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과 포스트니즘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모더니즘의 정의와특징

2. 포스트 모더니즘의 정의와 특징

3. 모더니즘과 포스트니즘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특징중의 하나이다. 낭만주의 전통에 입각한 작품을 가리켜 '아름다운 거짓말'로 간주하던 리얼리즘의 작가들은 객관적으로 모방하거나 반영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예술적 목표로 삼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재현성에 대한 회의는 모더니즘?릿? 포스트 모더니즘에 이르러 한결 더 첨예하게 부각되기 시작했다. 포스트 모더니스트들은 리얼리스트들과는 달리 자연이나 우주 또는 삶의 실재에 대하여 그렇게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지 않다.
실제 세계보다는 오히려 창조된 세계를 더 중시하는 그들은 실제가 예술적 창조에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렇게 포스트 모더니즘이 보여주는 반리얼리즘적 입장과 비재현성에 대한 강조는 무엇 보다도 자기 반영성, 그리고 그것에 기초한 메타 픽션에서 잘 나타난다. 흔히 포스트 모더니스트 들로 범주화되는 대부분의 작가들은 이러한 자기 반영적 메타픽션을 매우 중요한 쟝르로 간주한다. 그러나 자기 반영적 실험성이 모든 사람들에게 다 환영받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칭찬보다는 오히려 비난의 대상이 되어 왔다. 로버트 올터는 [부분적인 마술]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의 극도의 실험성을 가리켜 '자유'가 아니라 '방종'에 해당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포스트 모더니스트들은 "모더니스트들이라는 거인에서 태어난 난쟁이 후예들로서 삶으로부터 등을 돌린 채 자신의 예술을 통한 일종의 예술적 자위 행위의 희열에 탐닉해 있다"고 주장한다.
기성 전통과 인습에 대한 심각한 도전과 강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모더니즘은 권위나 중심에 대한 갈망을 완전히 떨쳐 버릴 수 없었다. 그것은 20세기 현대에 만연되어 있는 혼돈과 무질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권위나 중심에 의존 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모더니즘은 형식이나 기교면에서는 매우 급진적이고 때로는 가히 혁명적이라고 할 수 있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내용이나 주제면에서는 여전히 보수주의적인 입장을 견지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모더니즘이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이중적이고 양면적인 성격이다.
모더니즘의 경우 문학을 비롯한 예술 장르는 마치 군대의 계급이나 천사의 계급 조직처럼 서로 엄격히 구분되어 있었다. 그러나 포스트 모더니즘에 이르러 이러한 장르에 놓여 있던 높은 장벽이 무너지고 각각의 장르가 서로 혼합되고 결합되기 시작 하였다. 레슬리 피들러가 말하는 이른바 '경계선을 넘고 간격을 좁히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탈장르화' 또는 '장르확산'으로 잘 알려진 현상이다.
고급 예술이 지향하는 진지성과 엘리트주의적인 특성을 비판하는 동시에, 그동안 구체적인 일상적 삶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던 예술을 삶 속에 끌어들이고자 한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들은 '예술을 삶 속에 통합시키는 것'을 가장 중요한 심미적 목표로 삼았다. 특히 맨 선두에 서서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를 수립하는 일종의 예술적 게릴라에 해당되는 임무를 수행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는 아방가르드의 특성과 같다. 그래서 포스트 모더니즘을 '네오 아방가르드 '라고 부르기도 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논리적 계승이며 발전인 동시에 그것에 대한 비판적 반작용이며 단절이고, 야누스처럼 두 개의 상이한 얼굴을 지니고 있다. 21세기를 눈앞에 둔 '문지방에 선' 시기에 살고 있는 우리는, 19세기를 마감하는 분수령에서 매슈 아놀드가 느꼈던 것과 꼭 마찬가지로 "한 세계는 이미 사멸되고 다른 세계는 아직 새로이 태어나기에는 무력한 두 세계" 사이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개성·자율성·다양성·대중성을 중시한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이념을 거부했기에 탈이념이라는 이 시대 정치이론을 낳는다. 또한 후기산업사회 문화논리로 비판받기도 한다. 산업사회는 분업과 대량생산으로 수요에 의해 공급이 이루어지던 시대이다. 이제 컴퓨터·서비스산업 등 정보화시대에 이르면 공급이 넘치고 수요는 광고와 패션에 의해 인위적으로 부추겨진다. 빗나간 소비사회는 때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실험적이고 긍정적인 측면을 무력하게 만들기도 한다. 탈이념, 광고와 패션에 의한 소비문화, 여성운동, 제3세계운동 등 포스트모던시대의 사회정치현상은 우리사회와도 무관하지 않다.
3. 모더니즘과 포스트니즘에 대한 고찰
모더니즘의 개념에 대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공통적으로 '모더니즘'은 힘의 논리, 흑백 논리, 원칙주의, 현실주의 등등 극단적으로는 이분법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것이 모더니즘의 단정적 정의라고 결론을 지었습니다..
이에 반해 포스트 모더니즘'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형식이 없어지기도 하는 시대적 풍조라는데 의견을 통일 시켰습니다. 즉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던 모더니즘에서 탈피하자는 것입니다.
우리 주위에는 모더니즘을 추구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포스트 모더니즘을 추구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모더니즘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포스트 모더니즘의 문제점이 전통의 상실, 진리에 대한 상대주의적/상호주체적 태도, 인간소외현상 등을 지적할 것이고 포스트 모더니즘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고정관념, 흑백논리, 개인의 다양성 무시를 문제점으로 지적할 것입니다.
그러나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가르는 자체가 이분법적 사고를 조장할 수 있다는것에 대해서는 모두다 공감하는 부분일 것입니다. 모던하게 살아가는 것은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유교사상이 강한 우리나라의 경우는, 전통을 관가할 수 없으며, 체계가 잡힌 사회를 세울 수 있고, 흑과 백으로 가를 수 있는 만큼 자신의 의견과 주관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포스트 모던적으로 살아가는 것도 역시 인간소외현상을 조장하고, 상식과 권위에 대한 도전, 금기 파괴 등 극단적 문제점과 더불어 개인의 가치관, 의견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포스트 모더니즘에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에게는 포스트 모더니즘이라는 것과 모더니즘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많은 현대 사회의 정보들을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모더니즘적 경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현대인이 되어야 포스트 모더니즘 사회에 현명하게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 가격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1.24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