를 사랑으로 감싸 안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자살은 결코 문제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문제의 ‘시작’이다. 자살에 이르도록 만든 그 원인이야말로 나로 하여금 새로운 부활의 삶을 살도록 자극하고 초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및 문헌
박상칠, 1998, 자살예방 할 수 있다, 학지사
청소년백서, 2003
청소년 자살의 원인과 실태, 2004,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자살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2003, 청소년보호위원회
추천자료
사회문제-여가문제
사회문제로서의 주택문제와 주택정책
[기능주의]기능주의의 이해와 기능주의 관점으로 본 사회문제의 정의와 원인 및 해결방법, 기...
[기능주의 갈등주의]기능주의와 갈등주의에 입각한 사회문제 설명, 사회문제에 대한 기능주의...
[노년층 빈곤] 고령화사회에 따른 노년층 빈곤의 해결책 제시- 노인빈곤문제(한국사회문제 A형)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인식 및 접근이론과 분석의 틀
사회문제 중 환경문제의 원인, 결과에 대하여 구조기능주의적 시각과 갈등주의적 시각을 통해...
사회문제의 사례를 하나를 선택하여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서술
[지역사회영양학 A형] 최근 우리나라에서 노령인구 증가와 저 출산이 큰 사회문제로 되고 있...
현재, 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문제는 무엇이며 만약 자신이 사...
한국 도시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