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해양 유류오염의 정의
2. 본론
2-1 유류 오염의 원인
2-2 유류 오염의 영향
2-3 유류 오염 사례
2-4 유류 처리 방법
3. 결론
3-1 탄화계 탄화수소 유입대책
3-2 OPRC 협약
3-3 고찰
1-1 해양 유류오염의 정의
2. 본론
2-1 유류 오염의 원인
2-2 유류 오염의 영향
2-3 유류 오염 사례
2-4 유류 처리 방법
3. 결론
3-1 탄화계 탄화수소 유입대책
3-2 OPRC 협약
3-3 고찰
본문내용
다.
ㅅ. 유회수기
① 친유회수기 : 기름을 잘 흡착할 수 있는 친유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름을 수거하는 방법이다. 일종의 기계화된 흡착재 사용 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친유성 유회수 기의 종류로는 브러쉬(brush), 디스크(disc), 로프/벨트(rope/belt) 및 흡착재 (sorbent) 형식 유회수기 등이 있다. 친유성 표면이 유막 속으로 이동하면 기름이 표면에 붙어서 올라오게 되는데 표면에 묻은 기름을 긁거나 짜내어 분리한 뒤 유수 집구역으로 보낸다.
② Weir : 기름이 물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물 위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름과 물을 분리한다. 기름과 물의 경계면에 최대한 정교하게 Weir의 위치를 맞추고 상 단의 기름만 집유부 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여 수거하는 방식이다.
③ 진공식 유회수기 : 진공 펌프나 공기 압력차 장치(ventri system)를 이용하여 물 표면에 부유하고 있는 기름을 직접 저장용 선박으로 흡입하는 것이다. 흡입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해수 표면과 접촉하는 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끝단을 넓혀놓 은 특수 설계 유회수용 흡입판을 호스의 끝에 붙인다. 흡입 호스의 직경에 따라 흡 입할 수 있는 고체의 크기가 결정되며, 만약 직경보다 큰 고체 덩어리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호스가 막히게 되고 부분적, 또는 전체적 진공 상실을 초래하게 된다. 발 화점이 낮은 휘발성 유류는 흡입하는 과정에서 가벼운 증기를 발생시키는데 화재를 일으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유류의 흡입은 피해야 한다.
④ 수력식 유회기 : 수력식 유회수기에는 Hydrocyclone, Submersion Plane 및 Water jet 등이 있다. 수리역학식 방법으로 기름을 퍼올리거나 끌어들여서 유수집 구역으로 보낸다. Water jet 방식 유회수기는 통상 고정설치된 상태로 사용한다.
3.결론
3-1.석유계 탄화수소 유입 대책
토양공기, 토양 및 지하수의 동시 검사가 필요하고, 토양오염도 검사항목으로 BTEX에 TPH 및 PAHs를 추가하고, 시료채취 방법의 대표성이 확립되어야 되고, 시료채취후 채취 공의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3-2. OPRC 협약
유류오염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시스템을 강화하고, 각국의 능력을 초과하는 유류오염사고에 있어서는 각국간의 상호협력에 기초한 경제적으로 합당한 방제능력을 갖추게 한다.
국가방제체제의 구축에 있어서 많은 투자를 할 수 없는 개발도상국을 돕기 위한 시스템을 조직화하는 것이다. 유류오염의 대비 및 대응을 위한 국가긴급계획 (National Contingency Plan)을 준비하는 것인데 중대한 오염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협약에 가입한 국가는 이를 처리하기 위해 국제기구나 주변국에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OPRC 협약에 가입하기 위한 준비태세가 갖추어져 있지 못한 상태이다.
3-3. 고찰
유류 오염에 대해 조사하면서 해양오염은 짧은 기간에 쉽게 일어나며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부메랑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것과 오염물질의 해양유입을 차단 또는 해양 유입량을 자정능력한계 이내로 조절한다면 오염진행을 중지시킬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해양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철처히 규제단속해야하고 이미 오염된 해역은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하여 개선정화시켜아 할 것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법을 집행하는자나, 산업장을 운영하는 기업가나 또는 해양을 이용하는 어업종사자와 모든 국민들이 환경보전을 위한 강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환경관리와 보전대책은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는 사항들로서 이를 계속적으로 준수함은 물론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개발시키고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ㅅ. 유회수기
① 친유회수기 : 기름을 잘 흡착할 수 있는 친유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름을 수거하는 방법이다. 일종의 기계화된 흡착재 사용 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친유성 유회수 기의 종류로는 브러쉬(brush), 디스크(disc), 로프/벨트(rope/belt) 및 흡착재 (sorbent) 형식 유회수기 등이 있다. 친유성 표면이 유막 속으로 이동하면 기름이 표면에 붙어서 올라오게 되는데 표면에 묻은 기름을 긁거나 짜내어 분리한 뒤 유수 집구역으로 보낸다.
② Weir : 기름이 물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물 위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름과 물을 분리한다. 기름과 물의 경계면에 최대한 정교하게 Weir의 위치를 맞추고 상 단의 기름만 집유부 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여 수거하는 방식이다.
③ 진공식 유회수기 : 진공 펌프나 공기 압력차 장치(ventri system)를 이용하여 물 표면에 부유하고 있는 기름을 직접 저장용 선박으로 흡입하는 것이다. 흡입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해수 표면과 접촉하는 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끝단을 넓혀놓 은 특수 설계 유회수용 흡입판을 호스의 끝에 붙인다. 흡입 호스의 직경에 따라 흡 입할 수 있는 고체의 크기가 결정되며, 만약 직경보다 큰 고체 덩어리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호스가 막히게 되고 부분적, 또는 전체적 진공 상실을 초래하게 된다. 발 화점이 낮은 휘발성 유류는 흡입하는 과정에서 가벼운 증기를 발생시키는데 화재를 일으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유류의 흡입은 피해야 한다.
④ 수력식 유회기 : 수력식 유회수기에는 Hydrocyclone, Submersion Plane 및 Water jet 등이 있다. 수리역학식 방법으로 기름을 퍼올리거나 끌어들여서 유수집 구역으로 보낸다. Water jet 방식 유회수기는 통상 고정설치된 상태로 사용한다.
3.결론
3-1.석유계 탄화수소 유입 대책
토양공기, 토양 및 지하수의 동시 검사가 필요하고, 토양오염도 검사항목으로 BTEX에 TPH 및 PAHs를 추가하고, 시료채취 방법의 대표성이 확립되어야 되고, 시료채취후 채취 공의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3-2. OPRC 협약
유류오염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시스템을 강화하고, 각국의 능력을 초과하는 유류오염사고에 있어서는 각국간의 상호협력에 기초한 경제적으로 합당한 방제능력을 갖추게 한다.
국가방제체제의 구축에 있어서 많은 투자를 할 수 없는 개발도상국을 돕기 위한 시스템을 조직화하는 것이다. 유류오염의 대비 및 대응을 위한 국가긴급계획 (National Contingency Plan)을 준비하는 것인데 중대한 오염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협약에 가입한 국가는 이를 처리하기 위해 국제기구나 주변국에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OPRC 협약에 가입하기 위한 준비태세가 갖추어져 있지 못한 상태이다.
3-3. 고찰
유류 오염에 대해 조사하면서 해양오염은 짧은 기간에 쉽게 일어나며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부메랑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것과 오염물질의 해양유입을 차단 또는 해양 유입량을 자정능력한계 이내로 조절한다면 오염진행을 중지시킬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해양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철처히 규제단속해야하고 이미 오염된 해역은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하여 개선정화시켜아 할 것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법을 집행하는자나, 산업장을 운영하는 기업가나 또는 해양을 이용하는 어업종사자와 모든 국민들이 환경보전을 위한 강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환경관리와 보전대책은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는 사항들로서 이를 계속적으로 준수함은 물론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개발시키고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