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경제에 관한 연구 고찰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국가개관

3.경제발전전략

4.경제.통상분야

5.중국경제의 문제점

6.중국과한국의경제관계

8.결론

본문내용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드폰 단말기와 부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
- 1999년 무선 단말기 관련 수입 규모는 전년대비 8.7% 줄어든 18억 4,740만달러를 기록
- 한국은 수입 점유 비중이 5.3%에 불과하지만 대중국 수출이 전년대비 21배가 증가하여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
중국내 수입산 휴대폰 시장 점유율은 Nokia, Ericsson, Motorola, 삼성 순으로 우리 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
- 삼성 애니콜의 경우 구매 희망자는 있으나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廣州를 중심으로한 남방 지역에서는 판매 실적이 양호
- 한국 제품의 우수한 디자인, 고품질, 초박형 등이 중국 소비자의 관심을 끌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혀가고 있는 상황
한국과 주요 국가의 핸드폰 대중 수입 비중
구분
중국수입
스웨덴(1)
영국(2)
일본(3)
한국(7)
금액
1,847.4
610.5
285.9
174.8
97.5
비중
100.0
33.0
15.5
9.5
5.3
증가율
-8.7
-33.8
183.1
58.6
2,163.2
자료:중국해관통계,산업연구원재정리.http://mokwon.ac.kr/~kycha77/study/china/chinatrade1.html에서전제
□ 자동차
중국 자동차산업은 내수산업으로 국산화단계가 진행중이며 한국과 경쟁적 관계가 아닌 보완적 관계를 유지
- 트럭 생산은 50년대 후반부터 소련 제품을 모방하기 시작해 70년대 독자모델을 개발하였으나 승용차와 버스 등은 아직도 해외로부터 기술도입 및 소화단계에 처함.
- 중국 부품산업의 생산 및 기술 능력도 대단히 취약하여 연료전자제어시스템, 터보차저, 등속유니버셜 조인트, ABS, 증발기 등은 국내 생산이 공백이거나 방제단계 또는 개발단계에 처함.
중국 정부의 자동차에 대한 고관세율(80∼100%) 정책에 따라 완성차에 대한 실제 수입 규모는 적은 반면, 부품에 대한 수입 규모는 상당
- 1999년 중국 승용차 수입액은 4억 5,710만달러로 전년대비 7.7% 증가
- 최대 수입 국가는 日本으로 수입 점유율이 66.6%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수입 순위 7위로 수입 점유율이 1.3%에 불과
한국과 주요 국가의 자동차 대중 수입 비중
구분
중국수입
일본(1)
독일(2)
헝가리(3)
한국(7)
금액
457.1
304.5
55.8
42.4
6.1
비중
100.0
66.6
12.2
9.3
1.3
증가율
7.7
-11.1
102.9
2018배
-11.2
자료:중국해관통계,산업연구원재정리http://mokwon.ac.kr/~kycha77/study/china/chinatrade1.html에서전제
최근 중국 가계의 소득 증가로 자가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
- 베이징, 상하이, 꽝조우 등 12개 대도시의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자가용 보유 수량은 64만 6천대이며, 이중 수입 차량은 12만 9천대로 전체 자가용의 20%에 달함.
- 자가용 보유 최대 도시는 베이징으로 20만 6천대, 다음은 꽝조우 10만 3천대, 상하이 4만 9천대 순
- 향후 구매 의사를 밝힌 자가용 수요는 115만대, 이중 수입차 구매 희망자는 32만대로 조사 수입 자동차 가격이 소비자 기대치인 15만위안(18,000달러)에 접근할 경우 대폭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
- 외제 차량에 대한 선호도는 벤츠, BMW, 혼다, 도요타, 링컨, 미쓰비시, 크라운, 포드 순
□ 문구류
1999년 중국 문구류에 대한 수입 규모는 2,780만달러로 미미한 수준이나 고급 문구류를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면서 향후 성장성이 엿보이는 시장
한국과 주요 국가의 문구류 대중 수입 비중
구분
중국수입
대만(1)
일본(2)
미국(3)
한국(8)
금액
27.8
6.9
4.3
3.5
1.7
비중
100.0
24.8
15.5
12.6
6.1
증가율
11.4
-2.9
30.5
120.1
49.5
자료:중국해관통계,산업연구원재정리http://mokwon.ac.kr/~kycha77/study/china/chinatrade1.html에서전제
- 한국 제품의 수입 점유율은 6.1%로 미미하나 1999년 증가율이 49.5%를 기록
중국에서는 중간 가격대의 품질이 우수하고 실용성이 강한 중급 문구류의 선호도가 가장 높고 고가 제품은 디자인과 품질이 우수하지만 가격 때문에 시장 점유율이 아직까지는 높지 못한 상황이며 저가 문구류는 최근 시장에서 거의 도태중임.
- 대만, 한국, 싱가포르, 홍콩 등 제품은 중고급 위주로 품질 및 디자인이 우수하여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음.
- 日本산 문구는 선물용으로 선호되는 형광펜, 싸인펜 등의 펜류가 강세를 띠며 또한 전산 소모품 관련 문구, 파일류 등도 판매 호조
대만은 중국인의 정서와 가장 가까워 펜시류에서 강세
- 특히 “西瓜太郎(수박아저씨)” 캐릭터를 이용한 각종 문구 제품이 매월 20 ∼ 30개 새 종류의 모델이 출시되는 등 청소년층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모음.
한국산 문구들도 日本산에 못지 않은 품질 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
- 특히 크레용은 품질이 대만산과 유사하지만 포장이 산뜻하여 어린이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음
8. 결론
중국시장과의 발전적인 분업체계가 성립되면 중국시장은 산업화에 필요한 역동성과 시스템을 확보하게 되고 우리 산업은 가장 근본적 한계로 지적되어 온 시장의 협소함을 극복함으로써 결국 상생(相生)이라는 바람직한 모습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협력은 궁극적으로 아시아적 콘텐츠의 세계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며 이것이 이루어질 경우 우리 문화산업의 세계화도 이루어지는 것이다.
우리 문화산업의 장기 비전은 소용돌이처럼 다가오는 세계 문화산업 시장의 독점화와 치열한 경쟁을 이기고 세계적인 문화콘텐츠 생산국으로서 위상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한 위상의 확립은 우리 경제에 성장동인을 새롭게 제공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 이 비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중국 문화산업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며 그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지금의 중국 산업을 바라보아야 한다.
목차
1.서론
2.국가개관
3.경제발전전략
4.경제.통상분야
5.중국경제의문제점
6.중국과한국의경제관계
7.결론
  • 가격2,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6.02.19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2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