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자세히 보기
1)이옥(李鈺;1760-1812)의 가계와 교우관계
2)부문학(賦文學)
3) 白鳳仙賦(흰 봉선화를 읊은 부)감상
4) 문학사적 의의
3.마치며
2.자세히 보기
1)이옥(李鈺;1760-1812)의 가계와 교우관계
2)부문학(賦文學)
3) 白鳳仙賦(흰 봉선화를 읊은 부)감상
4) 문학사적 의의
3.마치며
본문내용
까지 이옥의 흰봉선화르 읊은 부 한편을 통해 이옥이 누구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그의 다른 부들도 흥미로운 소재를 가지고 나름대로의 빛을 발하고 있다. 이옥에게는 부 외에도 전, 한시, 서, 독후기 등 다양한 문체의 글들이 많다. 이것들을 다 살펴 볼 수 없어 아쉽지만 이옥이란 인물에 대해 호기심을 유발하고, 그 호기심으로 인해 그의 작품들을 찾아봐야 겠다는 생각을
심어준 발표였길 바란다.
참고문헌
이옥 지음 , 심경호 옮김,『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태학사, 2001
이옥 저, 실사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주, 『역주이옥전집』1,2,3 ,소명출판, 200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황패강 외 공편, 『한국문학작가론』3 -조선시대의 작가2-, 집문당, 2000
심어준 발표였길 바란다.
참고문헌
이옥 지음 , 심경호 옮김,『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태학사, 2001
이옥 저, 실사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주, 『역주이옥전집』1,2,3 ,소명출판, 200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황패강 외 공편, 『한국문학작가론』3 -조선시대의 작가2-, 집문당, 2000
추천자료
[고전문학분석] 고소설에 나타난 부·자 분리의 형식과 제양상
한국 고전문학 개관
[고전문학] 애정소설
고전문학의 사상적 흐름
고전문학 분석 -고려가요-
[고전문학] 특정 장르, 작가의 행적이 지닌 의미와 역할
[고전문학개론] 무가(巫歌)
[고전문학개론] 속미인곡 콘텐츠화 보고서
[고전문학 교육론] 슬견설
[고전문학 교육론] 토의학습을 통한 가사교육 -관동별곡-
[고전문학 교육론] 희곡으로서의 봉산탈춤 - 음악 수업과의 공유형 교육과정 측면에서
[고전문학 교육론] 허생전 수업 지도안
[고전문학 교육론] 함께 하는 신화 수업 - ‘동명왕 신화’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