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러기가족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준 교수는 조기유학이 일종의 ‘문화적 소비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게 문제라면서 “특히 기러기 가족 생활로 인한 막대한 규모의 해외 송금이 국부 유출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해외 유학·연수 송금액은 7억7천7백만 달러로 지난해 총 금액인 6억9천8백만 달러를 앞질렀다. 특히 7월 송금액은 1억4천1백60만 달러를 넘어 월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기러기 가족의 증가가 유능한 인적 자원의 유출을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식 잘 되기를 바라는 한국의 보통 부모들에게 기러기 가족 형태는 그 현실적인 고단함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에게 좋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그 밑바탕에는 부모 자신들이 좀 힘들고 외롭더라도 자식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기꺼이 그 고통을 감수하겠다는 열의와 애정도 깔려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익계산이 모든 가족들에게 정답이 될 수 있을지는 검증되지 않은 상태다. 한 베테랑 기러기 아빠의 조언대로 분명한 목적 의식과 충분한 사전 준비가 없다면 기러기 가족 생활이 남는 장사가 되기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다고 생각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1.16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