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endometriosis 문헌고찰
<Assessment>
Ⅰ. 일반적 정보
Ⅱ. 산과력 / 월경력
Ⅲ. 간 호 력
Ⅳ. 임상관찰 기록
A. V/S : B.P・B.T・P.R・R.R. & I/O Check
B. 수술명 : LAVH(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C. 수술 후 간호
Ⅴ. 검사결과
A. 임상검사결과
B. 주요진단검사
Ⅵ. 치료적 처치
A. Medication & Injection
B. med. & inj. Information
Ⅶ. 간호
<Assessment>
Ⅰ. 일반적 정보
Ⅱ. 산과력 / 월경력
Ⅲ. 간 호 력
Ⅳ. 임상관찰 기록
A. V/S : B.P・B.T・P.R・R.R. & I/O Check
B. 수술명 : LAVH(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C. 수술 후 간호
Ⅴ. 검사결과
A. 임상검사결과
B. 주요진단검사
Ⅵ. 치료적 처치
A. Medication & Injection
B. med. & inj. Information
Ⅶ. 간호
본문내용
발생된다는 가설이 유력합니다. 자궁내막증의 위험인자로는 조기초경, 월경주기가 27일 이하인 경우, 월경기간이 7일 이상인 여성, 과다 월경증, 점차 증가되는 월경통 등이 있으며, 월경 중의 부부관계, 월경 중에 탐폰을 사용하는 경우, 자궁경관의 폐쇄 등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족력도 있어요,,^-^)
수술요법인 LAVH(복강경을 이용한 질 자궁 절제술)에 대해 설명한다.
( 복강경 수술은 복벽을 절개하지 않고 배꼽부위에 1cm, 하복부에 5mm의 작은 구멍을 내고 이런 구멍을 통해 기구를 넣어 수술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에 통증이 없고 회복이 빠르며 복벽에 수술상처를 남기지 않는 장점을 갖는 수술 방법입니다. 자궁내막증 병소의 완전한 제거를 위해서는 난소 낭종 절제술, 난소절제술, 난관절제술 등을 시행하며 아이를 다 낳아서 가임력의 보존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전자궁적출술, 근치절제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사정
(Assessment)
진단
(Diagnosis)
계획
(Planning)
중재
(Intervation)
평가
(Evaluation)
주관적자료
(Subjective Date)
객관적자료
(Objective Date)
수술 후의 합병증에 대해 설명한다.
( 원발성 혹은 속발성 불임증, 수태 능력의 저하, 난소 내의 침윤성 자궁내막증 병변 혹은 난소낭종의 파열로 인한 복강내 출혈, 장폐쇄 혹은 요관폐쇄, 좌골신경의 신경장애 및 습관성 유산 등이 있습니다.)
퇴원 후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 퇴원 후 최소한 6주 동안에는 무거운 것을 들지 않도록 하고 부부관계도 피해야 하며, 갑작스러운 통증이 올 수 있으므로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는 운전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정
(Assessment)
진단
(Diagnosis)
계획
(Planning)
중재
(Intervation)
평가
(Evaluation)
주관적자료
(Subjective Date)
객관적자료
(Objective Date)
“입맛이 없어서... 많이 못 먹겠어요..”
“잘 먹어야 빨리 낳을텐데... 생각처럼 안되네요...”
“배가 신경이 쓰여서... 밥이 잘 안 넘어가요...”
“운동하고 나면 여기저기 땡겨서 식욕도 안 생기고 더 먹기 힘들어요...”
“몸이 불편하니까... 앉아서 먹는 것도 불편하고 귀찮아요,, 누워있고 싶고,, 그래도 많이 먹으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아직도 골반이 약간 땡기는 것 같아요... 그래서 앉아있으면 불편해요."
피로하고 기운이 없는 모습을 보임
피부에 탄력성이 없고 부종이 있음. (특히 손과 발)
식사 섭취량이 적음. (밥과 반찬을 1/2정도 남기심)
식사를 맛있게 드시지 못하고 음식을 많이 가림.
구토는 없으시나 속이 울렁거림을 호소함.
식사시 엉덩이 부분에 저림을 호소하시며 통증 때문에 식욕이 돌지 않으신다고 호소함.
Total protein : 5.8 ↓
(정상범위-6.7-8.3 g/㎗)
Albumin : 3.4 ↓
(정상범위-3.8-5.3 g/㎗)
RBC : 3.92 ↓
(정상범위-4.20-5.40 10^6/㎍)
HGB : 9.9 ↓
(정상범위 : 12.0-16.0 g/㎗)
HCT : 35.0 ↓
(정상범위 : 37-47 %)
통증으로 인한 식욕의 저하와 관련된 영양부족
♡ 영양부족 - 대사 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는 상태
3일 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남기지 않는다.
식전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해서 식욕을 증진시킨다.
혈청 Protein, Albumin 수치를 확인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한다.
(5pm 3/28일 65㎏ 03/30일 64.3㎏)
총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식사 후 남긴 양을 확인한다.)
ⓐ 03/29 - 공기 1/2 남김
ⓑ 03/30 - 공기 1/3 남김
ⓒ 03/31 - 공기 1/3 남김
ⓓ 04/01 - 공기 1/5 남김
고단백, 저염식이를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권한다.
ⓐ 고단백식이 : 두부, 쇠고기, 돼지고기의 등심, 닭의 가슴살, 생선회 등
ⓑ 저염식이 : 가공시품인 소세지, 베이컨, 햄, 치즈, 통조림과 절인식품, 감자튀김, 젓갈종류 등은 가급적 피하시고 김치도 싱겁게 하여 먹도록 권함.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드시도록 한다.
식사시간을 방해하지 않는다. (V/S은 식사가 시작되기 전이나 끝난 후 한다.)
[부분달성]
3일 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1/5가량 남기심
사정
(Assessment)
진단
(Diagnosis)
계획
(Planning)
중재
(Intervation)
평가
(Evaluation)
주관적자료
(Subjective Date)
객관적자료
(Objective Date)
총 섭취량 / 배설량
ⓐ 아침식사 : 공기 1/2 남김
ⓑ 점심식사 : 공기 1/2 남김
ⓒ 평균 소변 1000~1300㎖ / 대변 1회
Bwt. 변화
: 03/26일 입원 2틀전 68㎏ 03/28일 입원시 65㎏
통증시 혈압/호흡수/맥박 상승
: BP-100/60 130/80㎜/Hg, PR-18 24회/분, RR-52 68회
Mesulid(해열진통소염제) 투여
통증 척도상 10점 만점 중 6점이라고 대답하심.
(0점-통증없음/10점-죽을 정도의 통증)
무리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루 한 두차례 맨손체조나 걷기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실내에 불쾌한 남새가 나는 자극원은 제거한다.
커피나 카페인 인공 감미료의 사용이나 섭취는 되도록 제한하시라고 한다.
하루에 자신이 먹은 음식을 일기처럼 써서 자신이 하루에 먹은 음식을 체크 할 수 있도록 한다.
급성기 동안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주며 근육의 경련을 차단하고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근육이완제를 준다.
투약후 운동을 권한다.
(Mesulid(해열진통소염제)- 투약으로 인해 통증이 감소되므로 이때 운동을 권함..!)
통증시 마음을 편히 가지셔서 스트레스를 받지 마시고 뭐든지 잘 드시고 휴식을 잘 취하시라고 권한다.
매일 수시로 통증척도를 사정한다.
(통증척도 - 03/29일 6점, 03/30일 6점, 03/31일 4점, 04/01일 3점)
필요시 정맥으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한다.
수술요법인 LAVH(복강경을 이용한 질 자궁 절제술)에 대해 설명한다.
( 복강경 수술은 복벽을 절개하지 않고 배꼽부위에 1cm, 하복부에 5mm의 작은 구멍을 내고 이런 구멍을 통해 기구를 넣어 수술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에 통증이 없고 회복이 빠르며 복벽에 수술상처를 남기지 않는 장점을 갖는 수술 방법입니다. 자궁내막증 병소의 완전한 제거를 위해서는 난소 낭종 절제술, 난소절제술, 난관절제술 등을 시행하며 아이를 다 낳아서 가임력의 보존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전자궁적출술, 근치절제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사정
(Assessment)
진단
(Diagnosis)
계획
(Planning)
중재
(Intervation)
평가
(Evaluation)
주관적자료
(Subjective Date)
객관적자료
(Objective Date)
수술 후의 합병증에 대해 설명한다.
( 원발성 혹은 속발성 불임증, 수태 능력의 저하, 난소 내의 침윤성 자궁내막증 병변 혹은 난소낭종의 파열로 인한 복강내 출혈, 장폐쇄 혹은 요관폐쇄, 좌골신경의 신경장애 및 습관성 유산 등이 있습니다.)
퇴원 후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 퇴원 후 최소한 6주 동안에는 무거운 것을 들지 않도록 하고 부부관계도 피해야 하며, 갑작스러운 통증이 올 수 있으므로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는 운전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정
(Assessment)
진단
(Diagnosis)
계획
(Planning)
중재
(Intervation)
평가
(Evaluation)
주관적자료
(Subjective Date)
객관적자료
(Objective Date)
“입맛이 없어서... 많이 못 먹겠어요..”
“잘 먹어야 빨리 낳을텐데... 생각처럼 안되네요...”
“배가 신경이 쓰여서... 밥이 잘 안 넘어가요...”
“운동하고 나면 여기저기 땡겨서 식욕도 안 생기고 더 먹기 힘들어요...”
“몸이 불편하니까... 앉아서 먹는 것도 불편하고 귀찮아요,, 누워있고 싶고,, 그래도 많이 먹으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아직도 골반이 약간 땡기는 것 같아요... 그래서 앉아있으면 불편해요."
피로하고 기운이 없는 모습을 보임
피부에 탄력성이 없고 부종이 있음. (특히 손과 발)
식사 섭취량이 적음. (밥과 반찬을 1/2정도 남기심)
식사를 맛있게 드시지 못하고 음식을 많이 가림.
구토는 없으시나 속이 울렁거림을 호소함.
식사시 엉덩이 부분에 저림을 호소하시며 통증 때문에 식욕이 돌지 않으신다고 호소함.
Total protein : 5.8 ↓
(정상범위-6.7-8.3 g/㎗)
Albumin : 3.4 ↓
(정상범위-3.8-5.3 g/㎗)
RBC : 3.92 ↓
(정상범위-4.20-5.40 10^6/㎍)
HGB : 9.9 ↓
(정상범위 : 12.0-16.0 g/㎗)
HCT : 35.0 ↓
(정상범위 : 37-47 %)
통증으로 인한 식욕의 저하와 관련된 영양부족
♡ 영양부족 - 대사 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는 상태
3일 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남기지 않는다.
식전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해서 식욕을 증진시킨다.
혈청 Protein, Albumin 수치를 확인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한다.
(5pm 3/28일 65㎏ 03/30일 64.3㎏)
총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식사 후 남긴 양을 확인한다.)
ⓐ 03/29 - 공기 1/2 남김
ⓑ 03/30 - 공기 1/3 남김
ⓒ 03/31 - 공기 1/3 남김
ⓓ 04/01 - 공기 1/5 남김
고단백, 저염식이를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권한다.
ⓐ 고단백식이 : 두부, 쇠고기, 돼지고기의 등심, 닭의 가슴살, 생선회 등
ⓑ 저염식이 : 가공시품인 소세지, 베이컨, 햄, 치즈, 통조림과 절인식품, 감자튀김, 젓갈종류 등은 가급적 피하시고 김치도 싱겁게 하여 먹도록 권함.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드시도록 한다.
식사시간을 방해하지 않는다. (V/S은 식사가 시작되기 전이나 끝난 후 한다.)
[부분달성]
3일 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1/5가량 남기심
사정
(Assessment)
진단
(Diagnosis)
계획
(Planning)
중재
(Intervation)
평가
(Evaluation)
주관적자료
(Subjective Date)
객관적자료
(Objective Date)
총 섭취량 / 배설량
ⓐ 아침식사 : 공기 1/2 남김
ⓑ 점심식사 : 공기 1/2 남김
ⓒ 평균 소변 1000~1300㎖ / 대변 1회
Bwt. 변화
: 03/26일 입원 2틀전 68㎏ 03/28일 입원시 65㎏
통증시 혈압/호흡수/맥박 상승
: BP-100/60 130/80㎜/Hg, PR-18 24회/분, RR-52 68회
Mesulid(해열진통소염제) 투여
통증 척도상 10점 만점 중 6점이라고 대답하심.
(0점-통증없음/10점-죽을 정도의 통증)
무리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루 한 두차례 맨손체조나 걷기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실내에 불쾌한 남새가 나는 자극원은 제거한다.
커피나 카페인 인공 감미료의 사용이나 섭취는 되도록 제한하시라고 한다.
하루에 자신이 먹은 음식을 일기처럼 써서 자신이 하루에 먹은 음식을 체크 할 수 있도록 한다.
급성기 동안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주며 근육의 경련을 차단하고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근육이완제를 준다.
투약후 운동을 권한다.
(Mesulid(해열진통소염제)- 투약으로 인해 통증이 감소되므로 이때 운동을 권함..!)
통증시 마음을 편히 가지셔서 스트레스를 받지 마시고 뭐든지 잘 드시고 휴식을 잘 취하시라고 권한다.
매일 수시로 통증척도를 사정한다.
(통증척도 - 03/29일 6점, 03/30일 6점, 03/31일 4점, 04/01일 3점)
필요시 정맥으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