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Ⅱ. 전통복식의 종류 및 특징
1. 카렌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2. 몽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3. 야오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4. 라후족
(1) 일반적 특징
(2) 라후 니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3) 라후 나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4) 라후 세 레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5) 라후 쉬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 복식
5. 아카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6. 리수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 복식
Ⅲ. 결
Ⅱ. 전통복식의 종류 및 특징
1. 카렌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2. 몽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3. 야오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4. 라후족
(1) 일반적 특징
(2) 라후 니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3) 라후 나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4) 라후 세 레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5) 라후 쉬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 복식
5. 아카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복식
6. 리수족
(1) 일반적 특징
(2) 남자복식
(3) 여자 복식
Ⅲ. 결
본문내용
새해의 시작이다.
아카족의 베틀은 특이하게 발을 사용하는데, 베틀은 직조하는 부분, 등. 발의 받침대 등으로 간단하게 구성된다. 하의는 중간부분에서 밑단까지 문양을 넣었는데, 근래에는 허리부터 문양을 넣기도 한다.
(2) 남자복식
남자는 재킷형 상의와 중국식 바지를 입으며 특별한 행사에는 검은색 터번을 쓰는데, 연장자들은 붉은색이나 분홍색 견직물로 만든 터번을 착용한다. 소년들은 소모 형태의 모자를 착용한다. 상의는 허리길이 정도이며, 뒷길에 화려한 장식을 한다. 파미 아카족의 상의는 엉덩이 길이 정도로 조금 더 길다.
(3) 여자복식
여자는 모자, 재킷형 상의, 무릎길이의 짧은 치마, 끝부분을 장식한 허리띠, 각반 등을 착용한다. 의복의 소재로는 남색. 흑청색 면직물을 많이 사용한다. 재킷은 허리길이 정도이며, 9부 소매가 달려 있다. 모두 직선재단을 하고, 뒷길에 화려한 장식을 한다. 치마는 앞길은 평평하게, 뒷길은 주름을 많이 넣어서 만든다. 허리띠는 동전. 구슬. 단추 등으로 장식을 하며, 재킷 안쪽에서 허리에 감고 남는 부분을 앞중심에서 늘어뜨리는데, 정조를 지킨다는 의미를 갖는다. 각반은 남색이며통형으로 직조한다.
우로 아카족의 뾰족한 모자는 대나무로 뼈대를 만든 다음, 인디고 염색을 한 천을 덧씌운 형태이다. 여기에 은동전, 구슬, 붉은색 깃털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며, 기혼자의 경우 장식의 정도는 남편의 지위와 부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였다. 로미 아카족의 모자는 평평하고, 뒷부분에 사다리꼴의 은장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부분은 은장식으로 구성하고, 아랫부분에는 붉은색. 흰색 구슬을 길게 달아준다. 행사용으로 착용하는 허리띠에는 조개껍질을 빽빽하게 달아준다. 파미 아카족의 모자는 투구와 같은 형태로, 전체적으로 은단추. 은동전. 은구슬을 사용하고 붉은색 구슬을 사방으로 길게 장식한다.
6. 리수족
(1) 일반적 특징
타이북부에 거주하는 리수족은 약 2만 명으로 100여 개의 마을을 이루고 있다. 리수족은 자신들이 대홍수 뒤에 살아남은 유일한 인류로 살윈 강의 상류에서 기원 하였다고 생각하며, 기원이 티벳이라는 설도 있다. 타이북부 이외에 중국 운남성 서부 산악지역, 미얀마의 카친주, 인도 북동부 지역 등에도 거주하고 있다.
타이의 리수족은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지도 오래되었고, 타이 이주 후에는 중국 운남성의 회족 등과도 결혼하면서 중국적인 성향이 증가하였다. 모든 것에는 신령이나 혼이 있다고 생각하며, 신령 중에서는 조상의 신령을 가장 높게 생각하기 때문에 집의 높은 곳 중앙에는 조상신을 모시는 제단을 설치한다.
(2) 남자복식
남자는 검은색의 재킷형 상의, 바지, 검은색 각반을 착용한다. 바지는 통이 넓으며, 젊은이들은 파란색. 녹색, 연장자는 검은색을 많이 입는다. 성장을 할 때는 검은색 벨벳으로 만들고, 목둘레에 자잘한 은장식을 부착한 상의를 입는다. 허리에는 붉은색 허리띠를 두르며, 축제용은 여자용처럼 다양한 색상의 술이 달려있다.
과거에는 새해행사에 붉은색. 파란색. 노란색. 검은색 등의 견직물로 만든 터번을 했는데, 지금은 거의 하지 않고 흰색 터키식 수건을 20cm 너비가 되도록 접어서 터번으로 사용한다. 왼쪽 귀에는 은귀걸이를 하고, 양팔에 은팔찌를 한다.
(3) 여자 복식
여자복식은 파란색. 녹색. 붉은색 등의 화려한 색상과 축제용으로 둥근판 형태의 검은색 터번을 착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터번은 3~4cm 너비가 되도록 천을 접은 다음에, 머리에 맞는 크기로 무릎에 대고 감는다. 단단하게 감은 다음에는 벨벳 등의 검은색 천으로 위를 감싸주고,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 등의 털실을 어깨에 닿을 정도로 길게 드리운다. 나이가 든 여자들은 장식하지 않은 검은색 터번만 착용한다.
여기에 무릎길이의 튜닉형 상의, 무릎길이의 검은색 바지, 붉은색 각반 등을 착용한다. 상의는 우임이고, 몸판은 청색. 녹색, 목둘레와 겨드랑이는 다양한 색상의 줄무늬, 소매는 붉은색 등으로 하며, 색줄을 가느다랗게 많이 넣는 것은 자랑거리이기도 하다. 검은색 허리띠는 6m 길이로 상의 위에 두르는데, 양끝에는 터번에 두른 것처럼 다양한 색상의 털실을 달아준다. 그리고 은화. 단추. 방울 등으로 장식된 조끼를 입고, 가슴을 덮는 넓은 깃 형태의 은목걸이. 은귀걸이. 은팔찌 등을 한다.
예전에는 ‘마’라는 나무열매를 씹어서 흑치를 만드는 습관이 있었다. ‘마’를 씹으면 치아도 튼튼해지고 건강도 유지한다고 믿었기 때문인데, 입술까지 까맣게 된다.
Ⅲ. 결
타이 북부 소수민족의 전통복식에서 보면 이들은 모두 화려한 직물과 자수. 금속장신구로 유명하다. 여자들은 직조를 하고, 옷을 만들어서 꾸미는 데 많은 정성을 들인다. 카렌족 이외의 다른 종족들은 결혼적령기에 가장 화려하게 옷을 차려입는데, 특히 신년행사에는 가장 정성을 들여서 만든 새 옷과 장신구를 차려 입는다. 이것은 ‘화려하게 꾸민다'는 의미 외에도 ’설날에 헌옷을 입으면 가난해진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각 민족별로 혈통. 언어. 풍습 등이 다르지만, 버클. 목걸이. 귀걸이. 팔찌. 반지 등의 장신구를 선호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장신구는 몸을 아름답게 치장할 뿐만 아니라, 부와 지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능도 한다. 은이 오랫동안 화폐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은장신구를 특히 선호하였으며, 요즘에는 은 대신에 알루미늄. 니켈. 놋쇠. 구리 등도 이용한다.
민족마다 은장신구를 착용하는 형태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몽족과 야오족은 큰 덩어리 형태의 장신구가 많고, 리수족은 겹겹이 장신구를 포개는 형태, 라후족과 아카족은 옷에 부착한 형태가 많다.
구슬도 민족마다 선호하는 색이 다르다. 라후 니족과 라후 시족은 붉은색. 흰색, 라후 세 레족은 순백색을 좋아한다. 금속목걸이도 파니 아카족은 꼬인 형태, 몽족과 아카족은 넓고 얇은 형태를 선호한다. 조개껍질도 장신구 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카렌족은 타이족처럼 귀에 큰 구멍을 뚫어서 상아 귀걸이를 하는 풍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홍나영 외, 아시아 전통복식, 교문사, 2004.
황춘섭, 세계전통복식, 수학사, 2000.
아카족의 베틀은 특이하게 발을 사용하는데, 베틀은 직조하는 부분, 등. 발의 받침대 등으로 간단하게 구성된다. 하의는 중간부분에서 밑단까지 문양을 넣었는데, 근래에는 허리부터 문양을 넣기도 한다.
(2) 남자복식
남자는 재킷형 상의와 중국식 바지를 입으며 특별한 행사에는 검은색 터번을 쓰는데, 연장자들은 붉은색이나 분홍색 견직물로 만든 터번을 착용한다. 소년들은 소모 형태의 모자를 착용한다. 상의는 허리길이 정도이며, 뒷길에 화려한 장식을 한다. 파미 아카족의 상의는 엉덩이 길이 정도로 조금 더 길다.
(3) 여자복식
여자는 모자, 재킷형 상의, 무릎길이의 짧은 치마, 끝부분을 장식한 허리띠, 각반 등을 착용한다. 의복의 소재로는 남색. 흑청색 면직물을 많이 사용한다. 재킷은 허리길이 정도이며, 9부 소매가 달려 있다. 모두 직선재단을 하고, 뒷길에 화려한 장식을 한다. 치마는 앞길은 평평하게, 뒷길은 주름을 많이 넣어서 만든다. 허리띠는 동전. 구슬. 단추 등으로 장식을 하며, 재킷 안쪽에서 허리에 감고 남는 부분을 앞중심에서 늘어뜨리는데, 정조를 지킨다는 의미를 갖는다. 각반은 남색이며통형으로 직조한다.
우로 아카족의 뾰족한 모자는 대나무로 뼈대를 만든 다음, 인디고 염색을 한 천을 덧씌운 형태이다. 여기에 은동전, 구슬, 붉은색 깃털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며, 기혼자의 경우 장식의 정도는 남편의 지위와 부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였다. 로미 아카족의 모자는 평평하고, 뒷부분에 사다리꼴의 은장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부분은 은장식으로 구성하고, 아랫부분에는 붉은색. 흰색 구슬을 길게 달아준다. 행사용으로 착용하는 허리띠에는 조개껍질을 빽빽하게 달아준다. 파미 아카족의 모자는 투구와 같은 형태로, 전체적으로 은단추. 은동전. 은구슬을 사용하고 붉은색 구슬을 사방으로 길게 장식한다.
6. 리수족
(1) 일반적 특징
타이북부에 거주하는 리수족은 약 2만 명으로 100여 개의 마을을 이루고 있다. 리수족은 자신들이 대홍수 뒤에 살아남은 유일한 인류로 살윈 강의 상류에서 기원 하였다고 생각하며, 기원이 티벳이라는 설도 있다. 타이북부 이외에 중국 운남성 서부 산악지역, 미얀마의 카친주, 인도 북동부 지역 등에도 거주하고 있다.
타이의 리수족은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지도 오래되었고, 타이 이주 후에는 중국 운남성의 회족 등과도 결혼하면서 중국적인 성향이 증가하였다. 모든 것에는 신령이나 혼이 있다고 생각하며, 신령 중에서는 조상의 신령을 가장 높게 생각하기 때문에 집의 높은 곳 중앙에는 조상신을 모시는 제단을 설치한다.
(2) 남자복식
남자는 검은색의 재킷형 상의, 바지, 검은색 각반을 착용한다. 바지는 통이 넓으며, 젊은이들은 파란색. 녹색, 연장자는 검은색을 많이 입는다. 성장을 할 때는 검은색 벨벳으로 만들고, 목둘레에 자잘한 은장식을 부착한 상의를 입는다. 허리에는 붉은색 허리띠를 두르며, 축제용은 여자용처럼 다양한 색상의 술이 달려있다.
과거에는 새해행사에 붉은색. 파란색. 노란색. 검은색 등의 견직물로 만든 터번을 했는데, 지금은 거의 하지 않고 흰색 터키식 수건을 20cm 너비가 되도록 접어서 터번으로 사용한다. 왼쪽 귀에는 은귀걸이를 하고, 양팔에 은팔찌를 한다.
(3) 여자 복식
여자복식은 파란색. 녹색. 붉은색 등의 화려한 색상과 축제용으로 둥근판 형태의 검은색 터번을 착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터번은 3~4cm 너비가 되도록 천을 접은 다음에, 머리에 맞는 크기로 무릎에 대고 감는다. 단단하게 감은 다음에는 벨벳 등의 검은색 천으로 위를 감싸주고,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 등의 털실을 어깨에 닿을 정도로 길게 드리운다. 나이가 든 여자들은 장식하지 않은 검은색 터번만 착용한다.
여기에 무릎길이의 튜닉형 상의, 무릎길이의 검은색 바지, 붉은색 각반 등을 착용한다. 상의는 우임이고, 몸판은 청색. 녹색, 목둘레와 겨드랑이는 다양한 색상의 줄무늬, 소매는 붉은색 등으로 하며, 색줄을 가느다랗게 많이 넣는 것은 자랑거리이기도 하다. 검은색 허리띠는 6m 길이로 상의 위에 두르는데, 양끝에는 터번에 두른 것처럼 다양한 색상의 털실을 달아준다. 그리고 은화. 단추. 방울 등으로 장식된 조끼를 입고, 가슴을 덮는 넓은 깃 형태의 은목걸이. 은귀걸이. 은팔찌 등을 한다.
예전에는 ‘마’라는 나무열매를 씹어서 흑치를 만드는 습관이 있었다. ‘마’를 씹으면 치아도 튼튼해지고 건강도 유지한다고 믿었기 때문인데, 입술까지 까맣게 된다.
Ⅲ. 결
타이 북부 소수민족의 전통복식에서 보면 이들은 모두 화려한 직물과 자수. 금속장신구로 유명하다. 여자들은 직조를 하고, 옷을 만들어서 꾸미는 데 많은 정성을 들인다. 카렌족 이외의 다른 종족들은 결혼적령기에 가장 화려하게 옷을 차려입는데, 특히 신년행사에는 가장 정성을 들여서 만든 새 옷과 장신구를 차려 입는다. 이것은 ‘화려하게 꾸민다'는 의미 외에도 ’설날에 헌옷을 입으면 가난해진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각 민족별로 혈통. 언어. 풍습 등이 다르지만, 버클. 목걸이. 귀걸이. 팔찌. 반지 등의 장신구를 선호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장신구는 몸을 아름답게 치장할 뿐만 아니라, 부와 지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능도 한다. 은이 오랫동안 화폐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은장신구를 특히 선호하였으며, 요즘에는 은 대신에 알루미늄. 니켈. 놋쇠. 구리 등도 이용한다.
민족마다 은장신구를 착용하는 형태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몽족과 야오족은 큰 덩어리 형태의 장신구가 많고, 리수족은 겹겹이 장신구를 포개는 형태, 라후족과 아카족은 옷에 부착한 형태가 많다.
구슬도 민족마다 선호하는 색이 다르다. 라후 니족과 라후 시족은 붉은색. 흰색, 라후 세 레족은 순백색을 좋아한다. 금속목걸이도 파니 아카족은 꼬인 형태, 몽족과 아카족은 넓고 얇은 형태를 선호한다. 조개껍질도 장신구 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카렌족은 타이족처럼 귀에 큰 구멍을 뚫어서 상아 귀걸이를 하는 풍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홍나영 외, 아시아 전통복식, 교문사, 2004.
황춘섭, 세계전통복식, 수학사,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