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정신보건통계(Mental Health Data(statistics))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1. 정신보건의 현실
1) 정신질환자 현황
2)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보건시설
3) 정신보건인력
2. 국내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현황
1) 우리나라 정신보건 연혁
3. 정신보건의 치료와 대책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997
정신보건법 시행
중앙 및 지방정신보건심의위원회 구성
보건국 정신보건과 신설
정신보건법 1차 개정
1998
정신보건발전 5개년 계획 수립
보건복지부 지원 정신보건센터 운영사업 4개소 실시
1999
보건복지부 지원 정신보건센터 운영사업 14개소 확대 실시
보건복지부 지역정신보건사업 기술지원단 운영 시작
정신요양시설 1차 평가
정신질환 예방 홍보사업 실시
2000
보건복지부 지원 정신보건센터 운영사업 16개소 확대 실시
정신보건법 2차 개정
정신요양시설 2차 평가
알코올 상담센터 4개소 설치
2001
보건복지부 지원 보건소 기본형 정신보건사업 48개소 실시
정신질환자 실태조사 실시
3. 정신보건의 치료와 대책
우울증에 시달리는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4억 명 정도로 추정되지만 이 가운데 90% 이상이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그 이유는 자신이 우울증인지도 제대로 모르는 데다가 마음의 병은 내가 알아서 추슬러야 한다는 고정관념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질병 때문에 얼마나 오래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없는가'로만 따지면 오는 2020년 이 같은 우울증이 심장혈관 질환에 이어 질병 순위 2위로 뛰어오를 것으로 보고있다. 조사기관들은 국가별로 대략 전체 인구의 4~10%가 현재 심각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당장은 아니더라도 10~20%가 일생 중 한 번은 우울증 발병을 겪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울증에 따른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80만 건에 이르고 있다. 우울증을 반드시 경제난 때문이라고 할 수 없지만 경제 위기에 따른 실업 등 사회불안이 격심한 러시아의 경우 지난 91년 이후 알코올 중독과 함께 우울증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서구를 예로 들며 특히, 빈민층의 우울증 발병이 심각하다고 전했다.
정신건강장애는 줄곧 사회적 문제로 다루어져 왔으며 치료방법도 최근에 와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정신건강장애의 치료방법에는 정신요법, 정신분석, 최면술, 현실요법, 집다요법, 전기요법, 외과적 요법, 화학요법 등이 있다.
또한 인지적 행동치료로서 전문적 상담과 지도가 필요하다. 정신질환에 관한 선입견을 버리고 도움이 필요할 때 전문인 또는 상의할 수 있는 주변 사람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정신보건은 결국 지역사회 내에서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전국적으로 정신병자의 실태를 파악하여 정신장애자를 위한 보호시설을 확충하고 정신보건 상담소를 설치하여 환자를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도록 한다. 또한 정신의학 교육에 대한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을 통해 정신박약아 시설, 특수학교, 구호원 등의 설치로 정신장애자들을 직접 보호하도록 하며 아동 상담소를 설치하여 아동 정신보건에도 힘쓴다. 정신보건법, 아동복지법, 우생관계법 등과 같은 법률제정 역시 정신보건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는 대책이다.
가정과 직장, 병원, 보건소, 기타 교육기관에서 정신보건에 관한 교육과 계몽이 요구된다.
G. Caplan은 지역정신보건사업의 원칙으로 ① 지역주민에 대한 책임, ② 환자의 가정과 가까운 곳에서 치료, ③ 포괄적인 서비스, ④ 여러 전문인력 간의 팀접근, ⑤ 진료의 계속성, ⑥ 지여주민 참여, ⑦ 정신보건사업의 평가와 연구, ⑧ 예방, ⑨ 정신보건자문, ⑩ 보건의료 서비스와 사회복지 서비스와의 연계 등 10가지를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우리 나라는 정신장애우의 경우 과중한 의료비 부담과 취업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경제적 고통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편견에 의해서 더욱 큰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체·정신의 기능적인 장애에 추가하여 특정한 일을 어느 정도 수행 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의한 과업수행 능력,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불이익을 받는 조건까지 포함하는 사회적인 의미의 장애 등 포괄적이 장애범위를 채택하는 방향으로 정신보건정책이 변하고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정신보건과 정신질환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정신보건의 치료 및 대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정신보건과 정신질환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볼 때 통계학적인 요소들을 많이 볼 수 있었고 치료 및 대책에서 또한 통계학 적인 요소를 많이 볼 수 있었다.
통계학은 이런 자료들이(정신보건과 정신질환의 현황, 치료 및 대책) 있을 수 있게 하는 밑받침과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신보건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정신보건통계까지 같이 알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정신보건통계에 관한 조사를 하면서 정신보건과 정신보건통계라는 것은 떨어질 수 없는 하나의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정신보건통계라는 것이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이 아니라 정신건강, 정신보건, 크게는 사회학까지 여러 가지 학문들과 결합되어 있는 분야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정신보건이라는 분야를 조사함으로써 정신보건통계까지 같이 알 수 있다는 것은 여기에서부터 나오는 생각이다.
우리가 정신보건(건강)에 관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관심을 귀울일때 정신보건과 정신보건통계라는 부문은 해결될 수 있을 것 같다.
Ⅳ.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w0nw0n.do?Redirect=Log&logNo
=40002655835
http://blog.naver.com/jaerizz.do?Redirect=Log&logNo
=14000615106
http://blog.naver.com/4263yy.do?Redirect=Log&logNo
=5826377
http://blog.naver.com/cjdcns22.do?Redirect=Log&logNo
=40006144636
http://blog.naver.com/4263yy.do?Redirect=Log&logNo
=5827698
http://blog.naver.com/iiipsyiii.do?Redirect=Log&logNo
=20005397853
http://www.mohw.go.kr/
이영근외 3명. 뉴밀레니엄 공중보건학. 청구문화사
고한철 외 5명. 공중보건학의 이해. 신광출판사
강병우 외 2명. 공중보건학. 현문사
강신욱 외 12명. 공중보건학. 정문각
이현경. 보건정보통계와 연구방법론. 계축문화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