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소개
1) 일반적 사항
2) 건강력
2. LAB DATA 검사 결과
3. 병태생리
1) 폐렴 (Pneumonia)
- 원인
- 진단과 치료
- 합병증
- 경과와 예후
- 예방법
2) 뇌수막염
- 정의
- 종류 (각각의 종류, 특징 및 치료법)
- 진단적 평가
- 예방법
4. 폐렴과 뇌수막염과 관련하여 사용된 약물 설명
5. 간호과정
1) 사정
2) 목표
3) 계획
4) 이론적 근거
5) 수행
6) 평가
1) 일반적 사항
2) 건강력
2. LAB DATA 검사 결과
3. 병태생리
1) 폐렴 (Pneumonia)
- 원인
- 진단과 치료
- 합병증
- 경과와 예후
- 예방법
2) 뇌수막염
- 정의
- 종류 (각각의 종류, 특징 및 치료법)
- 진단적 평가
- 예방법
4. 폐렴과 뇌수막염과 관련하여 사용된 약물 설명
5. 간호과정
1) 사정
2) 목표
3) 계획
4) 이론적 근거
5) 수행
6) 평가
본문내용
고 효과를 사정한다.
4. 고열로 인한 증상을 1시간 간격으로 사정한다.
5.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1. 고열로 인해 빈맥, 빈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2.
1) 신체노출 : 떨림을 증가시켜 열생산을 증가시킴.
2) 미온수 닦기 :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면 열이 증발되어 체온이 하강됨.
3. 해열제 투여 : 체온 하강시킴.
4. 고열로 인한 증상인 홍조 띤 따뜻한 피부, 경련 등을 관찰.
5. 고체온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항생제 투여.
수행
1.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2. 오한이 있을때마다 담요를 덮어주었고, 오한이 사라질 때는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환아의 몸을 닦았다.
3. 처방된 해열제 투여의 과정을 관찰하였고 투여시 37.5℃까지 내려갔다.
4. 홍조띤 피부, 경련 등을 관찰하였다.
5. 처방된 항생제 투여를 관찰하였다.
평가
1. 대상자는 CSF의 WBC수치가 462/㎣로 체크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상태)
2. 대상자의 체온은 37.3℃이다.
3. 계속적인 시술과 관련된 통증
사정
o. data :
1. 0월 21일 -
첫 spinal tapping 시행 → fail함
2. 0월 24일 -
두 번째 spinal tapping 시행 → 성공함 (WBC : 3267/㎣ 로 측정됨)
3. 0월 25일 -
세 번째 spinal tapping 시행 → fail함
4. 0월 26일 -
네 번째 spinal tapping 시행 → fail함
5. 트림시키면서 등을 두드릴 때 환아는 2시간 이상 자지러지게 운다.
6. 환아는 2시간 이상 깨지 않고 잠을 자지 못하고 1시간 이상 운다.
목표
장기 목표 : 대상자는 계속적인 spinal tapping과 관련된 등의 통증이 감소된다.
단기 목표 :
1. spinal tapping시술과 관련된 통증으로 인한 대상자의 feeding 불이행이 사라진다.
2. 대상자는 깨지 않고 한번에 5시간 이상을 잔다.
3. 대상자는 등의 통증으로 인한 울음이 사라진다.
계획
1. spinal tapping 시술 전 마취제 투여 과정을 관찰하고 그 효과를 사정한다.
2. spinal tapping 시술 후 지혈과정을 관찰하고 압박드레싱을 도와준다.
3. spinal tapping 시술 전에 feeding을 한다.
4. 30분 이상의 울음이 지속될 경우 등의 통증으로 인한 것인지 관찰한다.
5. 시술부위의 감염으로 인한 2차적 통증이 나타나지 않게 그 부위의 발적이나 발열을 2시간 간격으로 관찰한다.
6. feeding시 등의 시술 부위에 압박이 가지 않도록 안아서 시행한다.
7. 대상자가 잠들기 시작할 땐 주위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수행
1. spinal tapping 시술 전 마취제 투여 과정을 관찰하였으나 환아의 울음은 그치지 않았다.
2. spinal tapping 시술 후의 지혈과정을 관찰하고 압박드레싱을 도와주었다.
3. spinal tapping 시술 후의 통증으로 feeding을 하지 못할 것을 예상해 시술 전에 시행하고 트림시켰다.
4. 30분 이상의 울음이 지속되었을 때 등을 두드리면서 달래지 않고 엉덩이와 어깨를 감싸안아 달래주었다.
5. 시술 부위의 발적이나 발열을 2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였으나 그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6. feeding시 환아가 누운 상태에서 시행하지 않고 목과 엉덩이를 받치고 등에 압박이 가지 않도록 하였더니 울음을 그치고 잘 먹었다.
평가
1. 대상자는 spinal tapping 시술과 상관없이 feeding을 잘 하였다.
2. 대상자는 깨지 않고 한번에 5시간을 잤다.
3. 대상자는 아직까지 한번 울기 시작하면 1시간 이상 자지러지게 운다.
4. 고열로 인한 증상을 1시간 간격으로 사정한다.
5.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1. 고열로 인해 빈맥, 빈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2.
1) 신체노출 : 떨림을 증가시켜 열생산을 증가시킴.
2) 미온수 닦기 :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면 열이 증발되어 체온이 하강됨.
3. 해열제 투여 : 체온 하강시킴.
4. 고열로 인한 증상인 홍조 띤 따뜻한 피부, 경련 등을 관찰.
5. 고체온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항생제 투여.
수행
1.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2. 오한이 있을때마다 담요를 덮어주었고, 오한이 사라질 때는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환아의 몸을 닦았다.
3. 처방된 해열제 투여의 과정을 관찰하였고 투여시 37.5℃까지 내려갔다.
4. 홍조띤 피부, 경련 등을 관찰하였다.
5. 처방된 항생제 투여를 관찰하였다.
평가
1. 대상자는 CSF의 WBC수치가 462/㎣로 체크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상태)
2. 대상자의 체온은 37.3℃이다.
3. 계속적인 시술과 관련된 통증
사정
o. data :
1. 0월 21일 -
첫 spinal tapping 시행 → fail함
2. 0월 24일 -
두 번째 spinal tapping 시행 → 성공함 (WBC : 3267/㎣ 로 측정됨)
3. 0월 25일 -
세 번째 spinal tapping 시행 → fail함
4. 0월 26일 -
네 번째 spinal tapping 시행 → fail함
5. 트림시키면서 등을 두드릴 때 환아는 2시간 이상 자지러지게 운다.
6. 환아는 2시간 이상 깨지 않고 잠을 자지 못하고 1시간 이상 운다.
목표
장기 목표 : 대상자는 계속적인 spinal tapping과 관련된 등의 통증이 감소된다.
단기 목표 :
1. spinal tapping시술과 관련된 통증으로 인한 대상자의 feeding 불이행이 사라진다.
2. 대상자는 깨지 않고 한번에 5시간 이상을 잔다.
3. 대상자는 등의 통증으로 인한 울음이 사라진다.
계획
1. spinal tapping 시술 전 마취제 투여 과정을 관찰하고 그 효과를 사정한다.
2. spinal tapping 시술 후 지혈과정을 관찰하고 압박드레싱을 도와준다.
3. spinal tapping 시술 전에 feeding을 한다.
4. 30분 이상의 울음이 지속될 경우 등의 통증으로 인한 것인지 관찰한다.
5. 시술부위의 감염으로 인한 2차적 통증이 나타나지 않게 그 부위의 발적이나 발열을 2시간 간격으로 관찰한다.
6. feeding시 등의 시술 부위에 압박이 가지 않도록 안아서 시행한다.
7. 대상자가 잠들기 시작할 땐 주위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수행
1. spinal tapping 시술 전 마취제 투여 과정을 관찰하였으나 환아의 울음은 그치지 않았다.
2. spinal tapping 시술 후의 지혈과정을 관찰하고 압박드레싱을 도와주었다.
3. spinal tapping 시술 후의 통증으로 feeding을 하지 못할 것을 예상해 시술 전에 시행하고 트림시켰다.
4. 30분 이상의 울음이 지속되었을 때 등을 두드리면서 달래지 않고 엉덩이와 어깨를 감싸안아 달래주었다.
5. 시술 부위의 발적이나 발열을 2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였으나 그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6. feeding시 환아가 누운 상태에서 시행하지 않고 목과 엉덩이를 받치고 등에 압박이 가지 않도록 하였더니 울음을 그치고 잘 먹었다.
평가
1. 대상자는 spinal tapping 시술과 상관없이 feeding을 잘 하였다.
2. 대상자는 깨지 않고 한번에 5시간을 잤다.
3. 대상자는 아직까지 한번 울기 시작하면 1시간 이상 자지러지게 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