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 - 일본
1) 기계조립·중화학 가장 먼저 타격
2) 거대한 구조조정 바람 휘몰아칠 듯
3) 전경련 “M&A 통해 기술 받자”
3. 한국 - 중국
4. 한국-미국
2. 한국 - 일본
1) 기계조립·중화학 가장 먼저 타격
2) 거대한 구조조정 바람 휘몰아칠 듯
3) 전경련 “M&A 통해 기술 받자”
3. 한국 - 중국
4. 한국-미국
본문내용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마찰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를 완화시키고 잠재적 통상협력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한미간 FTA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 FTA 체결은 관계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미국이 정치 안보적 이해를 고려해 FTA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한미 FTA는 한미 동맹관계를 공고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미국과 FTA를 추진하는 자체가 개방의지가 높음을 세계에 알리는 길"이라며 "미국과의 FTA는 구조조정을 통한 효율성 제고 효과가 높고 특히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향상을 이루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미 기업간 협력도 강화된다"며 "한미 FTA가 실현되면 미국 기업의 한국 진출이 늘고 또한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도 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기업 교류의 확대를 통해 기술습득, 노하우 전수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한미 FTA 체결에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동아시아 경제통합 전략과 연계하여 한미 FTA를 경제통합의 지렛대로, 또 한편으로는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한미 FTA의 지렛대로 활용하는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일본, 미국 등의 경제적이해를 조정하는 조정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며 "중국, 일본보다 앞서 미국과 FTA를 체결, 선점자의 우위를 확보하며 동아시아 허브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의견을 보듯이 한국-미국의 체결과 관계 개선에따른 효과와 이득으로 우리나라 에게는 무엇보다고 힘을 기울여야 할 과제이다.
추천자료
FTA (자유무역협정)의 개괄적 검토[한일, 한중, 한칠레 FTA 분석]
한일 경제 관계 흐름
한일합병과 식민지시대 대외관계
한일 동북아 FTA 자유무역협정
FTA(자유무역협정)의 개념, FTA(자유무역협정)의 의의, 확산, 관계, FTA(자유무역협정) 추진 ...
야스쿠니를 통해 바라본 한일간의 관계-의식조사
한일 기업 관계 - 한일 기업의 협력과 교류
무역관계법 보고서
고대 한일 관계의 열쇠, 칠지도
[일본기업, 일본, 기업, 지배구조]일본기업의 지배구조, 일본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일본기업...
우리나라 기업의 대일 진출 환경(정치, 경제) [한일 정치 관계]
미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과 한일 관계를 통해서본, 한국정치에 미친 미국의 영향 비평...
무역관계법 개인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