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오 시 연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진오 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진오의 작품세계
1. 지식인의 관념적 현실인식
2. 지식인의 자기극복
3. 투쟁의식의 고취
4. 투쟁의식의 내면화

Ⅲ. 결론

(참고문헌)

※ 부록
1. 유진오 생애연보
2. 유진오 작품연보

본문내용

현실인식으로 말미암아 감상주의적 색채를 띠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는 지식인의 자기극복 과정을 드러내는 작품들로, 시인 자신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과 소시민적 삶에 대한 자기부정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再生」에서 무덤에서 벗어나 현실로 나아가려는 모습을 통해, 「輓歌」에서 감상적 인테리의 길들인 소시민 생활을 과감히 파묻어 버리는 모습을 통해 형상화 된다.
셋째는 철저한 자기반성을 통해 고취된 투쟁의식을 드러내는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당대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으며, 행사시로서 대중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통해 그들의 혁명의지를 고양하는데 탁월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동적 행사시는 정치성과 투쟁성으로 일관되어 현실모순의 깊은 내적성찰과 민중생활과의 유리된 경향으로 나타나게 된다.
넷째는 투쟁의식이 내면화되어 나타난 한 차원 높은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에서는 시인의 혁명의지는 시인의 시적 성숙도와 어우러져 나타난다. 그것은 목적성에만 치우친 나머지 흥분된 표출에 급급한 것이 아니라 역사 앞에 묵묵히 항거하고자 하는 스스로의 결의가 전반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유진오는 등단 작품 「피리소리」에서부터 1949년 「조국과 함께」에 이르기까지 현실인식에 따른 체험의 심화를 거듭하면서 더욱 뛰어난 형상화를 이루어 왔다. 그의 초기시 해당되는 작품에서는 관념적인 요소를 드러내면서 감상주의적 색채를 띠고 있는 반면 자기부정과 과거에 대한 극복의 의지를 보이면서 강한 정치성을 담은 행사시를 발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의 일련의 작품들은 당면과제에 대한 선동적 행위를 이끌며 호소력은 지니고 있으나 구체성이 담보되어 있지 못하게 된다. 대체로 1948년 이후 유진오는 초기의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현실인식에서 벗어나 현실체험을 근거로 한 섬세한 감각이 한층 내면화된 시를 창작하기에 이르른다.
해방을 전후로 한 특수한 역사적 상황하에서 문학활동을 전개해 나간 시인 유진오는 그의 짧은 문학적 경력에 비해 월등한 시의 발전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자 료
가. 시 집
김광현외, 전위시인집, 노농사, 1946. 10
오성호엮음, 유진오 시집 창, 민족과 문학, 1989
유진오, 窓, 정음사, 1948. 1
나. 잡 지
<<문학>>, <<문학평론>>, <<신천지>>, <<학풍>>
다. 신 문
<경향신문>, <독립신보>, <문학신문>, <자유신문>, <중외신보>
2. 주 요 논 저
가. 학 위 논 문
박종은, 유진오 시 연구, 경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신범순, 해방기 시의 리얼리즘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나. 단 행 본
권영민, 한국 근대문학과 시대정신, 문예출판사. 1983
김용직, 해방기의 한국 시문학, 민음사, 1989
김윤식외, 해방공간의 문학운동과 문학의 현실인식, 한울, 1989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82
신범순, 해방공간의 진보적 시운동에 대하여, 해방공간의 문학운동과 문학의 현실인식, 한울, 1989
신형기, 해방직후 문학논의 쟁점, 해방전후사의 인식6, 한길사, 1989
오현주, 8 15직후 문학운동과 시문학의 전개양상, 해방기의 시문학, 열사람, 1988
임헌영, 해방이후 무장투쟁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해방전후사의 인식4, 한길사, 1989
다. 기 타
강준식, 어둠을 찾아서, 문학사상, 1990. 3
정영진, 육탄시인 유진오의 비극, 현대공론, 1989. 1월호
부록1
유진오 생애연보
1922 11 22 전북완주군 고산면 읍내리 출생. 父 兪致九와 母 南原梁씨의 4남중 막내.
1936 서울 중동중학교 입학. 시인 金尙勳과 급우
1941 중동 졸업. 일본 동경의 문화학원 입학.
1945 8 성북경찰서 습격
11 <<민중조선>>에 "피리소리"로 등단.
1946 1 공산당 입당.
2 25 학병 추모행사에 첫 시낭독. 낭독시 "눈 감으라 고요히". '문학가동맹' 가입.
7 1 수재구제문예강연회(서울과학관)에서 시 "장마" 낭독.
8 15 8 15기념시 "횃불"을 <<서울신문>>에 발표.
8 29 8 29국치기념문예강연회(종로 YMCA)에서 시 "38이남" 낭독.
9 1 국제청년데이 기념대회장(현 동대문운동장)에서 문제의 시 "누구를 위
한 벅차는 우리의 젊음이냐?"를 10만 청중 앞에서 낭독.
9 3 위의 시로 '미군정포고령위반죄'로 구속. 해방 후 첫 인신구속 필화사건.
9 5 林和 시 "찬가"를 통해 옥중의 유진오를 격려.
10 군정재판에서 1년 징역형을 선고 받음. 서울 「노농사」에서 『전위시인집』
발간.
11 시인 金光現, 잡지 <<民主主義>> 11월호에 "쇠고리 채워진 유진오" 기고
1947 2 13 문화옹호남조선문화예술가총궐기대회에서 吳章煥이 "시인의 박해"란 제목 으로 유진오 구속사건을 지적, 성토.
5 약 9개월 복역 끝에 석방.
7 문화공작대 제 1대에 소속. 경남지방 순회.
1948 1 15 「正音社」에서 개인시집 『窓』 발간.
9 김금남과 결혼.
1949 1 1 최후의 공개시가 된 "조국과 함께" <<學風>> 3월호에 발표.
2 23 지리산문화공작대장으로 파견될 첫 지령 받음. 서울을 떠남.
2 28 지리산 입산. 金智會 일당 만남.
3 29 전북 남원 군내서 民保團에 피체. 서울로 압송.
9 28 군법회의 회부.
9 30 언도공판으로 이적행위 및 간첩행위죄를 적용하여 사형을 언도 받음.
11 7 감일등하여 무기형으로 감형(안재홍과 신익희의 도움으로).
1950 7 행방불명. 긴급처형된 것으로 전해짐.
부록 2
유진오 작품연보
1. 작품
피리소리 민중조선 1945. 11
눈 감으라 고요히 학병 1946. 2. 25
횃불 서울신문 1946. 8
江마을 신천지 1946. 10
共委여 문학 1947. 7
三月 신천지 1947. 9
나의 거리 신인 1948.
山 문학 1948. 4
H형에게 신천지 1948. 4
鄕愁 신천지 1949. 2
祖國과 함께 학풍 1949. 3
2. 번역시
발자최 민중조선 1945. 11
3. 시집
『전위시인집』 노농사 1946. 10
『窓』 정음사 1948. 1
4. 산문
싸우는 監獄 문학 1947. 3

키워드

유진오,   시인,   ,   전위시인집,   논문
  • 가격3,8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