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A사업 연구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PDA란?

2. PDA의 발달사
1) Psion Organizer
2) HP의 95LX
3) HP의 200LX
4) Newton MessagePad (OMP)
5) Pilot

3. PDA 특징

4. PDA 멀티미디어화

5. PDA 시장동향

6. 국내 PDA

결론(나의 생각)

본문내용

보통신기기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6. 국내 PDA
국내 PDA시장은 LG와 삼성에서 몇 년 전부터 시장에 참여하였으나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삼성은 현재 팜에 사용되는 DragonBall(MC68328) CPU를 모토롤라와 공동 개발하였으나, 이를 이용한 PDA의 상용화 실패 후 현재는 WinCE 기반의 PDA쪽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LG는 몇 년 전 국내최초의 상용화 PDA인 멀티-X가 실패하고 난 이후 MS의 WinCE 진영에 합류해 국내 최초의 한글 WinCE를 채택한 모빌리안(미국명: 페놈)을 미국시장에서 발표하여 호평 받았다.
1997년 12월 저가형 PDA 생산을 목표로 설립된 제이텔(Jtel)에서는 셀빅(CellVic)이라는 제품을 1998년 11월 발표하였다. 셀빅은 자체적으로 OS를 개발, 탑재한 제품으로 국내 PDA시장에서 상당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결론(나의 생각)
이미 PDA는 PDA의 고유기능인 개인정보관리 부분에서는 많은 발전을 해 온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기존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작업들과 멀티미디어 기능까지 지원하기 시작함에 따라 PDA는 단순히 개인의 일정과 연락처를 관리하던 순수기능만으로 만족하는 수준에 머무를 수 없게 된 것이다. 앞으로의 PDA발전 방향을 생각해볼 때 가장 큰 맥락으로 보다 더 큰 시장이 될 여지가 있는 것은 PDA고유능력에 통신기능의 접합이라고 생각된다. 이미 컴퓨터 환경의 논의에서 인터넷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PDA에서도 인터넷에 대한 지원은 컴퓨터와 같이 중요할 것이다. 앞으로는 무선통화모듈을 내장한 PDA가 선보임으로써 PDA기기에서 음성통화는 물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E-Mail의 활용, Fax의 송, 수신, 등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몇몇 업체에서는 이러한 기능의 PDA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올 하반기에는 출시예정으로 있다. 더 나아가서는 IMT-2000을 비롯한 차세대 데이터통신을 지원해서 동영상의 송수신까지 지원하는 PDA기기가 출현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대형 컴퓨터에서 데스크탑, 노트북으로 계속 경량화, 소형화 되고 있는 추세가 PDA로 이어지리라는 전망은, 빠르게 발전하는 무선통신기술의 지원 외에도 PDA의 컬러 디스플레이의 지원, 대용량 메모리 및 장시간 배터리 등의 채용, 다양한 플랫폼의 지원 등으로 인해 점차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곧 현재 우리가 누리고 있는 PDA환경보다 훨씬 다채롭고 다양한 PDA의 생활이 보편화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자료:
post-pc는 향후 PDA가 주도할 전망(2003.2.7, 산업자원부)
PDA산업과 전망(2001.1.08,한국수출입은행)
PDA산업 경쟁력 강화방안(2001.3.27, 정보통신부)
디지털 타임스
www.kpda.co.kr
www.todaysppc.com
daum.cafe.net/ipaqmania
daum.cafe.net/pdalove
http://www.call114.com/price/pda/pda.asp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2.2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