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표
2.관련장비
3.관련이론
4.실험
5.고찰
2.관련장비
3.관련이론
4.실험
5.고찰
본문내용
)
6.875
6.870
※정상 상태에서는 커패시터는 개방이 되고 인덕터는 단락이 된다.
위에 있는 회로를 다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이 상태에서 전류와 전압을 구하면 된다. 전류 모의 실험값
① 전류 계산
I = =3.125mA
I도 마찬 직렬회로이므로 3.125mA가 흐른다.
② 전압 계산
V , V 값은 전류 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전압 모의 실험값
V=×E = ×10= 6.875v
V=×E = ×10= 3.125v
③ W , W 계산
W= CV = × 1μF× (6.875)= 23.63μJ
W= LI = × 10mH×(3.125)= 48.83mJ
PRODUCE (결과)
Part 1. Series R-L dc Circuit
이론값
측정값
오차율
R(Ω)
470
462
||×100 = || × 100 = 1.70
R(Ω)
0
82.5
-
I(mA)
21.28
18.34
||×100 = || × 100 = 13.82
V
0V
1.550mV
-
※ 오차율 구하는 공식 % Difference = || × 100%
Part 2. Parallel R-L dc Circuit
이론값
측정값
오차율
인가전압
R(kΩ)
1
1
||×100 = || × 100 = 0
-
R(470Ω)
470
468
||×100 = || × 100 = 0.43
-
R(Ω)
0
84
-
-
I (mA)
21.28
18.47
||×100 = || × 100 = 15.21
10V
I(mA)
0
1.46
-
-
I(mA)
21.28
16.89
||×100 = || × 100 = 25.99
10V
V(V)
0
1.469
-
-
V(V)
10
8.63
||×100 = || × 100 = 15.87
10V
※ 오차율 구하는 공식 % Difference = || × 100%
Part 3. Series - Parallel R-L-C dc Circuit
이론값
측정값
오차율
인가전압
R
1kΩ
995Ω
||×100 = || × 100 = 0.5
-
R(kΩ)
2.2
2.2
||×100 = || × 100 = 0
-
R(Ω)
0
82.5
-
-
I(mA)
3.125
3.11
||×100 = || × 100 = 0.48
10V
I(mA)
3.125
3.11
||×100 = || × 100 = 0.48
10V
V(V)
3.125
3.087
||×100 = || × 100 = 1.21
10V
V(V)
6.875
6.73
||×100 = || × 100 = 2.11
10V
W
23.63
22.65
||×100 = || × 100 = 4.15
-
W
48.83
48.36
||×100 = || × 100 = 0.96
-
※오차율 구하는 공식 % Difference = || × 100%
※ 측정한 값으로 W , W 계산
▶ W= CV = × 1μF× (6.73)= 22.65μJ
▶ W= LI = × 10mH×(3.11)= 48.36nJ
▶고 찰
인덕터는 커패시터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하는 코일이다. 인덕터에 기전력을 인가하면 전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며 결국 일정한 값이 된다. 그러나 모의 실험값과 측정값을 비교해본 결과 인덕터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오차율이 굉장히 높았다. 인덕터의 내부 저항에 의해서 측정값이 모의실험값과 많이 다른 것 같다. 인덕터와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R-L-C 회로에서 정상상태가 되면 인덕터는 단락되고 커패시터는 개방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각각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구할수 있었다. 인덕터를 포함하는 회로에서 인덕터에 걸리는 양단 전압은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율과 인덕턴스에 의해 결정되었다.
6.875
6.870
※정상 상태에서는 커패시터는 개방이 되고 인덕터는 단락이 된다.
위에 있는 회로를 다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이 상태에서 전류와 전압을 구하면 된다. 전류 모의 실험값
① 전류 계산
I = =3.125mA
I도 마찬 직렬회로이므로 3.125mA가 흐른다.
② 전압 계산
V , V 값은 전류 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전압 모의 실험값
V=×E = ×10= 6.875v
V=×E = ×10= 3.125v
③ W , W 계산
W= CV = × 1μF× (6.875)= 23.63μJ
W= LI = × 10mH×(3.125)= 48.83mJ
PRODUCE (결과)
Part 1. Series R-L dc Circuit
이론값
측정값
오차율
R(Ω)
470
462
||×100 = || × 100 = 1.70
R(Ω)
0
82.5
-
I(mA)
21.28
18.34
||×100 = || × 100 = 13.82
V
0V
1.550mV
-
※ 오차율 구하는 공식 % Difference = || × 100%
Part 2. Parallel R-L dc Circuit
이론값
측정값
오차율
인가전압
R(kΩ)
1
1
||×100 = || × 100 = 0
-
R(470Ω)
470
468
||×100 = || × 100 = 0.43
-
R(Ω)
0
84
-
-
I (mA)
21.28
18.47
||×100 = || × 100 = 15.21
10V
I(mA)
0
1.46
-
-
I(mA)
21.28
16.89
||×100 = || × 100 = 25.99
10V
V(V)
0
1.469
-
-
V(V)
10
8.63
||×100 = || × 100 = 15.87
10V
※ 오차율 구하는 공식 % Difference = || × 100%
Part 3. Series - Parallel R-L-C dc Circuit
이론값
측정값
오차율
인가전압
R
1kΩ
995Ω
||×100 = || × 100 = 0.5
-
R(kΩ)
2.2
2.2
||×100 = || × 100 = 0
-
R(Ω)
0
82.5
-
-
I(mA)
3.125
3.11
||×100 = || × 100 = 0.48
10V
I(mA)
3.125
3.11
||×100 = || × 100 = 0.48
10V
V(V)
3.125
3.087
||×100 = || × 100 = 1.21
10V
V(V)
6.875
6.73
||×100 = || × 100 = 2.11
10V
W
23.63
22.65
||×100 = || × 100 = 4.15
-
W
48.83
48.36
||×100 = || × 100 = 0.96
-
※오차율 구하는 공식 % Difference = || × 100%
※ 측정한 값으로 W , W 계산
▶ W= CV = × 1μF× (6.73)= 22.65μJ
▶ W= LI = × 10mH×(3.11)= 48.36nJ
▶고 찰
인덕터는 커패시터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하는 코일이다. 인덕터에 기전력을 인가하면 전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며 결국 일정한 값이 된다. 그러나 모의 실험값과 측정값을 비교해본 결과 인덕터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오차율이 굉장히 높았다. 인덕터의 내부 저항에 의해서 측정값이 모의실험값과 많이 다른 것 같다. 인덕터와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R-L-C 회로에서 정상상태가 되면 인덕터는 단락되고 커패시터는 개방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각각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구할수 있었다. 인덕터를 포함하는 회로에서 인덕터에 걸리는 양단 전압은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율과 인덕턴스에 의해 결정되었다.
추천자료
(장애인복지론)정상화,사회적역할의가치강화,자립생활이론의 역사와 이론
[영유아발달]의학적으로 본 영아기의 정상 발육발달 및 사회환경
[아동간호학] 정상신생아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케이스]정상분만NSVD환자case study
CASE STUDY(정상분만)
[간호학]모성간호학-정상분만
[아간주제발표]신생아정상반사
북일 관계 - 국교정상화를 위한 교섭의 진전과 협상 - (가네마루 방북 3당선언)
[신생아실 케이스] 정상 신생아(normal baby)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cesarean delivery
[생활주기영양학B] 영유아의 정상적인 신체적 성장·생리적 발달과 특성, 영양원과 급식 시 주...
[아동] 정상신생아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월경장애, 무월경, 비정상자궁출혈, 월경전증후군, 월경곤란증, 기능부전성자궁출혈, premens...
[모성간호학] 정상분만 case study
[간호학] 월경장애 (무월경 비정상 자궁출혈 월경전증후군 월경 곤란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