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Ⅰ. 서론 - 청소년의 이해
1. 청소년의 개념
2. 청소년의 발달 특성
3. 청소년 인구현황과 추이
Ⅱ. 본론 - 청소년복지의 이해
1. 복지의 개념
2. 청소년복지의 개념
3. 청소년복지의 역사적 전개
4. 청소년복지의 의의와 목적
5. 청소년복지의 성격과 내용
6. 청소년권리와 청소년 관련법
Ⅲ. 결론 - 청소년복지의 앞으로의 전망
1. 청소년복지의 실태와 과제
2. 청소년복지의 전개방향
부록 : 청소년복지 관련 사이트
1. 청소년의 개념
2. 청소년의 발달 특성
3. 청소년 인구현황과 추이
Ⅱ. 본론 - 청소년복지의 이해
1. 복지의 개념
2. 청소년복지의 개념
3. 청소년복지의 역사적 전개
4. 청소년복지의 의의와 목적
5. 청소년복지의 성격과 내용
6. 청소년권리와 청소년 관련법
Ⅲ. 결론 - 청소년복지의 앞으로의 전망
1. 청소년복지의 실태와 과제
2. 청소년복지의 전개방향
부록 : 청소년복지 관련 사이트
본문내용
우가 있다.
창의성
창의성 발휘가 가능하다.
창의성 발휘는 어려운 편이다.
사명감
비교적 강한 편이다.
비교적 약한 편이다.
복지의 전개방향에 대해 또 다른 변화를 살펴보면 지금까지의 사회복지는 근대시민사회의 자조원칙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가족이나 사회적인 계층의 붕괴나 부조화를 보충하는 제도로서 발전해 왔으므로 복지의 주체는 주로 정부여야 했고, 국가는 최저한도의 국민생활을 보장했으며, 완전고용의 실현을 위한 경제성장정책이 복지정책의 중심축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우리들의 삶의 방식을 크게 바꾸어 놓고 있는 세계화국제화 추세, 개인주의화, 즉 개성적인 삶의 스타일을 추구하는 경향과 가치관의 다양화,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삶의 질을 향상하려는 욕구가 증가하는 경향 등을 고려해 볼 때 사회복지의 개념은 변화되고 있다. (김만두 한혜경, 2000)
첫째, 복지국가보다는 복지사회, 또는 다원적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국민의 개성적이고 다양화된 삶의 가치에 의해서 자유롭고 선택적인 삶의 방식이 실현될 수 있는 복지체계의 재편성을 필요로 한다.
셋째, 특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사회의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넷째, 인간적인 생활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 등과 같은 새로운 방향을 추구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복지 시스템을 확보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전반적인 복지전개방향을 종합하면, 물질적 복지, 개별복지, 시설복지 및 상식적 서비스, 단순한 수용 서비스와 같은 잔여적 복지개념에서 정신복지, 종합복지, 지역사회복지, 다양한 형태의 분화된 서비스 및 전문적 서비스와 같은 제도적 복지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요보호청소년만을 대상으로 교육 환경 보건 직업 여가선용 및 앞으로의 진로 등 폭넓은 영역에 있어 복지시책을 촉구하고 있다. (김성이, 1993; 김영모, 1998; 김향초, 1991; 이용교, 1993; 장인협 오정수, 2000) 청소년복지의 전개는 일반사회복지의 전개와 방향은 대동소이하지만, 성장기의 청소년이 대상이 되므로 그들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아직은 부모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난 독자적독립적 상태가 아니므로 부모를 포함한 가족의 복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부록: 청소년 관련 사이트 소개
1) 치료 및 선도, 사이버상담실 제공.
http://www.jikim.net/
2) 서울 YMCA청소년 쉼터 - 가출청소년 보호, 후원 및 자원 봉사자 모집.
http://shelter.ymca.or.kr/
3) 한국 청소년 쉼터협의회 - 협의회, 청소년쉼터 소개, 청소년소식, 공부방, 게시판 수록.
http://www.jikimi.or.kr/
4) 청소년세계 - 청소년 성문제, 학업, 진로, 비행, 정신건강, 이성문제 등 상담서비스 제공.
http://www.youth.co.kr/
5) 광주청소년종합지원센터 - 가출청소년상담 1388 긴급전화운영, 상담게시판 제공.
http://www.gj1388.or.kr/
6) 강남청소년회관 - 서울YWCA 위탁 운영 청소년프로그램 센터.
http://www.gangnamyc.or.kr/
7) 부산광역시 아동청소년회관 - 청소년동아리, 문화예술마당, 중창경연대회, 전통민속경연대회, 약물 오남용 및 성교육, 어린이집 운영, 아동 청소년 전문상담.
http://www.child-youth.go.kr/
8) 경기도 청소년문화존 - 지역별 행사소개, 일정안내, 사이버강좌, 행사사진 수록.
http://www.kgyouth.net/
9) 서울특별시립 청소년정보문화센터 - 센터 이념 및 목표, 주요활동, 이용안내 등 제공.
http://www.ydmc.net/
10) 프란치스코 청소년 보호회 - 보호회 소개, 아이들 이야기, 영상일기, 후원안내 등 제공.
http://www.haiz.org/
- 참 고 문 헌 -
김만두 한혜경(2000). 현대사회복지개론. 홍익재
김성이(1993). 청소년복지의 전개방향.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
(1993).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의의”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
(1995). “한국청소년복지의 변화와 발전방향” 한국청소년개발원.
광복 50주년 학술세미나.
김수환(1991). “1990년대 이후 청소년복지의 방향과 과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사회복지연구.
김영모 외(1991). 청소년정책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출판부.
김오남 외 2인(2000). 발달심리학. 양서원.
김향초(1991). “청소년복지 및 관련 서비스 고찰” 1991년 청소년학 대학자료집.
한국청소년학회
김현용(1993). “한국 사회의 변화와 사회복지 서비스의 전개 방향”
복지국자의 현재와 미래. 한림과학원.
남세진 조흥식(1996). 한국사회복지론. 나남출판사
노 혁(1998). “청소년복지의 정체성 모색” 한국청소년연구.
도미향 이소희(1996). “청소년복지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기본법”
생활과학연구지: 숙명창학 90주년 기념특집호.
숙명여자대학교 건강 생활과학연구소
(2005). 청소년복지론
문화관광부(1998). 청소년백서
(1999). 청소년백서
법체처(1970). 법제자료 제41집.
아동복지편람(1997).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안종만(1999). 사회복지의 이해. 박영사
이영숙 외(1993). 외국의 청소년복지정책연구. 아동청소년개발과
표갑수(2000). 아동 청소년복지론. 나남출판.
공계순 외 (2003). 아동복지론. 학지사.
김경동(1997). 현대의 사회학. 박영사.
김정희 외(1993).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양점도 변미희(2001). 청소년복지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이소희(2000). 아동복지론. 양지.
이용교(1993). 청소년복지정책의 발전방향. 사회복지.
장휘숙(1996). 청년심리학. 장승.
정옥분(1998).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한국청소년연구원(1992). 청소년문제론. 서원.
한국청소년개발원(1994). 청소년복지론. 인간과 복지.
(2003). 청소년정책론. 교육과학사.
한상철(1998). 청소년학개론. 중앙적성출판사.
창의성
창의성 발휘가 가능하다.
창의성 발휘는 어려운 편이다.
사명감
비교적 강한 편이다.
비교적 약한 편이다.
복지의 전개방향에 대해 또 다른 변화를 살펴보면 지금까지의 사회복지는 근대시민사회의 자조원칙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가족이나 사회적인 계층의 붕괴나 부조화를 보충하는 제도로서 발전해 왔으므로 복지의 주체는 주로 정부여야 했고, 국가는 최저한도의 국민생활을 보장했으며, 완전고용의 실현을 위한 경제성장정책이 복지정책의 중심축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우리들의 삶의 방식을 크게 바꾸어 놓고 있는 세계화국제화 추세, 개인주의화, 즉 개성적인 삶의 스타일을 추구하는 경향과 가치관의 다양화,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삶의 질을 향상하려는 욕구가 증가하는 경향 등을 고려해 볼 때 사회복지의 개념은 변화되고 있다. (김만두 한혜경, 2000)
첫째, 복지국가보다는 복지사회, 또는 다원적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국민의 개성적이고 다양화된 삶의 가치에 의해서 자유롭고 선택적인 삶의 방식이 실현될 수 있는 복지체계의 재편성을 필요로 한다.
셋째, 특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사회의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넷째, 인간적인 생활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 등과 같은 새로운 방향을 추구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복지 시스템을 확보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전반적인 복지전개방향을 종합하면, 물질적 복지, 개별복지, 시설복지 및 상식적 서비스, 단순한 수용 서비스와 같은 잔여적 복지개념에서 정신복지, 종합복지, 지역사회복지, 다양한 형태의 분화된 서비스 및 전문적 서비스와 같은 제도적 복지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요보호청소년만을 대상으로 교육 환경 보건 직업 여가선용 및 앞으로의 진로 등 폭넓은 영역에 있어 복지시책을 촉구하고 있다. (김성이, 1993; 김영모, 1998; 김향초, 1991; 이용교, 1993; 장인협 오정수, 2000) 청소년복지의 전개는 일반사회복지의 전개와 방향은 대동소이하지만, 성장기의 청소년이 대상이 되므로 그들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아직은 부모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난 독자적독립적 상태가 아니므로 부모를 포함한 가족의 복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부록: 청소년 관련 사이트 소개
1) 치료 및 선도, 사이버상담실 제공.
http://www.jikim.net/
2) 서울 YMCA청소년 쉼터 - 가출청소년 보호, 후원 및 자원 봉사자 모집.
http://shelter.ymca.or.kr/
3) 한국 청소년 쉼터협의회 - 협의회, 청소년쉼터 소개, 청소년소식, 공부방, 게시판 수록.
http://www.jikimi.or.kr/
4) 청소년세계 - 청소년 성문제, 학업, 진로, 비행, 정신건강, 이성문제 등 상담서비스 제공.
http://www.youth.co.kr/
5) 광주청소년종합지원센터 - 가출청소년상담 1388 긴급전화운영, 상담게시판 제공.
http://www.gj1388.or.kr/
6) 강남청소년회관 - 서울YWCA 위탁 운영 청소년프로그램 센터.
http://www.gangnamyc.or.kr/
7) 부산광역시 아동청소년회관 - 청소년동아리, 문화예술마당, 중창경연대회, 전통민속경연대회, 약물 오남용 및 성교육, 어린이집 운영, 아동 청소년 전문상담.
http://www.child-youth.go.kr/
8) 경기도 청소년문화존 - 지역별 행사소개, 일정안내, 사이버강좌, 행사사진 수록.
http://www.kgyouth.net/
9) 서울특별시립 청소년정보문화센터 - 센터 이념 및 목표, 주요활동, 이용안내 등 제공.
http://www.ydmc.net/
10) 프란치스코 청소년 보호회 - 보호회 소개, 아이들 이야기, 영상일기, 후원안내 등 제공.
http://www.haiz.org/
- 참 고 문 헌 -
김만두 한혜경(2000). 현대사회복지개론. 홍익재
김성이(1993). 청소년복지의 전개방향.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
(1993).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의의”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
(1995). “한국청소년복지의 변화와 발전방향” 한국청소년개발원.
광복 50주년 학술세미나.
김수환(1991). “1990년대 이후 청소년복지의 방향과 과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사회복지연구.
김영모 외(1991). 청소년정책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출판부.
김오남 외 2인(2000). 발달심리학. 양서원.
김향초(1991). “청소년복지 및 관련 서비스 고찰” 1991년 청소년학 대학자료집.
한국청소년학회
김현용(1993). “한국 사회의 변화와 사회복지 서비스의 전개 방향”
복지국자의 현재와 미래. 한림과학원.
남세진 조흥식(1996). 한국사회복지론. 나남출판사
노 혁(1998). “청소년복지의 정체성 모색” 한국청소년연구.
도미향 이소희(1996). “청소년복지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기본법”
생활과학연구지: 숙명창학 90주년 기념특집호.
숙명여자대학교 건강 생활과학연구소
(2005). 청소년복지론
문화관광부(1998). 청소년백서
(1999). 청소년백서
법체처(1970). 법제자료 제41집.
아동복지편람(1997).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안종만(1999). 사회복지의 이해. 박영사
이영숙 외(1993). 외국의 청소년복지정책연구. 아동청소년개발과
표갑수(2000). 아동 청소년복지론. 나남출판.
공계순 외 (2003). 아동복지론. 학지사.
김경동(1997). 현대의 사회학. 박영사.
김정희 외(1993).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양점도 변미희(2001). 청소년복지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이소희(2000). 아동복지론. 양지.
이용교(1993). 청소년복지정책의 발전방향. 사회복지.
장휘숙(1996). 청년심리학. 장승.
정옥분(1998).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한국청소년연구원(1992). 청소년문제론. 서원.
한국청소년개발원(1994). 청소년복지론. 인간과 복지.
(2003). 청소년정책론. 교육과학사.
한상철(1998). 청소년학개론. 중앙적성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