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건의 개요
2. 상황 분석
3. 공중 분석
4. 사건에 대한 PR관리 당시문제점
5.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 및 PR원칙
6. 정부가 미래에 해야 할 일
7. 결 론
2. 상황 분석
3. 공중 분석
4. 사건에 대한 PR관리 당시문제점
5.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 및 PR원칙
6. 정부가 미래에 해야 할 일
7. 결 론
본문내용
위기를 받아들이고 신속하게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상주참사 관계자들은 사건의 전모를 감추려고 하여 신속한 위기관리가 되지 않았고, 사건의 진실한 원인을 규명하지 않아 언론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더 상황을 악화 시켰다. 위기상황에서는 공중의 불안 심리를 이용해 삽시간에 나쁜 소식과 왜곡된 정보들이 증폭되기 때문에 주최 측에서 먼저 사건이 더 확산되기 전에 사건의 전모를 밝혀 대응을 해야 한다.
6. 정부가 미래에 해야 할 일
(1)사전에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충분한 안전관리와 안전요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
(ex: 상주참사-안전요원 부족, 응급의료체계 미흡 등)
(2)주최 측과 행사대행기관간의 내부 커뮤니케이션과 책임성 확보
(3)사건 발생 후 피해자(유족,부상자)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그들은 위한 행사관련 보험가입
(4)사건의 확산을 막기 위한 긍정적 여론 관리
-책임성 확보를 통한 성의 있는 태도
-피해자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
-관련 담당자(공무원) 문책
-사건 해결을 위해 주최 측과 행사대행업체간의 협력체제 구축
-사건 후 도시의 이미지 하락에 대해 긍정적 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이미지 쇄신과 관광객 유치
7. 결론
비단 이러한 문제는 상주시에 한해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제2,제3의 상주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그렇기에 정부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체계화된 위기관리 시스템을 형성하여 신속하게 위기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항상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준비는 조직에 위기가 닥쳤을 때 보다 효과적 효율적 능률적으로 위기를 극복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줄 것이다.
6. 정부가 미래에 해야 할 일
(1)사전에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충분한 안전관리와 안전요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
(ex: 상주참사-안전요원 부족, 응급의료체계 미흡 등)
(2)주최 측과 행사대행기관간의 내부 커뮤니케이션과 책임성 확보
(3)사건 발생 후 피해자(유족,부상자)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그들은 위한 행사관련 보험가입
(4)사건의 확산을 막기 위한 긍정적 여론 관리
-책임성 확보를 통한 성의 있는 태도
-피해자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
-관련 담당자(공무원) 문책
-사건 해결을 위해 주최 측과 행사대행업체간의 협력체제 구축
-사건 후 도시의 이미지 하락에 대해 긍정적 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이미지 쇄신과 관광객 유치
7. 결론
비단 이러한 문제는 상주시에 한해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제2,제3의 상주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그렇기에 정부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체계화된 위기관리 시스템을 형성하여 신속하게 위기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항상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준비는 조직에 위기가 닥쳤을 때 보다 효과적 효율적 능률적으로 위기를 극복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