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목적
2. 시험 장치
3. 관련 이론
4. 실험순서
5. 실험결과
6. 고찰
2. 시험 장치
3. 관련 이론
4. 실험순서
5. 실험결과
6. 고찰
본문내용
중=25000
압축강도
탄성계수
단면팽창률(%)
압축변화율(%)
황동
8272.16
356
49.19
29.06
알루미늄
7911.11
719.19
85.95
14.58
△ 황동
△ 알루미늄
6. 고찰
이번 시험은 시편에 압축하중을 가하여 재료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단면팽창률, 압축변화율 등의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는 시험이었다.
이번시험도 지난 인장시험 때처럼 측정된 결과그래프(하중-변위)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구하였다. 압축시험은 그 재료의 탄성한계, 항복점 등에 의한 압축응력-압축변형율선도를 그려보아도 알 수 있듯이 인장시험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그림 2.2에서 탄성계수는 응력과 변형율선도가 직선이 되는 곳에서 구할 수 있다. 압축강도는 원래 표점길이의 1/2지점에서의 값을 말하는데 측정결과 황동이 8272.16, 알루미늄은 7911.11로 황동의 압축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탄성계수에서는 황동의 탄성계수가(356)으로 알루미늄(719.19)보다 훨씬 작은 값이 나왔고 단면팽창률도 알루미늄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압축에 따른 변화율은 황동이 더 큰 값을 보였다.
이번 시험에서 탄성에 관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하중이 비교적 크므로 굽힙파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시편이 정확이 압축기 안되고 굽힘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시편이 정확히 수평이 아닌데다가, 기계가 정확이 수직으로 누를 수 없기 때문인것 같다. 따라서 좀더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굵고 짧은 시편을 사용해야 한다. 보통 금속재료와 콘크리트의 경우는 봉재시험편은, 목재와 석재에는 주로 각재 시험편이 사용된다.
압축강도
탄성계수
단면팽창률(%)
압축변화율(%)
황동
8272.16
356
49.19
29.06
알루미늄
7911.11
719.19
85.95
14.58
△ 황동
△ 알루미늄
6. 고찰
이번 시험은 시편에 압축하중을 가하여 재료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단면팽창률, 압축변화율 등의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는 시험이었다.
이번시험도 지난 인장시험 때처럼 측정된 결과그래프(하중-변위)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구하였다. 압축시험은 그 재료의 탄성한계, 항복점 등에 의한 압축응력-압축변형율선도를 그려보아도 알 수 있듯이 인장시험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그림 2.2에서 탄성계수는 응력과 변형율선도가 직선이 되는 곳에서 구할 수 있다. 압축강도는 원래 표점길이의 1/2지점에서의 값을 말하는데 측정결과 황동이 8272.16, 알루미늄은 7911.11로 황동의 압축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탄성계수에서는 황동의 탄성계수가(356)으로 알루미늄(719.19)보다 훨씬 작은 값이 나왔고 단면팽창률도 알루미늄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압축에 따른 변화율은 황동이 더 큰 값을 보였다.
이번 시험에서 탄성에 관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하중이 비교적 크므로 굽힙파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시편이 정확이 압축기 안되고 굽힘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시편이 정확히 수평이 아닌데다가, 기계가 정확이 수직으로 누를 수 없기 때문인것 같다. 따라서 좀더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굵고 짧은 시편을 사용해야 한다. 보통 금속재료와 콘크리트의 경우는 봉재시험편은, 목재와 석재에는 주로 각재 시험편이 사용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