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흥선대원군과 민비의 대립
2> 흥선 대원군
1. 생애 및 개혁 정치
2.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배경
3. 서양열강의 공세
4. 쇄국정책의 말로
3> 민비
1. 출신과 간택
2. 대원군과의 갈등
3. 친청정책
4. 외교정책
5. 친러 정책과 을미사변
2> 흥선 대원군
1. 생애 및 개혁 정치
2.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배경
3. 서양열강의 공세
4. 쇄국정책의 말로
3> 민비
1. 출신과 간택
2. 대원군과의 갈등
3. 친청정책
4. 외교정책
5. 친러 정책과 을미사변
본문내용
불만을 사게 되었다.
4. 외교정책
이때부터 그녀는 외교에 눈을 뜨고 매우 민첩한 외교 능력을 발휘하였다. 1885년 거문도 사건이 일어나자 묄렌도르프를 일본에 파견하여 영국과 사태 수습을 협상하는 한편 러시아와도 접촉하였고, 또한 청나라와의 관계에서도 흥선대원군의 환국을 묵인하는 등 유연성 있는 관계를 유지하였다.
5. 친러 정책과 을미사변
1894년 동학교도를 중심으로 한 농민 봉기가 일어나 조선의 정국이 혼미 상태가 되었을 때, 조선에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던 일본은 갑오경장에 간여하면서 흥선대원군을 내세워 그녀의 세력을 제거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그녀는 일본의 야심을 간파하고 친러 정책을 쓰면서 노골적으로 일본에 대항하였다. 이때는 이미 영국, 독일, 러시아 등의 삼국간섭으로 일본의 국제적 지위가 실추된 상황이었기에 그녀의 친러 정책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에 일본공사 미우라는 조선에서 밀려날 것을 염려한 나머지 일부 친일 정객과 짜고 민씨를 포함한 친러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을미사변을 일으켜 그녀를 시해하는데, 1895년 일본 군인과 정치 낭인들이 흥선대원군을 내세워 왕궁을 습격하고 민씨를 시해 한 뒤 정권을 탈취한 사건이 그것이다. 그리고 고종으로 하여금 민씨를 폐위하여 서인으로 전락시키도록 강요했다.
하지만 그 해 10월 10일 그녀는 신원되어 태원전에 빈전이 설치되고 국장에 의해 숙릉에 안치되었다. 그리고 1897년 명성황후로 추책되고, 11월 양주 천장산 아래에 이장되어 홍릉이라 하였고, 1919년 고종이 죽자 2월에 미금시로 다시 이장되었다. 그녀의 소생으로는 순종이 유일하다.
4. 외교정책
이때부터 그녀는 외교에 눈을 뜨고 매우 민첩한 외교 능력을 발휘하였다. 1885년 거문도 사건이 일어나자 묄렌도르프를 일본에 파견하여 영국과 사태 수습을 협상하는 한편 러시아와도 접촉하였고, 또한 청나라와의 관계에서도 흥선대원군의 환국을 묵인하는 등 유연성 있는 관계를 유지하였다.
5. 친러 정책과 을미사변
1894년 동학교도를 중심으로 한 농민 봉기가 일어나 조선의 정국이 혼미 상태가 되었을 때, 조선에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던 일본은 갑오경장에 간여하면서 흥선대원군을 내세워 그녀의 세력을 제거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그녀는 일본의 야심을 간파하고 친러 정책을 쓰면서 노골적으로 일본에 대항하였다. 이때는 이미 영국, 독일, 러시아 등의 삼국간섭으로 일본의 국제적 지위가 실추된 상황이었기에 그녀의 친러 정책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에 일본공사 미우라는 조선에서 밀려날 것을 염려한 나머지 일부 친일 정객과 짜고 민씨를 포함한 친러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을미사변을 일으켜 그녀를 시해하는데, 1895년 일본 군인과 정치 낭인들이 흥선대원군을 내세워 왕궁을 습격하고 민씨를 시해 한 뒤 정권을 탈취한 사건이 그것이다. 그리고 고종으로 하여금 민씨를 폐위하여 서인으로 전락시키도록 강요했다.
하지만 그 해 10월 10일 그녀는 신원되어 태원전에 빈전이 설치되고 국장에 의해 숙릉에 안치되었다. 그리고 1897년 명성황후로 추책되고, 11월 양주 천장산 아래에 이장되어 홍릉이라 하였고, 1919년 고종이 죽자 2월에 미금시로 다시 이장되었다. 그녀의 소생으로는 순종이 유일하다.
추천자료
일본과 우리나라 현 영·유아 보육시설정책 비교를 통한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의 장애인과 독일의 장애인 정책 비교
프랑스와 영국의 對 EU정책 비교 연구
중국, 베트남, 북한의 개혁 개방 정책 비교
부시와 오바마 정부의 이라크 정책 비교
[사회복지학] 우리나라와 일본의 다문화 정책 비교조사
[문헌정보학]한미일 국회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비교
(여성복지론) 우리나라와 외국의 출산정책 비교와 문제점 대안 보고서
한국, 일본, 미국의 아동복지정책 비교와 문제점 및 대안모색방안
사회복지정책의 제도적 개념과 잔여적 개념에 대해서 논하시오 - 잔여적 개념 특징 비교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를 보는 시각인 잔여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을 비교분석
우리나라의 청소년복지를 외국(미국)의 청소년복지 정책과 비교분석하고 청소년복지의 발전방...
19대 대통령 후보들의 교육정책공약 비교및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