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샤오핑의 성공과 리더십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덩샤오핑의 성공과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문 (덩 샤오핑의 생애)

2. 수신
⑴ 격물천안문 사건
⑵ 치지
⑶ 성의
⑷ 정심

3. 제가
가족들이 말하는 덩 샤오핑
덩 샤오핑의 가족들의 불안한 장래

4. 치국
덩 샤오핑의 정책덩 샤오핑의 정치
덩 샤오핑의 개혁 개방남순강화
덩 샤오핑의 리더십의 한계 - 6·4 천안문 사태

5. 평천하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분한 것이다.)
1974년 가을 국무원 총리 저우언라이(周恩來)의 병세가 위중해진 이후 그는 당과 정부의 일상적인 업무를 총괄하였다. 1975년 1월에는 중국공산당 중앙 부주석, 국무원 부총리, 중국공산당 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을 역임하여 극히 혼란했던 정치 상황을 수습하면서, 당시의 최대 권력세력으로 당권 탈취를 노리던 강청(江靑) 등 "사인방" 집단과 정면으로 충돌하였다.
이때부터 덩 샤오핑의 지위는 총리 서리로 상승하여 군사, 경제 등의 업무 전반에 관한 정비에 착수하였으며, 이로써 덩 샤오핑은 사인방의 주요 타도 대상이 되었다. 1976년 1월 8일 저우언라이가 사망하고 그해 4월 5일 "천안문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그는 천안문사건의 배후 인물로 지목되어 다시 당내외의 모든 직위에서 파면되었다. 이것이 그의 정치무대에서 세 번째 좌절이다.
1976년 7월 6일 홍군의 아버지로 불리던 주덕(朱德)에 이어 9월 9일 마오쩌둥도 세상을 떠나자, 그 해 10월 화궈펑(華國鋒)과 섭검영이 연합하여 강청을 비롯한 사인방을 체포하고 정국을 수습하였다. 1977년 덩 샤오핑은 화궈펑에게 두차례나 서신을 보내 충성을 다짐하였으며, 그 해 7월 중국공산당 10기 3중전회에서 다시 원래의 직위를 그대로 회복하였다. 같은 해 8월 11기 1중전회에서 중앙 부주석,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 당선되었다.
1978년 3월 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으며, 같은 해 12월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에서 그는 중국공산당의 역사적인 정책 변환에 대하여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덩 샤오핑의 설계를 바탕으로 중국의 개혁이 농촌에서부터 시작되었던 것이다. 1980년 2월 중공 11기 5중전회에서 덩 샤오핑은 후야오방(胡耀邦)을 중공 총서기로 추천 임명하고, 같은 해 8월에 화궈펑을 밀어내고 자오쯔양(趙紫陽)을 국무원 총리에 추천 임명하였다. 후야오방과 자오쯔양은 각각 덩 샤오핑의 좌우에 서서 그의 개혁개방 노선을 보좌하는 핵심 인물이 되었다. 이때부터 덩 샤오핑은 대외개방정책을 추진, 국제무역의 확대, 국외자금의 이용, 국외의 선진기술과 관리경험 도입 등을 통하여 중국경제의 발전을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그전에 덩 샤오핑은 먼저 홍콩과 마카오에 인접한 광동성과 복건성에 심천(深), 주해(珠海), 하문(廈門), 산두(汕頭)에 경제특구를 설치하였다. 이후 개혁개방의 시험지가 된 이 지역의 경제는 급속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1981년 6월 중국공산당 11기 6중전회에서는 그의 주도로 입안된 <건국이래 당의 몇 가지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關于建國以來黨的若干歷史問題的決議)>를 통과시켰으며, 이 회의에서 그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78년부터 그는 중국공산당의 주요한 정책 결정권자로서 당에서 제정하고 시행하는 새로운 발전 시기의 노선과 방침, 정책을 영도하였다. 그는 "문화대혁명" 시기와 마오쩌둥 만년기의 오류를 시정하고 마오쩌둥의 업적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사회주의 노선의 견지, 인민민주전정의 견지, 공산당 영도의 견지,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마오쩌둥사상의 견지라는 4개 기본 원칙을 주장하였다. 그는 당의 전국적인 사업 중점을 경제건설에 두고 마르크스주의의 보편적 진리를 중국의 실제 상황에 결부시켜 중국식 사회주의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는 사회주의노선을 견지하면서 현대화건설을 위한 네 가지 필수 요건을 강조했다.
첫째, 행정기구와 경제체제의 개혁을 통하여 간부의 혁명화, 연소화, 지식화, 전문화를 실현한다.
둘째, 사회주의 정신문명을 건설한다.
셋째, 경제영역과 기타영역의 범죄활동을 방지한다.
넷째, 당의 조직과 기강을 정비한다.
덩 샤오핑은 중국의 통일에 대해서도 매우 많은 관심을 표명하면서 "일국양제(一國兩制)"의 구상을 내놓기도 하였다. 그는 항상 중국을 방문하는 외국 원수나 정부 수뇌, 외국 공산당 지도자, 기타 정당 대표 등 각계 인사들을 접견하였다. 그리고 여러 차례 외국을 방문하여 중국인의 해외 교류를 확대하고, 중국의 대외 경제, 기술, 과학 교류를 증진시키는 등, 중국의 현대화건설에 유익한 국제적 여건 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1982년 12기 1중전회에서 그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때 중앙 주석과 부주석은 폐지되었음), 중국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주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83년 제6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회의에서 그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회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농촌개혁의 성공을 계기로 덩 샤오핑은 개혁의 방향을 도시로 옮겼다. 1984년 중공 12기 3중전회에서 <경제체제 개혁에 관한 결정>을 통과시킨 후 전면적인 도시개혁에 착수하였다. 이 해에 덩 샤오핑은 14개 연안 항구도시의 개방 확대를 비준하고, 1985년에는 다시 장강삼각주, 주강삼강주, 민남하장천(閔南廈장泉) 삼각지구와 요동반도, 교동(膠東)반도를 연해 경제개방구로 확대하였다.
1987년 10월 중국공산당 13기 1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으며, 1989년 11월 중국공산당 13기 5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사임하였다. 1992년 봄, 그는 남방을 순시하고 중요한 담화(즉, "남순강화")를 발표하였다. 그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전체회의에서는 남순강화의 정신에 의거하여 "개혁 개방과 경제 발전의 가속화에 관한 결정(關于加快改革開放和經濟發展的決定)"을 하였다.
1992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4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을 정립하고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수립하여 개혁의 행보를 더욱 가속화 할 것을 천명하였다.
6. 참고문헌
‘ 대륙의 지도자 등소평 ’ - 등용 지음 -
‘ 나의 아버지 등소평 ’ - 등용 지음 -
‘ 등소평과 21세기 중국의 전략 ’ - 샨시우파, 왕샤오훼이 지음 -
‘ 등소평 리더쉽과 중국의 미래 ’ - 김영화 지음 -
http://www.chinainkorea.co.kr/인물연구/등소평.htm
http://user.chollian.net/~mazel/renmin/deng.htm
기타 인터넷 검색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