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말소리 신호의 본질
① 말소리 처리를 그렇게 어렵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② 말소리 재인에서 지각적 단위는 무엇인가?
③ 범주적 지각은 말소리 단원을 시사하는 것인가?
말소리 지각의 운동이론(Moter Theory)
▷운동 이론 개정
▷이중 지각 이론
말소리 지각의 모호 논리 모형(Fuzzy Logic of Speech Perception)
(2) 말소리 신호에서 단어 재인까지
① 왜 어떤 단어는 다른 것보다 더 쉽게 재인되는가?
② 단어 재인에서의 맥락 효과
(3) 소리 단어 재인의 모형
① 연대 모형(Cohort Model)
② TRACE 모형
3. 결 론 : 말소리는 어떻게 특수한가?
2. 본 론
(1) 말소리 신호의 본질
① 말소리 처리를 그렇게 어렵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② 말소리 재인에서 지각적 단위는 무엇인가?
③ 범주적 지각은 말소리 단원을 시사하는 것인가?
말소리 지각의 운동이론(Moter Theory)
▷운동 이론 개정
▷이중 지각 이론
말소리 지각의 모호 논리 모형(Fuzzy Logic of Speech Perception)
(2) 말소리 신호에서 단어 재인까지
① 왜 어떤 단어는 다른 것보다 더 쉽게 재인되는가?
② 단어 재인에서의 맥락 효과
(3) 소리 단어 재인의 모형
① 연대 모형(Cohort Model)
② TRACE 모형
3. 결 론 : 말소리는 어떻게 특수한가?
본문내용
모형으로, 3장에서 본 시각적 단어 인식의 상호 작용 모형과 비슷한 말소리 재인 모형이다. TRACE모형은 연결주의 체계에 근거하고 있으며 단어들 사이의 연결은 특징, 음소, 그리고 단어의 세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한 수준에서의 연결은 억제적이고 수준 사이의 연결은 촉진적이다. 특징들 한 무리가 활성화되면 음소 수준에서 음소 한 무리가 활성화되고, 이는 다시 몇 가지 가능한 단어들을 활성화시킨다. 한 단어가 많이 활성화될수록 가능한 다른 단어는 더욱 억제된다. 또 수준 사이의 연결이 양 방향적이어서 한 단어가 활성화되면, 그 특징과 음소 쪽으로 더 많은 활성화가 내려가, 그 단어의 상향 처리에 도움을 준다. TRACE 모형에서는 어휘 유사성 효과(lexical similarity effect)에 대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여러 특징들, 음소들, 그리고 단어 이웃들이 병행적으로 활성화, 정보가 들어올수록 관련 적은 후보는 삭제되기 때문이다.
TRACE 모형은 맥락 효과를 특징의 활성화에 대한 하향 효과로 설명하는 아주 상호작용적인 모형이다. 따라서 연대 모형과 달리 TRACE 모형은 단어 인식의 가장 초기 단계부터 맥락 효과를 받아들인다.
이 모형의 약점은 어떤 특징이 작용하는 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없이 처리의 특징 수준을 가정하고 있다. 또 단어 인식이 그렇게 상호작용적 인지 훨씬 더 큰 실제 어휘집에서도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도 분명하지가 않다.
3. 결 론 : 말소리는 어떻게 특수한가?
말소리 인식의 중심 문제는 "똑같은" 말소리 조작도 상황이 달라지면 실제로 달라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대개 주어진 말소리는 일정한 특징들의 단순 집합이 있다고 하는 중요한 가정에 근거해왔다. 하지만 여러 상황을 통해 물리적으로 불변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임이 밝혀졌다. 사실 인간의 말소리 지각에서 핵심은 우리가 말소리 신호에서 가변성을 버리거나 무시하기보다는 오히려 이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비록 우리가 말소리 단어의 재인 방식을 그려내는 일에는 일치하지 못하는 점이 많지만 단어 인식에 관한 모형들은 한 가지 중심 생각에는 수렴하고 있다. 말소리에서의 단어 인식을 어휘집의 한 단위가 다른 단위들 보다 더 활성화되는 과정이라고 보는 견해가 유용하다는 사실이다. 이 경합적인 활성화와 선택 과정은 단어의 빈도, 어휘집에 있는 비슷한 단어의 수, 그리고 어느 정도는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RACE 모형은 맥락 효과를 특징의 활성화에 대한 하향 효과로 설명하는 아주 상호작용적인 모형이다. 따라서 연대 모형과 달리 TRACE 모형은 단어 인식의 가장 초기 단계부터 맥락 효과를 받아들인다.
이 모형의 약점은 어떤 특징이 작용하는 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없이 처리의 특징 수준을 가정하고 있다. 또 단어 인식이 그렇게 상호작용적 인지 훨씬 더 큰 실제 어휘집에서도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도 분명하지가 않다.
3. 결 론 : 말소리는 어떻게 특수한가?
말소리 인식의 중심 문제는 "똑같은" 말소리 조작도 상황이 달라지면 실제로 달라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대개 주어진 말소리는 일정한 특징들의 단순 집합이 있다고 하는 중요한 가정에 근거해왔다. 하지만 여러 상황을 통해 물리적으로 불변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임이 밝혀졌다. 사실 인간의 말소리 지각에서 핵심은 우리가 말소리 신호에서 가변성을 버리거나 무시하기보다는 오히려 이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비록 우리가 말소리 단어의 재인 방식을 그려내는 일에는 일치하지 못하는 점이 많지만 단어 인식에 관한 모형들은 한 가지 중심 생각에는 수렴하고 있다. 말소리에서의 단어 인식을 어휘집의 한 단위가 다른 단위들 보다 더 활성화되는 과정이라고 보는 견해가 유용하다는 사실이다. 이 경합적인 활성화와 선택 과정은 단어의 빈도, 어휘집에 있는 비슷한 단어의 수, 그리고 어느 정도는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추천자료
언어학 혹은 기호학에서의 만화의 특성
[언어학] 동물의 언어
[방송언어학] 방송 언어의 특성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방송언어학] 교양 프로그램 진행자와 오락 프로그램 진행자의 차이점
(영어학의이해) 통사론 의미론 형태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중국언어학 기초의 중국어 학습방법
언어학 중심으로 감상한 <오아시스 (Oasis)>
[영어문법/요약정리] 원서`Contemporary Linguistic Analysis`의 Chapter 12. Psycholinguist...
[영어문법/요약정리] 원서`Contemporary Linguistic Analysis`의 Chapter 12. Psycholinguist...
[언어학개론] Q.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언어학]남북한 언어의이해
[대조언어학] 대조 분석, 오류 분석의 특징과 장단점을 정리하여 기술해 보세요 - 대조분석
대조언어학)외국인이 자주 범하는 한국어 시제상의 오류와 이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