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뿌리
3. 오브제
4. 각 도시에서의 다다이즘
1) 독일
2) 파리
3) 뉴욕
5. 초현실주의와 다다이즘
6. 차라를 중심으로 살피는 다다이즘
1) 다다이즘의 시작과 차라
2) 취리히 다다의 차라
3) 파리다다의 차라
2. 뿌리
3. 오브제
4. 각 도시에서의 다다이즘
1) 독일
2) 파리
3) 뉴욕
5. 초현실주의와 다다이즘
6. 차라를 중심으로 살피는 다다이즘
1) 다다이즘의 시작과 차라
2) 취리히 다다의 차라
3) 파리다다의 차라
본문내용
리히로부터 뉴욕으로 이동한다.
3) 파리다다의 차라
스위스 다다가 해산되고 트리스탄 차라, 뉴욕에서 돌아온 프란시스 피카비아 등이 앙드레 브루통, 폴 엘뤼아르와 합류하면서 파리 다다가 시작되게 된다. 트리스탄 차라는 활발했던 취리히에서의 활동전개를 접고 1920년 파리에 정착하여 다다선언서, 발표회를 가졌다. 차라의 <다다 선언문> 발표는 다다 운동의 그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파리 다다는 잡지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하여 프랑스 문학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 나갔고 마침내는 초현실주의에 통합되게 되는데, 차라도 1921년에는 A.브르통 등의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가하여 바레스 재판 등으로 화제를 뿌린다. 지속적으로 초현실주의자들과 교류를 시작하여 한때 다다와 초현실주의와의 차이를 분명히 밝히고 그 직후에 브르통 등과도 결별하였으나 예술운동 그 자체에는 협력하였고, 1928년 다시 초현실주의에 가담하고 1929년 브르통과 화해하여 1935년까지 초현실주의에서 활약하였다. 이후 ‘근사적 인간’(1931), ‘안티 두되’(1933), ‘독백’(1950), ‘내면의 얼굴’(1953) 등 서정이 넘치는 많은 작품을 남기고, 1963년 12월 25일 세상을 떠난다.
3) 파리다다의 차라
스위스 다다가 해산되고 트리스탄 차라, 뉴욕에서 돌아온 프란시스 피카비아 등이 앙드레 브루통, 폴 엘뤼아르와 합류하면서 파리 다다가 시작되게 된다. 트리스탄 차라는 활발했던 취리히에서의 활동전개를 접고 1920년 파리에 정착하여 다다선언서, 발표회를 가졌다. 차라의 <다다 선언문> 발표는 다다 운동의 그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파리 다다는 잡지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하여 프랑스 문학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 나갔고 마침내는 초현실주의에 통합되게 되는데, 차라도 1921년에는 A.브르통 등의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가하여 바레스 재판 등으로 화제를 뿌린다. 지속적으로 초현실주의자들과 교류를 시작하여 한때 다다와 초현실주의와의 차이를 분명히 밝히고 그 직후에 브르통 등과도 결별하였으나 예술운동 그 자체에는 협력하였고, 1928년 다시 초현실주의에 가담하고 1929년 브르통과 화해하여 1935년까지 초현실주의에서 활약하였다. 이후 ‘근사적 인간’(1931), ‘안티 두되’(1933), ‘독백’(1950), ‘내면의 얼굴’(1953) 등 서정이 넘치는 많은 작품을 남기고, 1963년 12월 25일 세상을 떠난다.
추천자료
[다다이즘][다다이즘예술운동][예술관][현대미술]다다이즘(다다이즘예술운동) 개념과 예술관,...
[포스트모더니즘]모더니즘의 기원,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
[조형][조형예술][조형예술활동]조형(조형예술)의 원리, 조형(조형예술)의 요소, 조형(조형예...
‘조형예술’, ‘미적체험’, ‘시각예술’
조형예술론
마르셀 뒤샹예술의 특성연구와 작품분석을 통한 현대예술의 고찰 - 다다이즘을 통한 의식전환...
그리스의조형예술, 그리스예술에 대하여
[조형적활동중심학습][신조형주의][농민전쟁기념조형물][조형예술학][조형활동]조형적활동중...
[음악예술][시각예술][전위예술][교육예술][문화예술][구술예술][민중예술][조형예술][예술][...
[예술][테크놀로지예술][복제예술][대중예술][구술예술][대지예술][사진예술][조형예술][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