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리말
Ⅱ.북송을 둘러싼 국제관계
1.遼와의 관계
2.서하와의 관계
3.고려와의 관계
4.金과의 관계
Ⅲ.남송의 대외관계
1.金과의 관계
2.몽골제국의 출현
Ⅳ.맺음말
Ⅱ.북송을 둘러싼 국제관계
1.遼와의 관계
2.서하와의 관계
3.고려와의 관계
4.金과의 관계
Ⅲ.남송의 대외관계
1.金과의 관계
2.몽골제국의 출현
Ⅳ.맺음말
본문내용
다. 양국은 서로 승패를 주고받았는데 금은 송뿐만 아니라 서하의 공격도 받고 있었다. 이에 송은 사신을 서하에 보내 금을 협공할 것을 제의하였고 금을 협공하게 된다. 금은 상황이 좋지 못하여 송에 화의를 신청했고 송에서도 금의 제의를 받아들여 싸움을 그만두었다. 서하도 몽골의 공격이 다시 시작되자 금과의 화해를 강구하였다. 그러나 칭기스칸이 다시 동아시아로의 공격에 나서, 1225년 칭기스칸은 서하를 공격하여 서하는 194년 만에 멸망했다.
칭기스칸의 뒤를 이은 오고타이 칸은 변경을 공격하기 위해 송에게 영토 통과를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다음 해 다시 송과 몽골이 금을 협공할 것을 제안했다. 조정에서는 이것을 기회로 금에 대한 복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성공할 경우 하남을 송에 돌려준다는 조건으로 연합을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금은 태조 아골타가 제호를 칭한 이래 10대 120년으로 멸망했다.
송은 몽골과 연합하여 금을 협공할 때 하남의 땅을 송에게 복귀시킨다는 것을 조건으로 하였으나 실제로 금이 멸망하자 몽골과의 합의를 기다리지 않고, 이 기회에 하남의 땅으로 진격하여 무력을 이용하여 일방적으로 점유하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이에 송군은 진격하여 변경으로 들어가고 낙양을 함락시켰다. 이것이 1234년 6월부터 7월에 걸친 일이었는데, 8월에는 몽골군의 침입을 받아 낙양과 변경을 연달아 빼앗겼다. 몽골은 맹약을 배반한 사실을 꾸짖고 송에 대해 군사를 일으켰다. 중앙 서남아시아를 석권하고 서하 금까지 멸망시킨 몽골 대군은 이제 질풍처럼 남송을 공격한 것이다. 그러나 오고타이의 사망이후 쿠빌라이가 즉위할 때까지 몽골의 국내 상황은 그다지 안정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그만큼 송에 대한 공격의 기세도 약해질 수밖에 없었다.
쿠빌라이가 즉위한 후 다시 남송에 대한 토벌이 이루어져 결국 남송은 고종 이래 150년 만에 멸망하게 되었다.
이로써 정강의 변으로 북송이 무너지고 난 뒤 이어졌던 남송마저도 몽골에 의해 멸망당함으로써 宋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Ⅳ.맺음말
지금까지 송대의 대외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송은 당말 오대의 군벌체제의 혼란 속에서 이를 평정하고 건국되었기 때문에 군벌을 억제하기 위해 문치주의 정책을 취했다. 그러나 문치주의 정책은 군사력의 약화를 가져와 거란족을 비롯한 북방민족에 대해 군사력의 열세를 보이게 되었다.
연운 16주를 회복하기 위해 요와 전쟁을 벌였으나 오히려 패하게 되고, 돈으로 평화를 사게된다. 이어 일어난 서하에 대해서도 이를 제압하지 못하고 돈으로서 회유하게 된다. 여진족이 흥기하여 금을 건국하자 송은 강력한 신생국에 대한 어떠한 대비책도 없이 이와 연합하여 전연의 맹 이후 평화를 유지하고 있던 요를 공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요가 멸망하였지만 오히려 외교상의 실책과 더불어 더 강력한 금의 공격을 받아 수도가 함락되고 왕이 포로가 되는 망국의 상황을 맞게 된다. 남송으로 옮긴 후 다시 금과 전쟁을 벌였지만 이기지 못하고 금에 대해 군신의 예를 갖추게 되었다. 몽골제국의 출현 후 남송은 이와 연합하여 금을 멸망시키고 복수를 할 계획을 세우지만 이것 또한 더 강력한 적을 끌어들이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문치주의에 의한 군사력의 약화와 외교정책의 실패로 북방민족의 국가에 대해 군신관계를 맺게 되고 나아가 망국으로 치닫게 되었다.
남송이 몽골에 멸망당함으로써 최초로 이민족에 의한 전중국의 지배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참고 문헌
중국역사연구실 편역, 『중국역사』하, 신서원, 1993
임대희 외 번역, 『송원사』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4
칭기스칸의 뒤를 이은 오고타이 칸은 변경을 공격하기 위해 송에게 영토 통과를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다음 해 다시 송과 몽골이 금을 협공할 것을 제안했다. 조정에서는 이것을 기회로 금에 대한 복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성공할 경우 하남을 송에 돌려준다는 조건으로 연합을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금은 태조 아골타가 제호를 칭한 이래 10대 120년으로 멸망했다.
송은 몽골과 연합하여 금을 협공할 때 하남의 땅을 송에게 복귀시킨다는 것을 조건으로 하였으나 실제로 금이 멸망하자 몽골과의 합의를 기다리지 않고, 이 기회에 하남의 땅으로 진격하여 무력을 이용하여 일방적으로 점유하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이에 송군은 진격하여 변경으로 들어가고 낙양을 함락시켰다. 이것이 1234년 6월부터 7월에 걸친 일이었는데, 8월에는 몽골군의 침입을 받아 낙양과 변경을 연달아 빼앗겼다. 몽골은 맹약을 배반한 사실을 꾸짖고 송에 대해 군사를 일으켰다. 중앙 서남아시아를 석권하고 서하 금까지 멸망시킨 몽골 대군은 이제 질풍처럼 남송을 공격한 것이다. 그러나 오고타이의 사망이후 쿠빌라이가 즉위할 때까지 몽골의 국내 상황은 그다지 안정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그만큼 송에 대한 공격의 기세도 약해질 수밖에 없었다.
쿠빌라이가 즉위한 후 다시 남송에 대한 토벌이 이루어져 결국 남송은 고종 이래 150년 만에 멸망하게 되었다.
이로써 정강의 변으로 북송이 무너지고 난 뒤 이어졌던 남송마저도 몽골에 의해 멸망당함으로써 宋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Ⅳ.맺음말
지금까지 송대의 대외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송은 당말 오대의 군벌체제의 혼란 속에서 이를 평정하고 건국되었기 때문에 군벌을 억제하기 위해 문치주의 정책을 취했다. 그러나 문치주의 정책은 군사력의 약화를 가져와 거란족을 비롯한 북방민족에 대해 군사력의 열세를 보이게 되었다.
연운 16주를 회복하기 위해 요와 전쟁을 벌였으나 오히려 패하게 되고, 돈으로 평화를 사게된다. 이어 일어난 서하에 대해서도 이를 제압하지 못하고 돈으로서 회유하게 된다. 여진족이 흥기하여 금을 건국하자 송은 강력한 신생국에 대한 어떠한 대비책도 없이 이와 연합하여 전연의 맹 이후 평화를 유지하고 있던 요를 공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요가 멸망하였지만 오히려 외교상의 실책과 더불어 더 강력한 금의 공격을 받아 수도가 함락되고 왕이 포로가 되는 망국의 상황을 맞게 된다. 남송으로 옮긴 후 다시 금과 전쟁을 벌였지만 이기지 못하고 금에 대해 군신의 예를 갖추게 되었다. 몽골제국의 출현 후 남송은 이와 연합하여 금을 멸망시키고 복수를 할 계획을 세우지만 이것 또한 더 강력한 적을 끌어들이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문치주의에 의한 군사력의 약화와 외교정책의 실패로 북방민족의 국가에 대해 군신관계를 맺게 되고 나아가 망국으로 치닫게 되었다.
남송이 몽골에 멸망당함으로써 최초로 이민족에 의한 전중국의 지배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참고 문헌
중국역사연구실 편역, 『중국역사』하, 신서원, 1993
임대희 외 번역, 『송원사』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4
추천자료
일본의 대 한반도 정책의 변화와 전망
중국의 외교정책과 외교
중국의 동북아정책과 우리의 대응
북한의 대외무역동향으로 본 북한산업현황에 관한 고찰
아이젠하워의 뉴룩(New Look)정책
1980년대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블레어의 정책과 이념, 그것을 실현해 나가는 방식과 현재 영국과 세계를 이끌어나가는 지도...
[경제통합][남북경제통합][대외경제전략]경제통합 정의, 필요성, 특성과 남북경제통합 및 대...
제1공화국의 외교정책
대외무역법 - 미국
[경쟁력, 대외경쟁력]경쟁력과 대외경쟁력, 세계경쟁력, 경쟁력과 국제경쟁력, 국가경쟁력, ...
[북한의 사회와 경제 B형] 북한의 대외관계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외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