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반과정의 위험과 위험의 해결, 감소 방안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운반과정시 발생하는 위험의 종류

물건의 올바른 운반방법

핵심적인 위험요인의 종류

본문내용

틀지 않고 작업하도록 합니다.
4. 요통예방을 위한 안전작업방법
(가) 작업시 작업범위는 팔의 동작범위에 따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이 각기 달라지므로 요통 예방을 위해 안전작업범위를 지켜서 작업을 하도록 합니다.
(나) 허리에 가장 부담이 작은 작업범위는 몸의 무게중심에 가장 가까운 위치이므로 안전작업 범위에서 벗어나서 작업을 할 때에는 주의하여야 합니다.
(다) 최적 안전작업범위
- 최적 안전작업범위는 몸의 무게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 허리에 주는 부담도 가장 적 습니다.
- 이 구역은 팔을 몸체부에 붙이고 손목만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입니다.
- 이 범위내에서 작업할 때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장 적습니다.
(라) 안전작업범위
- 이 작업범위는 몸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구역으로 그 범위는 팔꿈치를 몸의 측면에 붙이고 손 을 어깨 높이에서 허벅지 부위까지 오르내릴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합니다.
- 이 작업범위에서 작업시 허리에 가해지는 압박은 약간 있으나 비교적 안전합니다.
(마) 주의작업범위
- 이 작업범위는 몸으로부터 조금 더 떨어진 구역으로 그 범위는 팔을 완전히 뻗어서 손을 어 깨까지 들어올리고 허벅지까지 내리는 범위입니다.
- 이 작업범위에서 작업시 허리에 가해지는 압박은 비교적 큰 압력으로 허리의 지탱한계까지 도달 한 상태이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바) 위험작업범위
- 이 작업범위는 몸의 안전작업 범위에서 완전히 벗어난 구역으로, 이 범위에서 작업을 하면
중량물을 놓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허리가 안전하게 그 무게를 지탱할 수 없습니다.
-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매우 크며 이 범위는 허리의 지탱한계를 이미 넘어선 것으로 매우 위험 합니다.
< 핵심적인 위험요인의 종류>
1. 요통예방을 위한 핵심위험요인
* 중량물 취급 작업시 작업범위가 어깨보다 높거나 또는 무릎보다 낮아 팔을 길게 뻗고 하는 작 업은 요통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중량물 취급 작업시 몸의 자세가 허리를 많이 구부리거나 비틀린 채하는 작업은 요통위험이 높습니다.
2. 중량물 인력운반의 핵심위험요인
* 부적절한 자세 또는 무리하게 무거운 화물을 들거나 운반할 경우 요통이 발생할 수 있습다.
* 화물을 들거나 내려놓을 때 손·발 등에 협착위험이 있습다.
* 화물 자체의 위험성(뜨거움, 차가움, 거칠음, 날카로움, 깨짐)에 의한 베임, 찢어짐 등 재해가
일어날 수 있습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3.14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