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사투리 단어 및 예문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 사투리 단어 및 예문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기후와 때에 대한 사투리 그저끼 : 그저께

▶ 느낌 사투리

▶ 존칭에 대한 사투리

▶ 느낌어 사투리

▶ 신체에 대한 사투리

▶ 음식에 관한 사투리

▶ 방향을 알리는 사투리

▶ 제주의복에 관한 사투리

▶ 제주의 셈 사투리

▶ 기구 및 도구에 대한 사투리

▶ 응답용어 사투리

▶ 동물들에 대한 사투리

▶ 상용어 사투리

▶ 식물들에 대한 사투리

▶ 속담에 대한 사투리

▶ 대화속에 사투리

▶ 일상용어 사투리

본문내용

등땡이 : 등어리
또꼬망 : 똥구멍
모감지 : 멱살
베 봉탱이 : 배 불뚝이
베아지 볼라불라: 배 발로 밟아버린다 상판이 : 얼굴
야게기 : 목
야굴탁 : 턱
임댕이 : 이마
정겡이 : 정강이 (종아리)
저껭이 : 겨드랑이
조금태기 :간지롭게
좀짐팽이 : 종아리
허운데기 :싸울때 \'머리카락\'을 얕잡은 말
허벅다리 : 넓적다리
▶ 음식에 관한 사투리
조배기 : 수제비
개역 : 미숫가루
것 : 동물먹이(예:도세기 것)
괴기 : 고기
바당괴기 : 바닷고기(생선)
돗괴기 : 돼지고기
쇠괴기 : 쇠고기
돗괴기(도세기괴기): 돼지고기
곤떡 : 쌀로만든떡
곤밥 : 흰쌀로 지은밥
독세끼 : 달걀 몰괴기 : 말고기
놈삐 : 무우
대사니 김치 : 마늘장아찌
마농 : 마늘 , 파
모몰 조배기 : 메밀 수제비
촐래 : 반찬
촘지금 : 참기름
짐치(짐끼) : 김치
촙쏠 : 찹쌀
조팝 : 좁쌀로 지은밥
독괴기 : 닭고기
▶ 방향을 알리는 사투리
그디이: 거기
너내 : 너희, 너네
누게 : 누구
무신거 : 무엇
느~ : 너
영 : 이렇게
저엉: 저렇게
경 : 그렇게
요디 : 요기
이녁이랑 : 당신과함께
이디: 여기
저디: 저기
▶ 제주의복에 관한 사투리
갈옷 : 떫은감물 들인 옷
갈 적삼 : 떫은감물 들인 적삼
갈 중이 : 떫은감물 들인 고의
강알 터진 바지 : 개구멍 바지
게와 : 호주머니
단취 : 단추 밀랑 페랭이 : 밀짚모자
보선 : 버선
소중이 : 속옷
신착 : 신짝
찍신 : 짚신
좀뱅이 : 잠방이
▶ 제주의 셈 사투리
다솟 : 다섯
예늘곱 : 예닐곱
요든 : 여든
일고 여답 : 일곱 여덟 요나문 : 여나믄
요섯 : 여섯
호나 : 하나
혼 돌 : 한 달
▶ 기구 및 도구에 대한 사투리
구덕 : 바구니
고량착 : 대로 만든 채롱
낭푼이 : 양푼, 그릇
대배기 : 물긷는 그릇
덩두룽 마깨 : 짚 두리리게
물 구루마 : 마차 바농 : 바늘
박새기 : 바가지
숟구락 : 수저
제끄락 : 젓갈
주멩기 : 주머니
허벅 : 물을 길어나르는 통
▶ 응답용어 사투리
게메 마씀 : 그러기에 말입니다
기여 : 오냐, 그래
아이구멍아 : 아이고머니나
왕 : 와서
무사 : 왜?
메께라 : 별 소리 다한다는 뜻
아니카 : 아니나 다르랴
으마떵호리 : 어마,어떻게 하지 게, 양 : 그래, 그려(말끝에 쓰임)
게메 : 그러기에(과연 그렇다는 뜻)
제나콰니여 : 잘되어 버렸다(나무랄때)
초마 고라 : 참아, 아니 원
호곡 말곡 : 하고 말고
나야 더리 : 무얼 그래(잘못을나무람)
날 봅서 : 여보십시오(나를 보십시오)
▶ 동물들에 대한 사투리
고냥 독생이 : 굴뚝새
놀개기 : 날개
돔박생이 : 동박새
독(독새기) : 닭
고냉이 : 고양이
송애기 : 송아지
몽생이 : 망아지
돗(도새기) : 돼지
밭갈쇠 : 밭을 가는 소
베염 : 뱀
빙애기 : 병아리
생이 : 새 부렝이 : 숫소
염송애기 : 염소
강생이 : 강아지
중이 : 쥐
갓돔 : 도미(바다고기)
겡이 : 게
구젱기 : 소라
물꾸럭 : 문어
골개비 : 개구리
게염지 : 개미
멩마구리 : 맹꽁이
베렝이 : 버러지
▶ 상용어 사투리
갈라지다 : 헤어지다
곱지다 : 숨기다
데싸지다 : 자빠지다
감장돌다 : 맴돌다
거들락 거리다 : 꺼떡거리다
거찌다 : 건드리다
걸러지다 : 거꾸러지다
고른배기 호다 : 박자의 강한 말
고쩌사다 : 비켜서다
고찌다 : 고치다
곤작 싸다 : 재주넘다
꼴 성그리다 : 얼굴을 찡그리다
심벡 호다 : 겨루다
악살 호다 : 욕설하다
용심 내다 : 성내다
조글리다 : 간지럽히다
저들다 : 걱정하다
토라지다 : 비뚤어지다
속솜 호다 : 잠잠하다
펜백호다 : 편을 들다 구숭 호다 : 불평을 말하다
꾸러 박아지다 : 거꾸로 박히다
귀 태우다 : 은밀히 알려주다
거느리 왕 상 호다 :남의 일을 비평하다
고끼다 : 숨막히다
골메 드리다 : 차례로 바꾸다
늘짝 거리다 : 늑장부리다
능까리다 : 미끄러지다
다울리다 : 재촉하다
댕기다 : 다니다
대껴불다 : 던져버리다
되싸지다 : 갈라지다
들럭 퀴다 : 날 뛰다
몽캐다 : 느리다, 꾸물럭거리다
베르싸다 : 속이 보이게 하다
부수닥질 호다 : 부수어 버리다
부에 나다 : 화나다
쎄울르다 : 고함지르다
소곤닥 호다 : 소근 거린다
소로디 호다 : 말질하다, 소문내다
▶ 식물들에 대한 사투리
송키 : 채소
지실(지슬): 감자
감저 : 고구마
어욱 : 억새
태역 : 들잔디
모물 : 메밀 굴묵낭 : 느티나무
가라지 : 강아지 풀
꿩마농 : 돌에 난 마늘(달래)
도채비고장 : 산수국
숙대낭 : 삼나무
퐁낭 : 팽나무
▶ 속담에 대한 사투리
물빡으로 물먹으민 시염 안돋나. : 물바가지로 물 마시면 수염 안난다.
물애기 옷을 막개로 뽈민 애기놀랜다.: 갓난아이 옷을 방망이로 빨면 아기가 놀랜다.
밤에 얼래기질 호민 모솜탄다.: 밤에 머리 빗으면 무서움 탄다.
비는 놈안틴 지여사 혼다.: 비는 자에게는 용서해 주어야 한다.
비 온날 쇠총지 이레 착 저레 착 혼다.:비오는 날 쇠꼬리 이리 착 저리 착 흔든다
빈 고래질 호민 숭년 든다.: 빈 맷돌질 하면 흉년 든다.
▶ 대화속에 사투리
호쏠 물어보게 마씀.:잠깐 여쭈어 보겠습니다.
관덕정더래 가젠허민 어떵 가민 될껀고 양.: 관덕정으로 갈려고 하면 어떻게 가면 됩니까?
양, 이레옵써, 이 질로 굳작 가민양 옛날 기와집 배려집니다. 거기우다.
예, 이리오십시요, 이 길로 곧장 가면 옛날 기와집 보입니다. 거기입니다.
예 고맙쑤다.: 예 고맙습니다.
잘 갑써양.:잘 가십시요
경허곡, 삼성혈 있지 않으꽈?: 그리고 삼성혈 있지 않습니까?
예 있수다.: 예 있습니다.
거긴 어떵 가민 될껀고 양.: 거기는 어떻게 가면 되겠습니까?
예 고라주쿠매 잘 들읍써.: 예 말을 해 드릴테니 잘 들으십시오
이 남문통 질로 그자 굳작 올라가민 양 관광호텔 있수다.
이 남문통 길로 그냥 곧장 올라가며는요 관광호텔이 있습니다.
관광호텔 지낭 동더레만 가민 그엠에 소낭 밭 마씀.
관광호텔을 지나 동쪽으로 가면 한쪽에 소나무 밭이 있는 곳입니다.
경허민 멧분 걸리민 되코양.: 그러면 몇분이나 걸리면 됩니까?
혼 십분 정도민 될 거우다.: 약 십분 정도면 됩니다.
맨도롱
  • 가격3,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4.09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