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면
불면
음증
음궐
양궐
훈궐
장궐
음독
양독
양성거음
음성거양
취증불취
불면
음증
음궐
양궐
훈궐
장궐
음독
양독
양성거음
음성거양
취증불취
본문내용
으로 助熱爲邪하여 內外皆陽하여 陰氣暴絶故耳라.
우혹증속양명을 오투온약으로 조열위사하여 내외개양하여 음기폭절고이라.
또한 혹은 증상이 양명병에 속함은 잘못 따뜻한 약을 투여하여 열을 도와 사기가 되게 하여 안팎이 다 양이 되고 음기가 갑자기 끊어지기 때문이다.
外證은 比常 陽證의 潮汗 閉澁 滿渴 狂하다.
외증은 비상 양증의 조한 폐삽 만갈 광섬하다.
양독의 외부 증상은 정상 양증에 비하여 조열 발한 대변폐색 소변깔깔함 그득하고 갈증과 발광 섬어가 있다.
甚則發斑 喘急하여 加以吐血 咽腫하고 兩眼如火하며 六脈이 洪大促數하니 宜黑奴丸과 白虎湯과 三黃湯과 生地芩連湯과 陽毒升麻湯이오.
심즉발반 천급하여 가이토혈 인종하고 양안여화하며 육맥이 홍대촉삭하니 의흑노환과 백호탕과 삼황탕과 생지금련탕과 양독승마탕이오.
양독이 심하면 반점이 발생하고 숨차고 급하여 토혈과 인후부종이 더해지고 양 눈이 불과 같고 6맥이 홍대하고 촉급하고 빠르니 흑노환과 백호탕과 삼황탕과 생지금련탕과 양독승마탕이 의당하다.
咽痛及赤斑者는 靑黛一物을 每用二錢하여 井水調服하고 或活龍散이 尤妙하니 陰氣復而大汗解矣라.
인통급적반자는 청대일물을 매용이전하여 정수조복하고 혹활용산이 우묘하니 음기복이대한해의라.
인후통증과 적색 반점은 청대 한 약물을 매번 8그램을 사용하여 우물물로 조절 복용하고 혹은 활용산이 더욱 오묘하니 음기가 회복되고 크게 땀이 나고 풀린다.
外用冷水로 紙하여 搭胸하되 熱하면 又易之라.
외용냉수로 잠지하여 탑흉하되 열하면 우역지라.
(담글 잠; 艸-총23획; zhan)
搭(탈, 태우다 탑; 手-총13획; da)
외부에 찬 물을 사용하여 종이를 적셔서 가슴에 걸되 뜨거우면 또한 바꾼다.
詩에 云 陽毒健亂四肢煩하니 面赤生花生點斑이라.
시에 운 양독건란사지번하니 면적생화생점반이라.
시에 말하길 양독으로 건강이 혼란하고 사지가 번조하니 얼굴이 붉고 안화가 생기고 반점이 생성된다.
狂言妄語如神鬼하고 下利黃赤喉不安이라.
광언망어여신귀하고 하리황적후불안이라.
발광하는 말과 망령된 말을 귀신과 같이 하고, 황적색을 하리하고 후두가 불안하게 된다.
汗出遍身하면 應大오 魚口開張하면 命欲이라.
한출편신하면 응대차오 어구개장하면 명욕번이라.
온 몸에 땀이 나서 반응이 크게 낫고, 어구[瘢瘡口]가 열리면 생명이 뒤집어지려고 한다.
有藥不辜커든 但與服이니 能過七日漸能安이라 하니라.
유약불고커든 단여복이니 능과칠일점능안이라 하니라.
약이 허물이 없으면 다만 투여하여 복용하니 7일을 지나서 점차 편안케 된다.
又陰陽二毒의 伏逆이 變爲結胸하여 有自利者하고 有大便閉하여 用藥而不得利者하니라.
우음양이독이 복역이 변위결흉하여 유자리자하고 유대변폐하여 용약이부득리자하니라.
음독 양독 2독의 잠복 상역이 변하여 결흉이 되어서 자리가 된 것이 있고 대변이 막힌 환자가 있어서 약을 사용하면 하리하지 않는 환자가 있다.
宜結胸條의 灸臍法으로 以利之하라.
의결흉조의 구제법으로 이리지하라.
의당 결흉 조문의 배꼽을 뜸뜨는 방법으로 하리한다.
陽毒엔 內服 活龍散하고 陰毒엔 內服 破結丹하라.
양독엔 내복 활룡산하고 음독엔 내복 파결단하라.
양독에는 활용산을 내복하고 음독에는 파결단을 내복한다.
庶幾陰毒이 得泄 則陽氣復하고 陽毒이 得泄則陰氣復하여 陰陽이 升降하고 榮衛流行하여 自然大汗而解矣어니라.
서기음독이 득설 즉양기복하고 양독이 득설즉음기복하여 음양이 승강하고 영위유행하여 자연대한이해의어니라.
거의 음독이 발설하고 양기가 회복하고 양독이 발설을 얻으면 음기가 회복되니 음양이 상승하강하고 영위가 유행하여 자연히 크게 땀이 나고 풀린다.
若心下已結하여 延之[至]五日間하면 斷不可活이니라.
약심하이결하여 연지오일간하면 단불가활이니라.
만약 심하가 이미 울결하고 5일간 연장되면 결단코 살 수 없다.
【陽盛拒陰】은 大熱證也나 脈數而身反盡寒하다.
양성거음은 대열증야나 맥삭이신반진한하다.
양이 왕성하여 음을 막음은 큰 열증이나 맥아 빠르나 몸은 반대로 다 차다.
【陰盛拒陽】은 大虛證也나 身熱而脈不鼓擊이라.
음성거양은 대허증야나 신열이맥불고격이라.
음이 왕성하여 양을 막음은 큰 허증이나 몸이 뜨겁고 맥은 고동치지 못한다.
此는 言陰陽의 隔絶이니 必死之證이오 不特極與毒而已이라.
차는 언음양의 격절이니 필사지증이오 불특극여독이이이라.
이는 음양의 떨어지고 끊어짐이니 반드시 죽는 증상이며 특별히 지극히 양극 음극 양독 음독 뿐만이 아니다.
病人이 身寒厥冷하되 其脈이 滑數하여 按之하면 鼓擊於指下者는 非眞寒也라.
병인이 신한궐랭하되 기맥이 활삭하여 안지하면 고격어지하자는 비진한야라.
환자가 몸이 차고 궐랭하여 그 맥이 활삭하여 누르면 손가락 아래에서 뛰는 것은 진짜 한증이 아니다.
此名陽盛拒陰이니 宜三黃臣[巨]勝湯이오.
차명양성거음이니 의삼황거승탕이오.
이는 양이 왕성하여 음을 막음을 명명함이니 삼황신승탕이 의당하다.
身熱 脈數하되 按之不擊하며 或身冷而欲坐井中하고 欲漱水而不入口者는 非眞熱也라.
신열 맥삭하되 안지불격하며 혹신랭이욕좌정중하고 욕수수이불입구자는 비진열야라.
몸이 뜨겁고 맥이 빠르되 누르면 때리지 않고, 혹은 몸이 차고 우물 속에 앉아 있고 물로 양치질 하려고 하나 입으로 넣지 않는 환자는 진짜 열이 아니다.
此名陰盛拒陽이니 宜霹靂散이니라.
차명음성거양이니 의벽력산이니라.
이는 음이 왕성하여 양을 막았다고 말하니 벽력산이 의당하다.
取證而不取脈은 可汗과 可下오.
취증이 불취맥은 가한과 가하오.
증상을 취하고 맥을 취하지 않음은 가한증과 가하증이요.
脈浮하되 可下는 以熱이 入府 而不大便이니 借使大便이 不難이면 其敢下之乎아?
맥부하되 가하는 이열이 입부이부대변이니 차사대변이 불난이면 기감하지호아?
맥이 뜨되 사하할 수 있음은 열이 6부에 들어가서 대변을 보지 못함이니 가령 대변이 어렵지 않으면 감히 사하하겠는가?
脈沈하되 可汗은 以熱이 在表故也라.
맥침하되 가한은 이열이 재표고야라.
맥이 가라앉되 발한함은 열이 표부에 있기 때문이다.
故用溫藥하여 微汗하니 借使 身不發熱하면 其敢汗之乎아?
고용온약하여 미한하니 가사 신불발열하면 기감한지호아?
그래서 따뜻한 약을 사용하여 약간 땀을 내니 가령 몸이 열이 나지 않으면 감히 땀을 내겠는가?
우혹증속양명을 오투온약으로 조열위사하여 내외개양하여 음기폭절고이라.
또한 혹은 증상이 양명병에 속함은 잘못 따뜻한 약을 투여하여 열을 도와 사기가 되게 하여 안팎이 다 양이 되고 음기가 갑자기 끊어지기 때문이다.
外證은 比常 陽證의 潮汗 閉澁 滿渴 狂하다.
외증은 비상 양증의 조한 폐삽 만갈 광섬하다.
양독의 외부 증상은 정상 양증에 비하여 조열 발한 대변폐색 소변깔깔함 그득하고 갈증과 발광 섬어가 있다.
甚則發斑 喘急하여 加以吐血 咽腫하고 兩眼如火하며 六脈이 洪大促數하니 宜黑奴丸과 白虎湯과 三黃湯과 生地芩連湯과 陽毒升麻湯이오.
심즉발반 천급하여 가이토혈 인종하고 양안여화하며 육맥이 홍대촉삭하니 의흑노환과 백호탕과 삼황탕과 생지금련탕과 양독승마탕이오.
양독이 심하면 반점이 발생하고 숨차고 급하여 토혈과 인후부종이 더해지고 양 눈이 불과 같고 6맥이 홍대하고 촉급하고 빠르니 흑노환과 백호탕과 삼황탕과 생지금련탕과 양독승마탕이 의당하다.
咽痛及赤斑者는 靑黛一物을 每用二錢하여 井水調服하고 或活龍散이 尤妙하니 陰氣復而大汗解矣라.
인통급적반자는 청대일물을 매용이전하여 정수조복하고 혹활용산이 우묘하니 음기복이대한해의라.
인후통증과 적색 반점은 청대 한 약물을 매번 8그램을 사용하여 우물물로 조절 복용하고 혹은 활용산이 더욱 오묘하니 음기가 회복되고 크게 땀이 나고 풀린다.
外用冷水로 紙하여 搭胸하되 熱하면 又易之라.
외용냉수로 잠지하여 탑흉하되 열하면 우역지라.
(담글 잠; 艸-총23획; zhan)
搭(탈, 태우다 탑; 手-총13획; da)
외부에 찬 물을 사용하여 종이를 적셔서 가슴에 걸되 뜨거우면 또한 바꾼다.
詩에 云 陽毒健亂四肢煩하니 面赤生花生點斑이라.
시에 운 양독건란사지번하니 면적생화생점반이라.
시에 말하길 양독으로 건강이 혼란하고 사지가 번조하니 얼굴이 붉고 안화가 생기고 반점이 생성된다.
狂言妄語如神鬼하고 下利黃赤喉不安이라.
광언망어여신귀하고 하리황적후불안이라.
발광하는 말과 망령된 말을 귀신과 같이 하고, 황적색을 하리하고 후두가 불안하게 된다.
汗出遍身하면 應大오 魚口開張하면 命欲이라.
한출편신하면 응대차오 어구개장하면 명욕번이라.
온 몸에 땀이 나서 반응이 크게 낫고, 어구[瘢瘡口]가 열리면 생명이 뒤집어지려고 한다.
有藥不辜커든 但與服이니 能過七日漸能安이라 하니라.
유약불고커든 단여복이니 능과칠일점능안이라 하니라.
약이 허물이 없으면 다만 투여하여 복용하니 7일을 지나서 점차 편안케 된다.
又陰陽二毒의 伏逆이 變爲結胸하여 有自利者하고 有大便閉하여 用藥而不得利者하니라.
우음양이독이 복역이 변위결흉하여 유자리자하고 유대변폐하여 용약이부득리자하니라.
음독 양독 2독의 잠복 상역이 변하여 결흉이 되어서 자리가 된 것이 있고 대변이 막힌 환자가 있어서 약을 사용하면 하리하지 않는 환자가 있다.
宜結胸條의 灸臍法으로 以利之하라.
의결흉조의 구제법으로 이리지하라.
의당 결흉 조문의 배꼽을 뜸뜨는 방법으로 하리한다.
陽毒엔 內服 活龍散하고 陰毒엔 內服 破結丹하라.
양독엔 내복 활룡산하고 음독엔 내복 파결단하라.
양독에는 활용산을 내복하고 음독에는 파결단을 내복한다.
庶幾陰毒이 得泄 則陽氣復하고 陽毒이 得泄則陰氣復하여 陰陽이 升降하고 榮衛流行하여 自然大汗而解矣어니라.
서기음독이 득설 즉양기복하고 양독이 득설즉음기복하여 음양이 승강하고 영위유행하여 자연대한이해의어니라.
거의 음독이 발설하고 양기가 회복하고 양독이 발설을 얻으면 음기가 회복되니 음양이 상승하강하고 영위가 유행하여 자연히 크게 땀이 나고 풀린다.
若心下已結하여 延之[至]五日間하면 斷不可活이니라.
약심하이결하여 연지오일간하면 단불가활이니라.
만약 심하가 이미 울결하고 5일간 연장되면 결단코 살 수 없다.
【陽盛拒陰】은 大熱證也나 脈數而身反盡寒하다.
양성거음은 대열증야나 맥삭이신반진한하다.
양이 왕성하여 음을 막음은 큰 열증이나 맥아 빠르나 몸은 반대로 다 차다.
【陰盛拒陽】은 大虛證也나 身熱而脈不鼓擊이라.
음성거양은 대허증야나 신열이맥불고격이라.
음이 왕성하여 양을 막음은 큰 허증이나 몸이 뜨겁고 맥은 고동치지 못한다.
此는 言陰陽의 隔絶이니 必死之證이오 不特極與毒而已이라.
차는 언음양의 격절이니 필사지증이오 불특극여독이이이라.
이는 음양의 떨어지고 끊어짐이니 반드시 죽는 증상이며 특별히 지극히 양극 음극 양독 음독 뿐만이 아니다.
病人이 身寒厥冷하되 其脈이 滑數하여 按之하면 鼓擊於指下者는 非眞寒也라.
병인이 신한궐랭하되 기맥이 활삭하여 안지하면 고격어지하자는 비진한야라.
환자가 몸이 차고 궐랭하여 그 맥이 활삭하여 누르면 손가락 아래에서 뛰는 것은 진짜 한증이 아니다.
此名陽盛拒陰이니 宜三黃臣[巨]勝湯이오.
차명양성거음이니 의삼황거승탕이오.
이는 양이 왕성하여 음을 막음을 명명함이니 삼황신승탕이 의당하다.
身熱 脈數하되 按之不擊하며 或身冷而欲坐井中하고 欲漱水而不入口者는 非眞熱也라.
신열 맥삭하되 안지불격하며 혹신랭이욕좌정중하고 욕수수이불입구자는 비진열야라.
몸이 뜨겁고 맥이 빠르되 누르면 때리지 않고, 혹은 몸이 차고 우물 속에 앉아 있고 물로 양치질 하려고 하나 입으로 넣지 않는 환자는 진짜 열이 아니다.
此名陰盛拒陽이니 宜霹靂散이니라.
차명음성거양이니 의벽력산이니라.
이는 음이 왕성하여 양을 막았다고 말하니 벽력산이 의당하다.
取證而不取脈은 可汗과 可下오.
취증이 불취맥은 가한과 가하오.
증상을 취하고 맥을 취하지 않음은 가한증과 가하증이요.
脈浮하되 可下는 以熱이 入府 而不大便이니 借使大便이 不難이면 其敢下之乎아?
맥부하되 가하는 이열이 입부이부대변이니 차사대변이 불난이면 기감하지호아?
맥이 뜨되 사하할 수 있음은 열이 6부에 들어가서 대변을 보지 못함이니 가령 대변이 어렵지 않으면 감히 사하하겠는가?
脈沈하되 可汗은 以熱이 在表故也라.
맥침하되 가한은 이열이 재표고야라.
맥이 가라앉되 발한함은 열이 표부에 있기 때문이다.
故用溫藥하여 微汗하니 借使 身不發熱하면 其敢汗之乎아?
고용온약하여 미한하니 가사 신불발열하면 기감한지호아?
그래서 따뜻한 약을 사용하여 약간 땀을 내니 가령 몸이 열이 나지 않으면 감히 땀을 내겠는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