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사례연구
1)medication
2)진단
3)계획
4)수행
5)평가
3. 결론
2. 사례연구
1)medication
2)진단
3)계획
4)수행
5)평가
3. 결론
본문내용
알부민을 투여하였다.
4) 평가
- 복수천자 후 체중변화 : 10/12 복수천자 후 57.3에서 55.5로 1.8kg 감소
10/29 복수천자 후 52.5에서 49.9로 2.6kg 감소
- 복수가 많이 차서 환자가 dyspnea를 호소할 때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대상자는 반좌위를 취하고 “조금 나아졌다.”라고 안정됨을 표현 하였다.
- 의사로부터 이뇨제 처방받아 Lasix 투여하였고 이뇨제 투여 후 I/O는 일시적으로 균형을 되찾았지만 질병 악화로 인해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10/10일부터 I/O불균형 시작)
- 대상자는 수분섭취를 제한 하는 것에 입이 마름 등을 호소하였지만 잘 적응 하였 고 10월 10일부터 저염식이를 먹기 시작하였다.
간호 진단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 간호목표
-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 환자는 감염위험요인과 특성 예방법을 안다.
- 천자부위가 깨끗하고 oozing sign이 없다.
2) 간호계획
- 외과적 절개/상처부위를 시진한다.
- 백혈구 수에 대해 모니터 한다.
- V/S 이상 징후를 확인한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확실히 한다.
- 적절한 상처 간호를 수행한다.
- 충분한 영양섭취 제공한다.
-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 휴식을 권장한다.
- 환자와 가족에게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환자와 가족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 건강 관리자에게 보고할 적절한 시기에 대 해 교육한다.
3) 수행
- 복수 천자 후 천자부의를 시진하였다.
- V/S을 check하였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확실히 하였다.
- 충분한 영양섭취를 할 것을 교육하였다.
-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였다.
- 휴식을 권장하였다.
- 환자와 가족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 건강 관리자에게 보고할 적절한 시기에 대 해 교육하였다.(호흡수가 빨라진다거나 열이 오르고 얼굴이 상기될 경우, 상처부위 에서 분비물이 나올 경우 call 하도록 하였다.)
4) 평가
대상자는 복수 천자 후 CBC에서 WBC의 증가가 보이지 않았다. 천자부위 oozing sign은 발견되지 않았고 V/S도 정상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감염의 징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감염을 막기 위한 청결한 간호가 요구되어진다.
간호 진단 # 4. 부종과 소양감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의미있는 자료>
Subject deta
Object deta
“자꾸 붓네요.”
“몸이 근질근질 해요.”
1) 등 하부에 부종으로 인한 redness와 열감이 있다.
2) 피부색이 노랗다.
1) 간호목표
- 소양감과 부종이 사라진다.
2) 간호계획
- 옷이나 침구를 청결하고 구김 없게 해준다.
- 비누사용을 제한 한다.
- back care를 해준다.
-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3) 수행
- 대상자의 환의와 침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고 목욕 시 미온수로 하고 비누사 용을 하지 않으며 건조하게 유지 할 것을 지도하였다. 소양감으로 피부를 긁어 상 처가 나지 않도록 하도록 지도하였다.
- 부종으로 인해 등 하부에 redness와 열감이 나타나 그 부위를 사정하고 back care를 해주었으며 복수로 인해 활동이 불편하더라도 체위변경을 자주 해서 욕창 이 예방 되도록 지도 하였다.
4) 평가
- 대상자의 등 하부 부종으로 인한 redness부위가 더 이상 확대되지 않았다.
- 대상자는 목욕시 미온수로 하였고 비누를 사용하지 않았다.
간호 진단 # 5. 신체,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의미있는 자료>
Subject deta
Object deta
“주사 맞아봤자 효과도 없고. 그만 빼요!”
“복수가 계속 차네.. 점점 심해져..”
1) 불안한 표정을 짓는다.
2) 안절 부절 한다.
3) 신경질 적인 행동을 보인다.
1) 간호목표
- 자신이 느끼는 불안을 표현한다.
- 불안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2) 간호계획
- 환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 신체적 요구를 충족시켜 환자를 안심시킨다.
- 환자와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업무 계획을 세운다.
- 환자 간호 결정에 환자를 참여시킨다.
- 스트레스 완화법을 알려준다.
3)수행
- 대상자와의 대화로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고 라포를 형성하였다.
- 세심한 NURCING ACTION으로 대상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대상자가 원하는 방 식을 참고하여 간호를 진행하였다.
- 안절부절하는 대상자에게 침상 안정을 권하였다.
4)평가
- 대상자는 질병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에 매우 신경질 적인 행동 양상을 보 이고 불안한 표정으로 일관했다. 특히 의료나 간호행위에 대한 불신감이 컸지만 대상자의 요구를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간호 수행을 하였다.
Ⅳ. 결론
본 사례 연구는 2004년 11월 **병원에서 HCC진단 이후 암센터에서 follow up받다가 1달 전부터 주호소로 poor oral intake와 G. Weakness있어 MI OPD 경유 하여 Liver cirrosis 와 HCC진단받고 2005년 10월 6일 00병원 MI에 walking으로 admission한 59세 male pt를 대상으로 진행 되었다. 내려진 간호진단으로는 아래와 같다.
# 1. 변화된 흡수 및 대사와 관련된 영양 결핍
# 2. 간성복수와 관련된 체액 과량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 4. 부종과 소양감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 5. 신체,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대상자는 영양 섭취가 잘 안되어 피하지방층은 줄어들지만 복수가 계속적으로 차오름으로 체중 증가 양상이 있었다. LC로 인한 증세가 악화되어감에 따라 복수, 황달이 심해지고 그로인해 호흡에 영향을 주고 피부 통합성에도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 그에 따른 심리적인 불안도 심해져 대상자의 정서적인 지지도 필요한 상태이다. 증상 완화를 위한 처지중 하나인 복수천자로 인해 감염 위험성도 배재 할 수 없는 큰 문제이다.
REFERENCE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2004
내과학, 대한내과학회 편, 도서출판 MIP, 2003
기본 간호학, 손영희 외, 현문사, 2003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대학병원, 서울대출판부, 2000
4) 평가
- 복수천자 후 체중변화 : 10/12 복수천자 후 57.3에서 55.5로 1.8kg 감소
10/29 복수천자 후 52.5에서 49.9로 2.6kg 감소
- 복수가 많이 차서 환자가 dyspnea를 호소할 때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대상자는 반좌위를 취하고 “조금 나아졌다.”라고 안정됨을 표현 하였다.
- 의사로부터 이뇨제 처방받아 Lasix 투여하였고 이뇨제 투여 후 I/O는 일시적으로 균형을 되찾았지만 질병 악화로 인해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10/10일부터 I/O불균형 시작)
- 대상자는 수분섭취를 제한 하는 것에 입이 마름 등을 호소하였지만 잘 적응 하였 고 10월 10일부터 저염식이를 먹기 시작하였다.
간호 진단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 간호목표
-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 환자는 감염위험요인과 특성 예방법을 안다.
- 천자부위가 깨끗하고 oozing sign이 없다.
2) 간호계획
- 외과적 절개/상처부위를 시진한다.
- 백혈구 수에 대해 모니터 한다.
- V/S 이상 징후를 확인한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확실히 한다.
- 적절한 상처 간호를 수행한다.
- 충분한 영양섭취 제공한다.
-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 휴식을 권장한다.
- 환자와 가족에게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환자와 가족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 건강 관리자에게 보고할 적절한 시기에 대 해 교육한다.
3) 수행
- 복수 천자 후 천자부의를 시진하였다.
- V/S을 check하였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확실히 하였다.
- 충분한 영양섭취를 할 것을 교육하였다.
-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였다.
- 휴식을 권장하였다.
- 환자와 가족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 건강 관리자에게 보고할 적절한 시기에 대 해 교육하였다.(호흡수가 빨라진다거나 열이 오르고 얼굴이 상기될 경우, 상처부위 에서 분비물이 나올 경우 call 하도록 하였다.)
4) 평가
대상자는 복수 천자 후 CBC에서 WBC의 증가가 보이지 않았다. 천자부위 oozing sign은 발견되지 않았고 V/S도 정상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감염의 징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감염을 막기 위한 청결한 간호가 요구되어진다.
간호 진단 # 4. 부종과 소양감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의미있는 자료>
Subject deta
Object deta
“자꾸 붓네요.”
“몸이 근질근질 해요.”
1) 등 하부에 부종으로 인한 redness와 열감이 있다.
2) 피부색이 노랗다.
1) 간호목표
- 소양감과 부종이 사라진다.
2) 간호계획
- 옷이나 침구를 청결하고 구김 없게 해준다.
- 비누사용을 제한 한다.
- back care를 해준다.
-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3) 수행
- 대상자의 환의와 침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고 목욕 시 미온수로 하고 비누사 용을 하지 않으며 건조하게 유지 할 것을 지도하였다. 소양감으로 피부를 긁어 상 처가 나지 않도록 하도록 지도하였다.
- 부종으로 인해 등 하부에 redness와 열감이 나타나 그 부위를 사정하고 back care를 해주었으며 복수로 인해 활동이 불편하더라도 체위변경을 자주 해서 욕창 이 예방 되도록 지도 하였다.
4) 평가
- 대상자의 등 하부 부종으로 인한 redness부위가 더 이상 확대되지 않았다.
- 대상자는 목욕시 미온수로 하였고 비누를 사용하지 않았다.
간호 진단 # 5. 신체,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의미있는 자료>
Subject deta
Object deta
“주사 맞아봤자 효과도 없고. 그만 빼요!”
“복수가 계속 차네.. 점점 심해져..”
1) 불안한 표정을 짓는다.
2) 안절 부절 한다.
3) 신경질 적인 행동을 보인다.
1) 간호목표
- 자신이 느끼는 불안을 표현한다.
- 불안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2) 간호계획
- 환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 신체적 요구를 충족시켜 환자를 안심시킨다.
- 환자와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업무 계획을 세운다.
- 환자 간호 결정에 환자를 참여시킨다.
- 스트레스 완화법을 알려준다.
3)수행
- 대상자와의 대화로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고 라포를 형성하였다.
- 세심한 NURCING ACTION으로 대상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대상자가 원하는 방 식을 참고하여 간호를 진행하였다.
- 안절부절하는 대상자에게 침상 안정을 권하였다.
4)평가
- 대상자는 질병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에 매우 신경질 적인 행동 양상을 보 이고 불안한 표정으로 일관했다. 특히 의료나 간호행위에 대한 불신감이 컸지만 대상자의 요구를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간호 수행을 하였다.
Ⅳ. 결론
본 사례 연구는 2004년 11월 **병원에서 HCC진단 이후 암센터에서 follow up받다가 1달 전부터 주호소로 poor oral intake와 G. Weakness있어 MI OPD 경유 하여 Liver cirrosis 와 HCC진단받고 2005년 10월 6일 00병원 MI에 walking으로 admission한 59세 male pt를 대상으로 진행 되었다. 내려진 간호진단으로는 아래와 같다.
# 1. 변화된 흡수 및 대사와 관련된 영양 결핍
# 2. 간성복수와 관련된 체액 과량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 4. 부종과 소양감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 5. 신체,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대상자는 영양 섭취가 잘 안되어 피하지방층은 줄어들지만 복수가 계속적으로 차오름으로 체중 증가 양상이 있었다. LC로 인한 증세가 악화되어감에 따라 복수, 황달이 심해지고 그로인해 호흡에 영향을 주고 피부 통합성에도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 그에 따른 심리적인 불안도 심해져 대상자의 정서적인 지지도 필요한 상태이다. 증상 완화를 위한 처지중 하나인 복수천자로 인해 감염 위험성도 배재 할 수 없는 큰 문제이다.
REFERENCE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2004
내과학, 대한내과학회 편, 도서출판 MIP, 2003
기본 간호학, 손영희 외, 현문사, 2003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대학병원, 서울대출판부,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