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cConnell의 발달의 원리
2. Hurlock의 발달의 원리
3. Frank의 발달의 원리
4. Sigmund Freud - 정신 분석 이론
5. Lawrence Kohlberg - 도덕 발달 이론
6. Erik Erikson - 사회 심리적 이론
7. Jean Piaget - 인지발달 이론
☆참고문헌☆
2. Hurlock의 발달의 원리
3. Frank의 발달의 원리
4. Sigmund Freud - 정신 분석 이론
5. Lawrence Kohlberg - 도덕 발달 이론
6. Erik Erikson - 사회 심리적 이론
7. Jean Piaget - 인지발달 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1∼4개월)
-손끝에 닿은 물체들을 움켜쥐려 하는 등 자기의 기능에 대한 신기함과 만족감을 느 끼기 시작한다. 이때 아기가 흥미를 일으키는 흥미가 자신의 신체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일차라는 말을 쓴다.
ex) 미소를 짓거나, 손가락을 빠는 행동.
③ 제3기(2차 순환반응: 4∼8개월)
-아기들의 신체에 집중되어있던 순환반응이 외부환경으로 방향이 전환되며 어느 정도 의도적인 목적 추구적 행동을 보여주게 된다.
ex) 소리를 듣기 위해 딸랑이를 흔드는 행동.
공을 밀었더니 굴러가는 것이 재미있어서 공을 미는 행동을 계속 반복.
④ 제4기(2차 도식의 협응: 8∼12개월)
-목적을 추구하고자 한 가지 이상의 사고가 결부되어 행동이 나타나는 시기로 단순히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대상에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대상 자체의 속성에 대해 학습하려는 것처럼 행동한다. 활발한 시행착오 행동이 나타나고 Piaget는 이러한 시도 를 인간의 선천적 호기심의 시작으로 보았다.
ex) 장난감을 잡으려고 하는 것을 계속해서 막게 되면 결국에는 두 가지 도식 즉, 장애 물을 치우는 것과 장난감을 잡는 것을 협응시키게 됨.
⑤ 제5기(3차 순환반응: 12∼18개월)
-이 시기에는 전에 한 번도 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행동유형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생 기되며 사물의 항재성을 깨닫게 된다. 즉, 눈에 보이던 사물이 눈앞에서 사라져도 그것이 없어져 버린 것이 아니라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며 흥미로운 것을 발견하려고 행동들을 반복해서 하게된다.
ex) 열쇠나 인형이 눈앞에서 사라졌더라도 어딘가에 숨겨져 있음을 알고 결국은 찾아내 려고 노력.
⑥ 제6기(감각운동성의 내면화, 즉 사고의 시작: 18∼24개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적·상징적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며 목적추구에 있어서 좀더 내면적으로 사고한 후 행동을 하게 되는 시기이다. 즉, 행동하기 전에 상황에 대해 사고를 함으로써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2) 전조작기(2세∼7세)
-초기에는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의 양상을 보이나 후기에 접어들면서 사회화의 영 향으로 언어와 태도 등이 변화한다.
① 제1기(직감기: 2세∼4세)
-감각적으로 직접 느껴지는 경험을 그대로 인식하고 행동한다.
㉠ 자기중심적이다. 즉,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이해할 수 없다.
㉡ 눈에 똑똑히 보이는 한가지의 사실에만 기초하여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 하나의 준거에 의해서만 물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 단추들 중에 서 동그랗게 생긴 것들만은 가려낼 수는 있지만, 동그랗고 빨간 단추는 가려낼 수 없는 것과 같다.
㉣ 사물을 단계별로 배열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접하지 않는 사물을 추리해서 배열 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연필을 길이가 긴 순서로 배열할 수는 있지만, A는 B보다 길고, B는 C보다 길다. 그러니까 A는 C보다 길다라고 추리할 수는 없다.
② 제2기(직관기: 5세∼7세)
-당분간의 언어의 내용들이 직감적이고 자기 중심성을 띠게 되지만 점차 복잡화와 문 법화로 이동하게 되며 목적물에 대한 의도적인 조작을 시작한다.
㉠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것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 논리적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 수의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 보존성의 원리를 어렴풋이 이해하기 시작한다. 보존성이란 물체가 모양에 따라 그 양이나 수가 변하지 않음을 말한다.
⑶ 구체적 조작기(7세∼12세)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이론적 사고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전조작기의 자기중심적인 특성이 사라지고 탈 중심적 사고를 하며 사회화, 객관화로 이 행하게 되어 특정사실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은 사물을 위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시기는 양, 무게, 부피의 보존 개념 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다.
⑷ 형식적 조작기(11세이후)
-합리적인 사고가 가능하며 추상적, 논리적 개념이 발달된다. 여기서 추상적 사고란 융 통성 있는 사고, 효율적인 사고, 복잡한 추리,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일, 직 면한 문제 사태에서 해결 가능한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일 등을 가리킨 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상) / 손영희외 / 현문사 / p.68∼p.77
인간 성장ㆍ발달과 건강/ 김계숙 저 / 新光出版社 / p.25∼p.31
인지발달 / 성현란 외 / 학지사
-손끝에 닿은 물체들을 움켜쥐려 하는 등 자기의 기능에 대한 신기함과 만족감을 느 끼기 시작한다. 이때 아기가 흥미를 일으키는 흥미가 자신의 신체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일차라는 말을 쓴다.
ex) 미소를 짓거나, 손가락을 빠는 행동.
③ 제3기(2차 순환반응: 4∼8개월)
-아기들의 신체에 집중되어있던 순환반응이 외부환경으로 방향이 전환되며 어느 정도 의도적인 목적 추구적 행동을 보여주게 된다.
ex) 소리를 듣기 위해 딸랑이를 흔드는 행동.
공을 밀었더니 굴러가는 것이 재미있어서 공을 미는 행동을 계속 반복.
④ 제4기(2차 도식의 협응: 8∼12개월)
-목적을 추구하고자 한 가지 이상의 사고가 결부되어 행동이 나타나는 시기로 단순히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대상에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대상 자체의 속성에 대해 학습하려는 것처럼 행동한다. 활발한 시행착오 행동이 나타나고 Piaget는 이러한 시도 를 인간의 선천적 호기심의 시작으로 보았다.
ex) 장난감을 잡으려고 하는 것을 계속해서 막게 되면 결국에는 두 가지 도식 즉, 장애 물을 치우는 것과 장난감을 잡는 것을 협응시키게 됨.
⑤ 제5기(3차 순환반응: 12∼18개월)
-이 시기에는 전에 한 번도 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행동유형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생 기되며 사물의 항재성을 깨닫게 된다. 즉, 눈에 보이던 사물이 눈앞에서 사라져도 그것이 없어져 버린 것이 아니라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며 흥미로운 것을 발견하려고 행동들을 반복해서 하게된다.
ex) 열쇠나 인형이 눈앞에서 사라졌더라도 어딘가에 숨겨져 있음을 알고 결국은 찾아내 려고 노력.
⑥ 제6기(감각운동성의 내면화, 즉 사고의 시작: 18∼24개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적·상징적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며 목적추구에 있어서 좀더 내면적으로 사고한 후 행동을 하게 되는 시기이다. 즉, 행동하기 전에 상황에 대해 사고를 함으로써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2) 전조작기(2세∼7세)
-초기에는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의 양상을 보이나 후기에 접어들면서 사회화의 영 향으로 언어와 태도 등이 변화한다.
① 제1기(직감기: 2세∼4세)
-감각적으로 직접 느껴지는 경험을 그대로 인식하고 행동한다.
㉠ 자기중심적이다. 즉,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이해할 수 없다.
㉡ 눈에 똑똑히 보이는 한가지의 사실에만 기초하여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 하나의 준거에 의해서만 물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 단추들 중에 서 동그랗게 생긴 것들만은 가려낼 수는 있지만, 동그랗고 빨간 단추는 가려낼 수 없는 것과 같다.
㉣ 사물을 단계별로 배열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접하지 않는 사물을 추리해서 배열 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연필을 길이가 긴 순서로 배열할 수는 있지만, A는 B보다 길고, B는 C보다 길다. 그러니까 A는 C보다 길다라고 추리할 수는 없다.
② 제2기(직관기: 5세∼7세)
-당분간의 언어의 내용들이 직감적이고 자기 중심성을 띠게 되지만 점차 복잡화와 문 법화로 이동하게 되며 목적물에 대한 의도적인 조작을 시작한다.
㉠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것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 논리적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 수의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 보존성의 원리를 어렴풋이 이해하기 시작한다. 보존성이란 물체가 모양에 따라 그 양이나 수가 변하지 않음을 말한다.
⑶ 구체적 조작기(7세∼12세)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이론적 사고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전조작기의 자기중심적인 특성이 사라지고 탈 중심적 사고를 하며 사회화, 객관화로 이 행하게 되어 특정사실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은 사물을 위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시기는 양, 무게, 부피의 보존 개념 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다.
⑷ 형식적 조작기(11세이후)
-합리적인 사고가 가능하며 추상적, 논리적 개념이 발달된다. 여기서 추상적 사고란 융 통성 있는 사고, 효율적인 사고, 복잡한 추리,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일, 직 면한 문제 사태에서 해결 가능한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일 등을 가리킨 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상) / 손영희외 / 현문사 / p.68∼p.77
인간 성장ㆍ발달과 건강/ 김계숙 저 / 新光出版社 / p.25∼p.31
인지발달 / 성현란 외 /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