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언어의 모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금 우리나라에서 벌이지는 반대 의견들은 시대를 역행하는 자세인 것이다. 오늘날 국어에서는 매년 수천 개의 새로운 언어가 탄생하고 있다. 이것은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새로운 언어의 일부분은 인터넷에서 태어난 것일 것이다. 이들은 언어학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발견이며 현재의 사회적 특징을 가장 잘 담고 있는 자료로 남게 될 것이다. 인터넷의 영향으로 나타난 한글 파괴 현상은 한글의 기본 형성 원리를 깨뜨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산출물일 뿐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이들을 인정할 때 우리는 더욱 다양화된 한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통신 언어 사용 반대
우리가 배워왔던 것처럼 언어는 한 사회 구성원의 약속이다. 만약 내가 마음대로 ‘이것’을 ‘저것’이라고 표현한다면 그것은 나만의 생각일 뿐, 아무도 그것을 알아듣지 못한다. 통신언어도 마찬가지이다. 사람들이 하나의 약속으로 사용하고 있는 한글을 그들이 마음대로 사용한다면 사회의 약속이 깨어지는 것이고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긴다. 아무도 그들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통신언어가 단순히 인터넷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만 일어난다면 지금 우리가 우려하는 것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통신 언어가 TV 광고를 비롯하여 책이나 사회의 모든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모든 대중 매체에서 통신 언어를 사용한다면 그것에 둘러싸여 사는 사람들은 통신 언어를 바른 것이라고 받아들이게 되어 그것의 사용이 잘못된 것이라는 점을 생각지 못하게 하며 일상생활에도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3.04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