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 의
2. 시대적 배경
3. 구성주의의 성격
4. 미술의 구성주의
5. 건축의 구성주의
6. 구성주의의 영향
7. 결 론
2. 시대적 배경
3. 구성주의의 성격
4. 미술의 구성주의
5. 건축의 구성주의
6. 구성주의의 영향
7. 결 론
본문내용
스틸(De Stijl)'이나 '바우하우스'에 끼친 영향도 컸고, 파리에서 설립된 '추상 ·창조'의 그룹도 구성주의의 계보에 속한다
1). 데 스틸
초기의 큐비즘의 영향으로부터 시작하여 이태리의 미래파, 러시아의 구성주의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비교적 다양한 변천을 거치는 데 스틸 그룹은 일관된 원리를 찾기도 어렵고 그 일원에 있어서도 서로간의 연계성을 유지한 것도 아니었다.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러시아 구성주의를 접하게 됨으로서 기하 추상과 유토피아적인 세계관을 형성하게 된다.
2).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에서의 조형언어는 러시아 구성주의와 네델란드 데 스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들 운동은 과거로부터 축적된 조형양식과의 결별을 위해, 개인적인 취향을 넘어서기 위해, 또 대량 기계생산체제에 적합한 형태이기에, 기하학적 형태를 새로운 조형언어로 구사하였다.
Cf. 바우하우스 : 1919년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미술학교와 공예학교를 병합하여 설립하였다. '바우하우스(Bauhaus)'라는 이름은 독일어로 '집을 짓는다'는 뜻의 하우스바우(Hausbau)를 도치시킨 것이다. 주된 이념은 건축을 주축으로 삼고 예술과 기술을 종합하려는 것이었다.
7. 결 론
구성주의는 러시아의 혁명과 함께 새로운 사회적인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려는 수단으로서 생겨났다. 일반적인 예술의 개념을 뒤엎는 커다란 혁명이 었다. 구성주의는 조각,회화에서 뿐만 아니라 건축에서도 그 모습을 나타냈다. 구성주의는 곧 도래하게 되는 다른 사회적 이데올로기로 인해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 구성주의를 추구했던 아방가르드들의 업적을 크게 사고 있다. 그것은 그들의 도전적인 정신이 지금의 미적 형태에 이상향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점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미래에 대해 불신을 안겨준다. 그 당시에 무시당했던 사조가 이제 와서 커다란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해 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천년의 울림」이덕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1/6/15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3&dir_id=312&docid=86640
* http://blog.naver.com/sosesi/60001952537
* http://cafe.naver.com/multik.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20
1). 데 스틸
초기의 큐비즘의 영향으로부터 시작하여 이태리의 미래파, 러시아의 구성주의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비교적 다양한 변천을 거치는 데 스틸 그룹은 일관된 원리를 찾기도 어렵고 그 일원에 있어서도 서로간의 연계성을 유지한 것도 아니었다.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러시아 구성주의를 접하게 됨으로서 기하 추상과 유토피아적인 세계관을 형성하게 된다.
2).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에서의 조형언어는 러시아 구성주의와 네델란드 데 스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들 운동은 과거로부터 축적된 조형양식과의 결별을 위해, 개인적인 취향을 넘어서기 위해, 또 대량 기계생산체제에 적합한 형태이기에, 기하학적 형태를 새로운 조형언어로 구사하였다.
Cf. 바우하우스 : 1919년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미술학교와 공예학교를 병합하여 설립하였다. '바우하우스(Bauhaus)'라는 이름은 독일어로 '집을 짓는다'는 뜻의 하우스바우(Hausbau)를 도치시킨 것이다. 주된 이념은 건축을 주축으로 삼고 예술과 기술을 종합하려는 것이었다.
7. 결 론
구성주의는 러시아의 혁명과 함께 새로운 사회적인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려는 수단으로서 생겨났다. 일반적인 예술의 개념을 뒤엎는 커다란 혁명이 었다. 구성주의는 조각,회화에서 뿐만 아니라 건축에서도 그 모습을 나타냈다. 구성주의는 곧 도래하게 되는 다른 사회적 이데올로기로 인해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 구성주의를 추구했던 아방가르드들의 업적을 크게 사고 있다. 그것은 그들의 도전적인 정신이 지금의 미적 형태에 이상향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점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미래에 대해 불신을 안겨준다. 그 당시에 무시당했던 사조가 이제 와서 커다란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해 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천년의 울림」이덕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1/6/15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3&dir_id=312&docid=86640
* http://blog.naver.com/sosesi/60001952537
* http://cafe.naver.com/multik.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20
추천자료
구성주의, 빈분리파, 표현주의, 데스틸, 순수파
미니멀리즘과 건축
현대대중음악 흐름에 대한 나의 생각
가보 (Naum Gabo)의 구성주의
한국근현대사의흐름정리
[메소포타미아][메소포타미아문명]메소포타미아의 자연환경, 기독교에서 본 메소포타미아 문...
구성주의에 관한 보고서
경제학의 흐름-고대에서 현대까지
구성주의&신조형주의&절대주의
NGO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흐름의 고찰
아방가르드 건축운동과 이념의 변화
현대 경영합리화 흐름에서의 노조운동의 변화방향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이론 중 1개 이론, 보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중 1명의 사상가의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