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Ⅱ. 부모교육의 필요성
1. 일반적 부모교육의 필요성
2.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의 필요성
Ⅲ. 부모교육의 목적
Ⅳ. 부모교육의 내용
1. 일반적 부모교육의 내용
2.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의 내용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부모교육의 필요성
1. 일반적 부모교육의 필요성
2.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의 필요성
Ⅲ. 부모교육의 목적
Ⅳ. 부모교육의 내용
1. 일반적 부모교육의 내용
2.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의 내용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양육이 고민스러운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이러한 시대에 부모교육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특히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어가는 청소년들에게 그 효과가 더욱 기대되어진다. 이미 결혼을 하여 자녀를 양육하다가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 부모 중에 스스로 부모교육을 받기 위해 자청하는 부모는 몇이나 되겠는가? 또 그런 필요성을 느끼는 부모조차 얼마나 될지가 의문이다.
반면에 청소년들은 시기적으로 정체성이 형성되어가는 시기이며, 가정 내에서의 부모와의 관계를 통하여 부모역할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시기이며, 사회적으로 시야를 넓혀가는 시기이다. 또 성에 대하여 급격하게 눈을 뜨는 시기이기도 하며, 의무교육의 울타리에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런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성에 대하여, 만남에 대하여, 가정의 형성에 대하여 드러나지 않는 호기심과 앎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를 그냥 덮어두는 것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그 아이들은 숨어서 혹은 알지 못한 채로, 의도하지 못하였던 부모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입시가 얼마나 중요하고 학력에 따른 배움의 기회와 사회진출의 기회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하여는 더 할 말이 없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가정과 사회의 문제에 대하여는 더욱 그러하다.
아직까지 부모교육에 관하여 많은 연구들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교육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어, 예비부모교육에 대하여는 그 내용이나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기는 하나 그 중요성과 필요성에 따라 하루 빨리 정착되기를 바란다. 또 이러한 연구와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어 청소년의 바른 성장에 도움이 되고, 청소년이 올바른 가정의 형성에 주체적인 사람들이 되어, 미래 사회를 커다랗고 따뜻한 가정으로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참 고 문 헌
고선주·조은숙·옥선화 (1998). 부모기 전이기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모
형 개발 : 부모되는 길라잡이. 대한가정학회지. 36(5).
서울대학교 교육 연구소편 (1981). 교육학 대사전.
김승권 (2003). 저출산의 원인과 안정화 대책. 보건복지포럼. 86, 6-21.
김정환 (1997). 페스탈로찌가 어머니들에게 보내는 편지. 서울: 양서원.
김지신·정승원·최미경 (1997).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
구. 대한가정학회지, 35(6).
나은경 (1992). 고등학생의 부모기에 대한 이해와 유아기 자녀교육에 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교부 (1983). 부모교육. 서울: 한국행동과학연수고(편).
박수웅 (2004). 우리...사랑할까요? 서울: 두란노
신혜영 (1996).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유안진 (1997). 부모교육. 서울: 동문사.
윤기영 외 5명 (1998). 대학생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를 위
한 연구. 서원 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제 16집.
이기숙 (1983). 유아교육과정.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편.
이병래(1991). 결혼 전 여성의 양육 태도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병만 (1999). 예비부모들의 부모참여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순천향
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원영 (1992). 부모교육론. 서울: 교문사.
이재연 (1989).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정미라·이희선·배소연(1995). 대학생들의 예비 부모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
구. 유아교육 연구, 제 15권 제 1호 179-197.
홍기형 (1984).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연구: 취학 전 자년의 부모중심
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황완규 (1994). 결혼 적령기 직업여성의 유아양육 태도에 관한 연구. 원광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의순 (2003).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우석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oetsch, Patricia (1990). Reducing the risk for child abuse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arenting program for teenage mothers. Ed. D.
Practicum, Nova University.
Groom, Pashia Denise (1999). Predic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mong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ulsa.
Hanson, Shirley M. H., Heims, Marsha L., Julian, Doris J., Sussman,
Marvin B. (1995). Single parent families"F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Marriage & Family Review. New York"FMar
31,1995. vol. 20.
Johnson, Sarah Willier (1992). Sex education and teenage parenting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um in missouri public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Roundtree, Doris J. (1987). Implementing parenting workshops with
SOLVE adolescent mothers. Practicum paper, Nova University.
Weinstein, Estelle, Rosen, Efrem (1994). Decreasing sex bias through
education for parenthood or prevention of adolescent pregnancy"FA
developmental model with integrative strategies. Roslyn
Heights"FFall 1994. vol.29.
이러한 시대에 부모교육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특히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어가는 청소년들에게 그 효과가 더욱 기대되어진다. 이미 결혼을 하여 자녀를 양육하다가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 부모 중에 스스로 부모교육을 받기 위해 자청하는 부모는 몇이나 되겠는가? 또 그런 필요성을 느끼는 부모조차 얼마나 될지가 의문이다.
반면에 청소년들은 시기적으로 정체성이 형성되어가는 시기이며, 가정 내에서의 부모와의 관계를 통하여 부모역할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시기이며, 사회적으로 시야를 넓혀가는 시기이다. 또 성에 대하여 급격하게 눈을 뜨는 시기이기도 하며, 의무교육의 울타리에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런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성에 대하여, 만남에 대하여, 가정의 형성에 대하여 드러나지 않는 호기심과 앎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를 그냥 덮어두는 것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그 아이들은 숨어서 혹은 알지 못한 채로, 의도하지 못하였던 부모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입시가 얼마나 중요하고 학력에 따른 배움의 기회와 사회진출의 기회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하여는 더 할 말이 없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가정과 사회의 문제에 대하여는 더욱 그러하다.
아직까지 부모교육에 관하여 많은 연구들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교육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어, 예비부모교육에 대하여는 그 내용이나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기는 하나 그 중요성과 필요성에 따라 하루 빨리 정착되기를 바란다. 또 이러한 연구와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어 청소년의 바른 성장에 도움이 되고, 청소년이 올바른 가정의 형성에 주체적인 사람들이 되어, 미래 사회를 커다랗고 따뜻한 가정으로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참 고 문 헌
고선주·조은숙·옥선화 (1998). 부모기 전이기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모
형 개발 : 부모되는 길라잡이. 대한가정학회지. 36(5).
서울대학교 교육 연구소편 (1981). 교육학 대사전.
김승권 (2003). 저출산의 원인과 안정화 대책. 보건복지포럼. 86, 6-21.
김정환 (1997). 페스탈로찌가 어머니들에게 보내는 편지. 서울: 양서원.
김지신·정승원·최미경 (1997).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
구. 대한가정학회지, 35(6).
나은경 (1992). 고등학생의 부모기에 대한 이해와 유아기 자녀교육에 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교부 (1983). 부모교육. 서울: 한국행동과학연수고(편).
박수웅 (2004). 우리...사랑할까요? 서울: 두란노
신혜영 (1996).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유안진 (1997). 부모교육. 서울: 동문사.
윤기영 외 5명 (1998). 대학생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를 위
한 연구. 서원 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제 16집.
이기숙 (1983). 유아교육과정.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편.
이병래(1991). 결혼 전 여성의 양육 태도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병만 (1999). 예비부모들의 부모참여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순천향
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원영 (1992). 부모교육론. 서울: 교문사.
이재연 (1989).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정미라·이희선·배소연(1995). 대학생들의 예비 부모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
구. 유아교육 연구, 제 15권 제 1호 179-197.
홍기형 (1984).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연구: 취학 전 자년의 부모중심
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황완규 (1994). 결혼 적령기 직업여성의 유아양육 태도에 관한 연구. 원광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의순 (2003).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우석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oetsch, Patricia (1990). Reducing the risk for child abuse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arenting program for teenage mothers. Ed. D.
Practicum, Nova University.
Groom, Pashia Denise (1999). Predic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mong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ulsa.
Hanson, Shirley M. H., Heims, Marsha L., Julian, Doris J., Sussman,
Marvin B. (1995). Single parent families"F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Marriage & Family Review. New York"FMar
31,1995. vol. 20.
Johnson, Sarah Willier (1992). Sex education and teenage parenting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um in missouri public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Roundtree, Doris J. (1987). Implementing parenting workshops with
SOLVE adolescent mothers. Practicum paper, Nova University.
Weinstein, Estelle, Rosen, Efrem (1994). Decreasing sex bias through
education for parenthood or prevention of adolescent pregnancy"FA
developmental model with integrative strategies. Roslyn
Heights"FFall 1994. vol.29.
추천자료
[부모교육]드라이커스와 고든의 부모교육이론 비교 고찰
[부모교육 A형]드라이커스와 고든의 부모교육이론 비교분석
[기독교 부모교육] 교회학교 부모교육
[교육학/교육론A+]교류분석이론 배경 및 이론,부모교육 현황 및 평가
드라이커스(Dreikurs)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부모교육론)
청소년과부모1공통) 드라이커스가 민주적 부모교육이론에서 제안한 4가지 잘못된 행동목표와 ...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기노트의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을 교재 및 자료
광의적 측면에서의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모...
광의적 측면에서의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모...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우리나라의 부모교육 현황과 프로그램의 운영방...
(부모참여의 개념) 부모교육과 부모참여의 개념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 그 차이점에 대해 정리...
방통대 과제 부모교육(PET) - 태내기 및 신생아기, 영아기 발달별 특징을 설명하고, 각 시기...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했으면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생각해 보시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