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주제
▶ 목표
▶ 대상학년
▶ 준비물
▶ 제시자료
▶ 과정
▶ 결론
▶ 자료
▶ 목표
▶ 대상학년
▶ 준비물
▶ 제시자료
▶ 과정
▶ 결론
▶ 자료
본문내용
전개를 위한 술어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학습의 성취도나 지식의 정도에 비례하여 습득된다.
의도적이며 인위적인 교육과 특수한 훈련 과정을 거쳐서 습득된다.
a. 아침, 아침때, 저녁녘
b. 壅拙하다, 속좁다, 좀스럽다, 좁다, 잘다
c. 疏忽하다, 等閑하다
a. 早期, 早朝, 晨旦, 晨朝
b. 옹종하다, 잗달다, 性마르다, 量窄하다, 孱妄하다, 淺狹하다, 狹隘하다
c. 한만하다, 泛然하다, 漫忽하다, 疎惰하다
한편 중요한 점은 오늘날에 쓰이는 심각한 외국어의 문제이다. 외국어의 심각한 범람은 우리가 흔히 쓰는 일차 어휘에까지 심각하게 침투해 들어오고 있다. 한자어로 이루어진 어휘가 식자층에 의해 영어 등으로 바뀌고, 심하게는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어휘마저 대체하고 있다. 여기서 고유어를 써야 할 정당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이 단원의 학습 활동(p.43)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
① 우리말에 있어서 한자어와 고유어와의 관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차지하면서 기능을 행하고 있다. 한자어는 종합적·전문적·분화적이며, 고유어는 분석적·대중적·미분화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각이 완전히 분리되는 성질은 아니다.
②고유어는 기본적인 통보 수단을, 한자어는 전문적인 통보 수단을 담당한다. 따라서 한자어는 학술적, 전문적, 교육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하기 위해, 우리말의 어휘를 풍부히 사용하기 위해, 한자어도 우리말의 연장으로 그 용법을 잘 익힐 필요가 있다.
③ 이를 위해 유의어나 반의어, 한자어와의 대응관계를 통해 어휘를 풍부히 하면 좋을 것이다.
④ 교육받은 사람은 자신의 생각을 보다 정확히 표현하는 차원의 언어를 구사한다.
⑤ 따라서 순 우리말 어휘의 학습도 이와 같은 차원에서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
고등학교 국어(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 연구소, 1997.
김광해, 국어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신주리, 생각하는 국어, 도솔, 1993.
金圭哲, 漢字語 單語形成에 관한 硏究 - 固有語와 比較하여, 서울대 국문과 석사학위논문, 1980.
盧明姬, 한자어 어휘 형태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국문과 석사학위논문, 1990.
金光海, 二次 語彙의 敎育에 대하여, 蘭臺 李應百 博士 停年紀念論文集, 사범대 국어교육과, 1988.
金光海, 現代國語의 類意現象에 대한 硏究, 國學資料院, 1989,
학습의 성취도나 지식의 정도에 비례하여 습득된다.
의도적이며 인위적인 교육과 특수한 훈련 과정을 거쳐서 습득된다.
a. 아침, 아침때, 저녁녘
b. 壅拙하다, 속좁다, 좀스럽다, 좁다, 잘다
c. 疏忽하다, 等閑하다
a. 早期, 早朝, 晨旦, 晨朝
b. 옹종하다, 잗달다, 性마르다, 量窄하다, 孱妄하다, 淺狹하다, 狹隘하다
c. 한만하다, 泛然하다, 漫忽하다, 疎惰하다
한편 중요한 점은 오늘날에 쓰이는 심각한 외국어의 문제이다. 외국어의 심각한 범람은 우리가 흔히 쓰는 일차 어휘에까지 심각하게 침투해 들어오고 있다. 한자어로 이루어진 어휘가 식자층에 의해 영어 등으로 바뀌고, 심하게는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어휘마저 대체하고 있다. 여기서 고유어를 써야 할 정당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이 단원의 학습 활동(p.43)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
① 우리말에 있어서 한자어와 고유어와의 관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차지하면서 기능을 행하고 있다. 한자어는 종합적·전문적·분화적이며, 고유어는 분석적·대중적·미분화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각이 완전히 분리되는 성질은 아니다.
②고유어는 기본적인 통보 수단을, 한자어는 전문적인 통보 수단을 담당한다. 따라서 한자어는 학술적, 전문적, 교육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하기 위해, 우리말의 어휘를 풍부히 사용하기 위해, 한자어도 우리말의 연장으로 그 용법을 잘 익힐 필요가 있다.
③ 이를 위해 유의어나 반의어, 한자어와의 대응관계를 통해 어휘를 풍부히 하면 좋을 것이다.
④ 교육받은 사람은 자신의 생각을 보다 정확히 표현하는 차원의 언어를 구사한다.
⑤ 따라서 순 우리말 어휘의 학습도 이와 같은 차원에서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
고등학교 국어(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 연구소, 1997.
김광해, 국어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신주리, 생각하는 국어, 도솔, 1993.
金圭哲, 漢字語 單語形成에 관한 硏究 - 固有語와 比較하여, 서울대 국문과 석사학위논문, 1980.
盧明姬, 한자어 어휘 형태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국문과 석사학위논문, 1990.
金光海, 二次 語彙의 敎育에 대하여, 蘭臺 李應百 博士 停年紀念論文集, 사범대 국어교육과, 1988.
金光海, 現代國語의 類意現象에 대한 硏究, 國學資料院, 1989,
추천자료
제7차교육과정(고등학교 한문수업지도안)
ADDIE 모형에 의한 전자기초실습 수업지도안
교수매체와 그를 활용한 수업지도안(CAI)
수학화 학습이론을 통한 7나 수학수업지도안-평행선
반고흐 VS 폴고갱 (수업지도안)
중2과학) 자극과반응 수업지도안
중학교 국사 - 가야 수업지도안
중학교 국사 - 신라 수업지도안과 파워포인트
초등 3-1) <국어 읽기 수업지도안(5,6/6)> - 1.감동의 물결 : 이야기의 세계와 우리가 사는 ...
중학교 2학년) <학습,수업지도안> Ⅱ. 서양 근대 사회의 발전과 변화 2. 시민 혁명과 시민 사...
고등학교 2학년) <학습,수업지도안> Ⅱ.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1. 선사 시대의 전개
고등학교 1학년) 학습,수업지도안 : 민족문화의 발달 - 문화의 새 기운
[말하기 듣기 수업지도안] (협동학습) 주제 : 말의 재미를 느끼며 말놀이를 할 수 있다
[중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2. 읽기와 쓰기 (1) 마음으로 쓰는 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