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성이 필요한 자치 시대
2. CI에 대한 이해
3. CI의 3가지 측면
4. CI전략과 효과
5. 자치시대의 CI
6. 지자체 이미지의 불명확화
7. 우리나라 CI의 사례
2. CI에 대한 이해
3. CI의 3가지 측면
4. CI전략과 효과
5. 자치시대의 CI
6. 지자체 이미지의 불명확화
7. 우리나라 CI의 사례
본문내용
조성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유도하고 있다. 또한 부평구 부평동 일대는 차없는 거리, 주안동 일대는 금유의 거리로, 고가구점이 밀집되어 있는 중구 경동네거리를 중심으로는 고가구 및 골동품 거리를 조성하여 새로운 생권 형성을 꾀하고 있다.
인천광역시의 '개성의 거리 조성사업'은 또 하나의 문화 이미지의 창출로서 인천시민들뿐만 아니라 서울 수도권의 인근지역 주민들까지도 유입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사례3: 부천시
부천시는 '91년 도시개성형성사업을 이미 마치고 시의 이미지를 복사꽂으로 통합하여 이를 바탕으로 하는 마크케릭터와 색상 등을 체계화하였다. 또한 각종 서식이나 안내판과 청소차 등에 복사꽂축제를 홍보하는 등 부천시 이미지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부천시의 도시이미지사업 효과는 범죄없는 살기좋은 동네라는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치단체의 CI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새로운 로고와 심벌의 확정 등 새로운 이미지의 홍보이전에 자치단체의 BI의 성숙성이다. 이는 자치단체를 찾은 지역주민이 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자치단체 공무원들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되었을 대 비로서 자치단체의 CI가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사례4: 명쾌한 지역이미지의 성공적인 사례로 무주군의 '자연의 나라, 반딧불이의 나라'와 전남 함평의 '나비와 꽂의 세계'를 들었다. 무준군은 개똥벌레를 지역이미지로 설정하고 고나고아자원화 해 연간 300만명의 관고아객 유치에 성공했다. 반딧불이를 상표등록하는 한편 지역특산물 브랜드에도 적극 활용해 지역경쟁력을 높였다.
5) 사례5: 함평군은 나비를 지역이밍로 특화시키는데에 성공했다. 나비축제에 약 130여만명이 방문하는 한편 지역특산물에도 적극 활용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6) 사례6: 인구 600만명의 중이 카리브해의 작은 나라 아이티는 빈곤과 미신이라는 국가이미지를 '미신과 신비가 가득한 무당의 나라 아이티'로 대전환시켜 성공한 사례이다. 무당과 미신이 판치는 부정적 이미지를 '아이티, 무당의 나라'라는 슬로건으로 역전시켜 모험과 신비를 즐기려는 관광객을 끌어 들이고 있다.
** 지역이미지가 명쾌하지 못한 지역은 공통적으로
- 이미지 중복
- 막연하고 추상적인 단어 사용
- 어려운 용어 사용
- 신뢰성 부족
- 중얼거리는 듯한 표현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 이러한 표현은 "딱 떠오르는 " 메시지 전달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인천광역시의 '개성의 거리 조성사업'은 또 하나의 문화 이미지의 창출로서 인천시민들뿐만 아니라 서울 수도권의 인근지역 주민들까지도 유입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사례3: 부천시
부천시는 '91년 도시개성형성사업을 이미 마치고 시의 이미지를 복사꽂으로 통합하여 이를 바탕으로 하는 마크케릭터와 색상 등을 체계화하였다. 또한 각종 서식이나 안내판과 청소차 등에 복사꽂축제를 홍보하는 등 부천시 이미지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부천시의 도시이미지사업 효과는 범죄없는 살기좋은 동네라는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치단체의 CI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새로운 로고와 심벌의 확정 등 새로운 이미지의 홍보이전에 자치단체의 BI의 성숙성이다. 이는 자치단체를 찾은 지역주민이 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자치단체 공무원들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되었을 대 비로서 자치단체의 CI가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사례4: 명쾌한 지역이미지의 성공적인 사례로 무주군의 '자연의 나라, 반딧불이의 나라'와 전남 함평의 '나비와 꽂의 세계'를 들었다. 무준군은 개똥벌레를 지역이미지로 설정하고 고나고아자원화 해 연간 300만명의 관고아객 유치에 성공했다. 반딧불이를 상표등록하는 한편 지역특산물 브랜드에도 적극 활용해 지역경쟁력을 높였다.
5) 사례5: 함평군은 나비를 지역이밍로 특화시키는데에 성공했다. 나비축제에 약 130여만명이 방문하는 한편 지역특산물에도 적극 활용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6) 사례6: 인구 600만명의 중이 카리브해의 작은 나라 아이티는 빈곤과 미신이라는 국가이미지를 '미신과 신비가 가득한 무당의 나라 아이티'로 대전환시켜 성공한 사례이다. 무당과 미신이 판치는 부정적 이미지를 '아이티, 무당의 나라'라는 슬로건으로 역전시켜 모험과 신비를 즐기려는 관광객을 끌어 들이고 있다.
** 지역이미지가 명쾌하지 못한 지역은 공통적으로
- 이미지 중복
- 막연하고 추상적인 단어 사용
- 어려운 용어 사용
- 신뢰성 부족
- 중얼거리는 듯한 표현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 이러한 표현은 "딱 떠오르는 " 메시지 전달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