렙토스피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렙토스피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2. 렙토스피라(Leptospira)균

3. 병인론
1) 병인체의 종류
2) 병인체의 형태

4. 렙토스피라병의 역사

5. 원인

6. 감염 및 전파경로

7. 역학 및 발생

8. 우리나라의 발병 및 임상역학적 특징

9. 발병기전 및 병리기전

10. 증상

11. 진단 및 치료

12. 경과 및 예후

13. 합병증

14. 관리 및 예방 / 치료

15.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에는 예방이 어렵다. 농부들, 하수도 종사자들은 흙이나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장화 등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백신은 렙토스피라 감염증이 많이 생기는 지역에서만 사용한다.
1) 치료
페니실린 (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테트라싸이클린 (tetracycline) 등의 항생제를 3일간 투여한다. 황달이 나타나지 않는 경증환자는 2~3주일이 지나면 거의 전부가 회복된다. 대중적인 치료 외에 조기에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penicillin이나 tetracycline이 매우 효과적이다. 유행지역에서 doxycycline의 예방적 투여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사균백신 등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황달이 생긴 중증에서는 간장애가 아닌 신부전으로 5~30%가 사망하지만 투석(dialysis)으로 사망율이 감소된다. Penicillin, cephalosporin, tetracycline, streptomycin, macrolide 등은 Leptospira에 대한 항균력이 있지만 발병초기 즉, 발병한지 1~2일, 늦어도 3~4일 이내에 사용 해야만 효과가 있고 그 다음에는 이미 조직이 파괴되었고 또 면역기전(,antigen-antibody complex)으로 병변이 진행되는 까닭에 항생제는 효과가 없다.
2) 예방
모든 렙토스피라병의 경우마다 철저히 조사 연구하여 가능한 공공의 발생출처를 알아내고 적절한 방제를 위한 규제를 강구하여 더 이상의 발생을 막아야 한다. 그러나 그 방제가 간단한 작업은 아니다. 백신은 고위험집단에 적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논농사를 짓는 농부 등이 대상이 된다. 이들 백신은 특정 serovar에 관련한 것이다. 최근의 임상연구에 의하면 매주 200mg의 doxycycline 투여에 의해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① 농경지의 고인 물 속에서의 작업 후에는 깨끗한 물로 손발을 씻을 것.
② 농촌일 때에는 소매를 내려입고, 장화, 장갑 등을 착용하고 상처있는 사람은 제외할 것.
③ 가급적 논의 물을 빼고 마른 뒤에 벼베기 작업을 할 것.
④ 매개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할 것.
15. 참고문헌
1)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05, 수의공중보건학, 3rd, 문운당, 서울, P.77~80
2) 남철현 외, 2003, 공중보건학, 계축문화사, 서울, P. 246~247
3) www. Yahoo. com에서 이미지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