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의 추이와 구조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경제성장에서의 무역의 역할과 비중

Ⅲ. 한국무역구조의 추이
1. 수출구조
2. 수입구조

Ⅳ. 최근 한국무역의 특징과 문제점
1. 한국무역의 특징
2. 수출구조의 문제점
3. 수입구조의 문제점
4. 무역기반상의 문제점

Ⅴ. 개선방안

Ⅵ.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이다. 우리 나라의 국내총생산 중 서비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70년 45.5%에서 1998년 64.1%로 급증했다. 이 같은 현상은 선진국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온 것으로 미국의 서비스산업 비중은 1980년에 이미 70%를 넘었으며 일본도 1996년 70%를 넘었다. 이는 지금까지 우리 경제를 이끌어왔던 제조업의 성장이 정체되는 반면 서비스산업이 성장주도 부문이 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제조업에서조차도 재료 및 노동력보다는 디자인, 광고, 유통 등 소프트적인 요소의 투입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스탠포드 연구소,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 등 세계적인 연구소들은 2005년에는 정보서비스, 레저, 환경서비스, 비즈니스 지원산업 등의 서비스산업이 성장 유망한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Ⅵ. 결론
1946년 軍政(군정)당국의 통제하에 재개된 우리나라의 對外(대외)무역은 대부분 수입 위주의 官營(관영)무역이었고 민간무역은 10% 수준에 불과했다. 수출품으로는 수산물, 중석, 고철 등이었고 수입품은 식량, 생활용품 등 소비재 위주였으며 금액도 수출 3백50만 달러, 수입 6천70만 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수출 드라이브에 의한 경제개발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우리 무역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주로 미국 시장에 대한 섬유류, 가발, 합판, 신발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제품 위주의 수출이었지만 1964년에는 처음으로 연간 수출액이 1억 달러를 넘어서고, 수출 대상국도 1백여 개로 늘어나는 등 본격적인 수출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70년대 들어서는 오일쇼크, 외환위기 등을 극복하면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여 全세계 수출증가율 20.5%를 훨씬 상회하는 연평균 37.5%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수출상품 구성도 경공업 위주에서 중화학공업 위주로 전환되었다. 특히 1977년에는 수출 1백억 달러를 달성하며 한국 무역사의 새 장을 열었다.
1980년대 들어서는 사상 최초로 1986년부터 1989년까지 무역수지가 4년 연속 흑자를 보였다. 이는 低(저)유가低금리低환율 등 소위 「3低」로 불리는 대외여건의 호전에 힘입은 바 크지만 그동안 꾸준히 추진해 왔던 수출경쟁력 강화시책과 중화학공업화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교역규모 면에서도 1988년에는 수출입을 합쳐 1천억 달러를 돌파했다. 1990년대 들어오자 세계 무역환경은 크게 변화했다. 우루과이 라운드(UR) 협상 타결과 GATT 체제를 대체한 WTO 체제의 출범, 사회주의 국가권의 시장경제체제 편입 등으로 개방화, 세계화가 새로운 조류로 자리잡음과 동시에 EU(유럽공동체),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등 경제블록화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우리나라는 경제구조의 선진화를 위해 OECD 가입과 자본외환시장의 개방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1995년에는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한 지 34년 만에 1천억 달러 수출시대를 맞게 되었다. 수출지역도 기존의 미국, 일본 의존도가 낮아진 대신 중국, 아세안 등 신흥 개도국의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세계 속의 우리 무역의 위치도 괄목하게 신장되었다. 수출 1억 달러를 돌파한 1964년 당시 세계 순위는 83위에 불과했으나 1천억 달러를 돌파한 1995년에는 12위로 뛰어올랐다.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64년 0.16%에서 1995년에는 2.5%로 15배 이상 높아졌다. 이같은 무역신장에 힘입어 우리 경제는 1956년, 1980년, 1998년의 단 3개년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인 플러스 성장을 유지해 왔다. 국민총생산은 1960년의 19억 달러에서 1998년에 3천1백68억 달러로 1백67배 성장했고, 1인당 GNP는 79달러에서 1995년 1만 달러를 돌파했다. 1970~1997년까지 우리 경제는 연평균 8.4% 성장했는데 그중 수출에 의한 성장이 2.6%에 달해 기여율이 30%를 넘는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1997년 11월 외환보유고 부족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기에 이르렀고 소위 「IMF 체제」를 겪었다. 내수위축에 따른 수입급감과 수출단가 하락으로 1998년의 무역규모는 2천2백56억 달러를 기록하여 1995년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으며 세계무역순위도 1997년의 12위에서 14위로 밀려났다. 무역의존도가 높을수록 일국의 경제가 무역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므로 무역은 국민경제발전에 공헌도를 명확히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무역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무역규모는 경제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그 후 여러 가지 내외부적 경제상황으로 인해 우리의 무역규모가 조금씩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무역구조적인 면에 존재하고 있는 편중된 무역상품 및 시장, 수출의 저부가가치성, 수입유발형 구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은 앞으로 우리가 수출주력산업의 질적 고도화나 수입절약형 산업구조로의 전환 또는 에너지 다소비형중후장대산업 중심에서 환경친화적에너지절약형경박단소산업 중심으로의 산업 구조 개편과 같은 개선방안을 강구해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 참고문헌 ♠
1. 韓國貿易論 : WTOOECD한국무역/신현종/ 博英社, 1997
2. 新韓國貿易論 /이상준 / 螢雪出版社, 1994.
3. 한국무역협회 http://www.kotis.net/(종합무역서비스)
4. 통계청 http://www.nso.go.kr/
5. http://monthly.chosun.com(월간조선)
6. http://www.lgeri.com(LG경제연구소)
7. http://emerge.joins.com/200007/200007_064.asp
8. http://onnuli.pe.kr/noshadow/sosik/9910_2/9910_25.html
9. http://www.fnnews.com/html/fnview/2002/0527/091876891113171113.html
10. ‘무역학원론’, 양영환, 오원석, 삼영사, 1999. 8
11. 대외무역법, 신동수, 법경사, 2000. 4. 10
12. 한국경제이야기, 서종규이춘근, 범한, 2001. 2
13. 한국의 2001년 설계, 김영호 외, 한국경제신문사,1999. 12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1.10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