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 미국인들의 관점에서 본 아메리카의 개척(팽창과정)
가. 서부 개척로
나. 텍사스 문제
2. 인디언의 눈으로 본 미국의 팽창과정
가. 초창기 인디언과 유럽인의 관계
나. 서부는 어떻게 사라졌는가
다. 서부 개척과 생태파괴
라.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
◎결 론
◎본 론
1. 미국인들의 관점에서 본 아메리카의 개척(팽창과정)
가. 서부 개척로
나. 텍사스 문제
2. 인디언의 눈으로 본 미국의 팽창과정
가. 초창기 인디언과 유럽인의 관계
나. 서부는 어떻게 사라졌는가
다. 서부 개척과 생태파괴
라.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
◎결 론
본문내용
은 세기말적 징후를 보이는 유럽에서 떨어져 나온 것을 다행으로 여기는 듯 했지만, 또 다른 미국인들은 신생국으로서 자신들의 지위를 확신하지 못했고, 미국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보증을 받고 싶어했다. 그러한 사람들에게 미합중국내에 있는 인디언에 대한 우월한 승리는 그들의 신생 조국의 진보를 입증해 주는 척도로 보인 것이다. ‘공화주의적 가치’는 그들을 유럽의 타락으로부터 분리시켜 주었으며, 그들의 성취한 업적은 ‘원시성’의 상징인 인디언 부족의 몰락과 함께 ‘진보’라는 결과물을 가져올 것이라는 자부심을 고취시켰던 것이다.
결 론
이상으로 미국의 식민지 팽창과 침략이라는 상반되는 관점의 자료를 조사해 보았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미국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잘못된 각인에 대해 좀 더 비판을 하고자 한다. 즉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미국의 제국주의자들은 인디언의 군사적 학살과 더불어 인디언을 단지 ‘야만인’으로 평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들은 이런 야만적인 인디언들을 그들의 청교도적인 개척정신으로 정화하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결국 당시 후발 제국주의 국가인 미국이 자기보다 약한 자들을 억압함으로써 얻는 자신감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얻고자 한 작업에 불과하다고 본다. 그리하여 이제까지 인디언은 변화되고 정복되어야 할 야생성의 상징이었으며, 인디언 부족의 몰락은 미합중국이 서부를 평정한 ‘정의의 진보’로서 우리에게 각인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오늘날 우리가 비판하는 ‘미국식 영웅주의’는 결국 이런 초창기 미국의 식민지 정복 과정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미국의 이런 영웅주의는 과연 인디언의 학살과정을 영웅들의 정복과정으로 그리는 것으로 끝이 난 이야기일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는 할리우드 영화를 통해, 미국의 수 많은 지식서들을 통해, 영어 ―북미권 영어― 라는 언어가 가진 헤게모니의 우월 의식을 통해 우리의 곳곳에 침투되어 있다. 특히 전후의 피폐한 상황 속에서 미국의 경제 원조에 큰 은혜(?) ―침탈의 은유적 표현이니 오해마시길― 를 입은 우리에겐 더욱 그러할 것이다. 결국 오늘날 미국의 제국주의적 침탈을 끊임없이 비판하면서도 ‘그래도 미국(제)은 다르다’라는 우리의 선입견은 이런 것들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닐까?
<< 참 고 자 료 >>
1. 민 석 홍 著 <서양사개론> 삼영사 1984
2. 이 보 형 著 <미국사 개설> 일조각 1976
3. 이 주 영 著 <미국사> 대한교과서주
4. 앨프리드 W. 크로스비 著 <생태 제국주의> 지식의 풍경 2000년
5. 프레더릭 E. 외 著 <미국사에 던지는 질문> 영림카디널 2000년
REPORT
〔목차〕
◎서 론
◎본 론
1. 미국인들의 관점에서 본 아메리카의 개척(팽창과정)
가. 서부 개척로
나. 텍사스 문제
2. 인디언의 눈으로 본 미국의 팽창과정
가. 초창기 인디언과 유럽인의 관계
나. 서부는 어떻게 사라졌는가
다. 서부 개척과 생태파괴
라.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
◎결 론
과목: 서양 현대사
결 론
이상으로 미국의 식민지 팽창과 침략이라는 상반되는 관점의 자료를 조사해 보았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미국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잘못된 각인에 대해 좀 더 비판을 하고자 한다. 즉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미국의 제국주의자들은 인디언의 군사적 학살과 더불어 인디언을 단지 ‘야만인’으로 평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들은 이런 야만적인 인디언들을 그들의 청교도적인 개척정신으로 정화하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결국 당시 후발 제국주의 국가인 미국이 자기보다 약한 자들을 억압함으로써 얻는 자신감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얻고자 한 작업에 불과하다고 본다. 그리하여 이제까지 인디언은 변화되고 정복되어야 할 야생성의 상징이었으며, 인디언 부족의 몰락은 미합중국이 서부를 평정한 ‘정의의 진보’로서 우리에게 각인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오늘날 우리가 비판하는 ‘미국식 영웅주의’는 결국 이런 초창기 미국의 식민지 정복 과정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미국의 이런 영웅주의는 과연 인디언의 학살과정을 영웅들의 정복과정으로 그리는 것으로 끝이 난 이야기일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는 할리우드 영화를 통해, 미국의 수 많은 지식서들을 통해, 영어 ―북미권 영어― 라는 언어가 가진 헤게모니의 우월 의식을 통해 우리의 곳곳에 침투되어 있다. 특히 전후의 피폐한 상황 속에서 미국의 경제 원조에 큰 은혜(?) ―침탈의 은유적 표현이니 오해마시길― 를 입은 우리에겐 더욱 그러할 것이다. 결국 오늘날 미국의 제국주의적 침탈을 끊임없이 비판하면서도 ‘그래도 미국(제)은 다르다’라는 우리의 선입견은 이런 것들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닐까?
<< 참 고 자 료 >>
1. 민 석 홍 著 <서양사개론> 삼영사 1984
2. 이 보 형 著 <미국사 개설> 일조각 1976
3. 이 주 영 著 <미국사> 대한교과서주
4. 앨프리드 W. 크로스비 著 <생태 제국주의> 지식의 풍경 2000년
5. 프레더릭 E. 외 著 <미국사에 던지는 질문> 영림카디널 2000년
REPORT
〔목차〕
◎서 론
◎본 론
1. 미국인들의 관점에서 본 아메리카의 개척(팽창과정)
가. 서부 개척로
나. 텍사스 문제
2. 인디언의 눈으로 본 미국의 팽창과정
가. 초창기 인디언과 유럽인의 관계
나. 서부는 어떻게 사라졌는가
다. 서부 개척과 생태파괴
라.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
◎결 론
과목: 서양 현대사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 서부 개발 정책의 배경과 동향
북아메리카와 프랑스의 직접영화에 대하여...
라틴아메리카 변천 및 배경에 관하여
라스트모히칸 영화감상문: 아메리카 대륙의 비극적 역사(영화 라스트모히칸)
[중남미]남아메리카 에콰도르(에쿠아도르)의 개황, 남아메리카 에콰도르(에쿠아도르)의 자연...
[라틴아메리카][콜롬비아][중남미]라틴아메리카 콜롬비아의 자연환경, 라틴아메리카 콜롬비아...
[중남미]니카라과(중앙아메리카, 니까라과)의 자연환경, 니카라과(중앙아메리카, 니까라과)의...
[자메이카]중앙아메리카 자메이카의 자연환경, 중앙아메리카 자메이카 일반정보, 중앙아메리...
[고대 건축] 고대 라틴아메리카 문명의 건축(마야, 올메까, 아즈떼까, 잉카)
여행사 상품설명<미국서부 7박8일일정>
스페인 문화예술 레포트(콜럼버스의 항해과정 & 아메리카 정복과정)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스페인문화와 예술 (콜럼버스의 항해과정, 아메리카 정복과정)
늑대와 춤을 영화 감상문 (늑대와 춤을 영화감상문,늑대와 함께 춤을 감상문, 늑대와 춤을을 ...
[음식과 세계문화] 13주차 북아메리카의 음식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