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라크 ・ 이란
1. 이란의 상황
2. 이란의 이슬람혁명
3. 이라크의 상황
4. 전쟁의 전개
5. 전쟁의 영향
6. 추후전망
이라크쿠웨이트
1.이라크 쿠웨이트 국경분쟁의 역사적 배경
2.전쟁 발발의 직접적 원인
3. 전쟁전개
4. 의미 및 영향
5. 추후 전망
1. 이란의 상황
2. 이란의 이슬람혁명
3. 이라크의 상황
4. 전쟁의 전개
5. 전쟁의 영향
6. 추후전망
이라크쿠웨이트
1.이라크 쿠웨이트 국경분쟁의 역사적 배경
2.전쟁 발발의 직접적 원인
3. 전쟁전개
4. 의미 및 영향
5. 추후 전망
본문내용
이용하여 자신의 패권적 야망을 충족시키고자 쿠웨이트를 군사적으로 침공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은 탈냉전시대에 분출될 수 있는 지역분쟁의 전 형적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라크와 쿠웨이트간의 국경분쟁은 아랍권 내부에 형제주의보다는 국가주의를 추구하는 계기가 됨으로써 범아랍주의와 아랍민족주의가 쇠퇴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아랍의 여러 국가들이 이라크의 지역적 패권을 봉쇄하기 위해 이라크를 응징하는 다 국적군 편에 가세하였으며, 이는 범아랍 명분보다 국가 실리가 우선함을 보여준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그에 대한 다국적군의 응징은 탈냉전시대 국제사회의 지역분 쟁 해결 및 관리 방식을 예고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냉전시대에 유엔은 국제분쟁의 관리나 세계평화의 유지 기능 측면에서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그 무용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을 계기로 세계 주요 국가들은 지역분쟁을 해결, 관리함에 있어서 유엔의 결정과 결의를 존중하게 되었다. 그 국가들은 유엔의 이름으로 병력을 파견하고 전비를 분담함으로써 지역분쟁에 대한 다국적 해결방식을 국제사회에 보편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 다.
5. 추후 전망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빚어진 걸프전쟁은 1991년 2월 28일 이라크가 사실상의 항복문서와도 같은 유엔 결의안 12개를 모두 받아들여 무조건 이행할 것임을 선언하고 미국이 정전 조치를 취함으로써 종식되었다. 걸프전쟁은 다른 전쟁의 경우에서와는 달리 공식적인 휴전협정이나 종전협정 없이 이라크가 유엔안보리 결의안을 무조건 이 행키로 약속함으로써 종결되었다.
유엔안보리가 1991년 3월 채택한 종전 결의문은 이라크와 쿠웨이트간의 국경문제에 대 해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전쟁을 종결함에 있어서 이라크의 책임과 의무만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라크와 쿠웨이트간의 분쟁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국제사회의 감독과 응징에 의해 억제되고 있을뿐!!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양국간의 국경분쟁은 언젠가는 다시 문제화될 가능성을 안고 있 다. 이라크는 자신에 대한 국제사회의 감독과 통제력이 이완되고 쿠웨이트의 자체 방위 능력이 미흡하다고 판단할 경우 언제든지 쿠웨이트를 다시 침범할 가능성이 있다.
실례로 걸프전 종전 후인 1994년 이라크는 쿠웨이트 국경부근에 다시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켜 긴장을 고조시킨 바 있다.
이라크와 쿠웨이트간의 국경분쟁은 아랍권 내부에 형제주의보다는 국가주의를 추구하는 계기가 됨으로써 범아랍주의와 아랍민족주의가 쇠퇴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아랍의 여러 국가들이 이라크의 지역적 패권을 봉쇄하기 위해 이라크를 응징하는 다 국적군 편에 가세하였으며, 이는 범아랍 명분보다 국가 실리가 우선함을 보여준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그에 대한 다국적군의 응징은 탈냉전시대 국제사회의 지역분 쟁 해결 및 관리 방식을 예고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냉전시대에 유엔은 국제분쟁의 관리나 세계평화의 유지 기능 측면에서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그 무용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을 계기로 세계 주요 국가들은 지역분쟁을 해결, 관리함에 있어서 유엔의 결정과 결의를 존중하게 되었다. 그 국가들은 유엔의 이름으로 병력을 파견하고 전비를 분담함으로써 지역분쟁에 대한 다국적 해결방식을 국제사회에 보편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 다.
5. 추후 전망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빚어진 걸프전쟁은 1991년 2월 28일 이라크가 사실상의 항복문서와도 같은 유엔 결의안 12개를 모두 받아들여 무조건 이행할 것임을 선언하고 미국이 정전 조치를 취함으로써 종식되었다. 걸프전쟁은 다른 전쟁의 경우에서와는 달리 공식적인 휴전협정이나 종전협정 없이 이라크가 유엔안보리 결의안을 무조건 이 행키로 약속함으로써 종결되었다.
유엔안보리가 1991년 3월 채택한 종전 결의문은 이라크와 쿠웨이트간의 국경문제에 대 해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전쟁을 종결함에 있어서 이라크의 책임과 의무만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라크와 쿠웨이트간의 분쟁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국제사회의 감독과 응징에 의해 억제되고 있을뿐!!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양국간의 국경분쟁은 언젠가는 다시 문제화될 가능성을 안고 있 다. 이라크는 자신에 대한 국제사회의 감독과 통제력이 이완되고 쿠웨이트의 자체 방위 능력이 미흡하다고 판단할 경우 언제든지 쿠웨이트를 다시 침범할 가능성이 있다.
실례로 걸프전 종전 후인 1994년 이라크는 쿠웨이트 국경부근에 다시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켜 긴장을 고조시킨 바 있다.
추천자료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산업혁명 전개 및 특징
프랑스 혁명
세계의 산업혁명 요약
[우수평가자료]산업혁명이 서양에서 먼저 일어난 원인
미국의 독립 혁명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여성
[농민전쟁][동학]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사상적 배경, 평안도농민전쟁(홍경래의 난, 동학...
[중동민주화] 재스민혁명과 리비아사태에 대한 분석-리비아사태 군사개입에 대한 나의 견해-
[전통사회와생활문화 4공통] ‘전통생활문화’의 주제와 관련 있는 곳을 찾아 직접 답사한 뒤, ...
[서양근대사] 서양근대사회 - 서양 근대의 시작, 시민 혁명과 시민 사회의 성립, 자유주의와 ...
[A+ 레포트] 4차 산업혁명 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