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제 사건을 소재로 하지 않는 이상 영화가 현실을 비판한다거나 비꼰다든가, 드러나지 않은 메세지를 던지는 현실반영론적 영화는 별로 좋아하질 않는다. 지구를 지켜라. 참으로 터무니 없는 영화였다. 외계인으로부터 지구를 지킨다는 것을 관객들에게 조소 어린 눈으로 바라보게끔 하는 영화는 처음이었다. 어떤 영화에서도 외계인과 싸우는 주인공을 비웃을 수 있는 설정을 하지는 않았으니까…
추천자료
멋진 신세계를 읽고(인간의 존엄성이 상실된 사회)
[독후감]'향수'를 통해 본 인간
Das Experiment를 보고 - 인간 본성에 대한 견해
[영화미학][영화][미학][취화선][자전거도둑]영화미학의 목표, 영화미학의 전통과 필요성, 영...
[영화미학][영화미학 출발][영화미학 문제점][영화미학 수용 사례][크라카우어 영화미학]영화...
[A+ 리포트 ]로봇은 인간이 될 수 없나?(논증문)
미국할리우드영화(헐리우드영화)의 발전과 성격, 미국할리우드영화(헐리우드영화) 장점, 미국...
하치이야기영화감상문[미국하치이야기영화감상][헐리웃하치이야기영화감상][하치이야기영화감...
하치이야기영화감상[일본하치이야기영화감상문][하치이야기원작][하치이야기영화감상문][영화...
[일본영화, 일본, 영화, 일본영화 형식과 발전과정, 일본영화 시대적 흐름, 일본영화 대표감...
라쇼몽 (羅生門/In The Woods) - 언어로 표출되는 인간의 욕망
[자유보고서] 미래에 대한 나의 견해_ 인간의 미래에 대하여
1960년 『하녀 (The Housemaid)』에서 나타난 인간의 존엄성에 의한 악마성 발현 - 김기영 감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