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 중국의 섬유,봉제산업 현황 1~10p
2. 멕시코의 섬유,봉제 산업 현황 11~17p
3. 베트남의 섬유, 봉제 산업 현황 18~20p
4. 인도의 섬유,봉제 산업 현황 21~25p
5. 파키스탄의 섬유,봉제 산업현황 26~34p
6. 러시아의 섬유, 봉제 산업현황 35~39p
2. 멕시코의 섬유,봉제 산업 현황 11~17p
3. 베트남의 섬유, 봉제 산업 현황 18~20p
4. 인도의 섬유,봉제 산업 현황 21~25p
5. 파키스탄의 섬유,봉제 산업현황 26~34p
6. 러시아의 섬유, 봉제 산업현황 35~39p
본문내용
모두에 풍 부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러시아 주요 소매 체인 중 한 업체의 시장 분석에 따르면 러시아 인구의 약 60%가 할인매장에서 제품을 구입하고 약 6%가 슈퍼마켓과 신생 몰에서 물건을 구입한다. 인구의 상당부분이 아직도 싼 식료품과 저품질의 어패럴 제품 및 소비품을 파는 오픈 마켓(최근 이 들 중 일부는 지붕을 갖추고 있음)에서 쇼핑을 즐기고 있다. 동시에 러시아의 중산층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더불어 고품질의 수입제품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탈리아, 폴란드, 핀란드, 스페인, 프랑스는 러시아 수입 고품질 어패럴/섬유 제품 시장을 장악하는 주요 활동국이다.
이 시장은 러시아 시장에 진입하려는 어패럴 종사 업체들에게 많은 기회를 주고 있는 만큼 포화상태와는 거리가 멀며 특히 울섬유, 데님 및 고품 질의 합성섬유와 같은 제품은 러시아 시장에서 상당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러시아 경제를 이끄는 15대 산업 중 하나임. 2002년 경제지표 상 이 부문은 전체 산업 중 12위를 차지하였음.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80만 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으며(이중 80%가 여성) 16,000업체가 활동하고 있음(2,800 중소업체 포함). 이러한 통계들은 러시아 연방 경제개발무역국에서 발표한 것임.
○2000년, 1998년 금융위기로 인해 야기된 루블화 평가절하에 힘입어 러시아 섬유 어패럴 산업은 22%의 생산증가를 달성하였음. 수입품은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음. 2001년 국내 생산은 여전히 상승 중이었던 반면(5%성장) 수입산은 전년도에 비해 주춤하는 양상을 보였음. 2002년 수입품은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하였고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게 되었음. 2003년 수입품은 총 어패럴 및 섬유 제품 시장의 75%를 차지한 것으로 추정됨
○2001년 어패럴 및 섬유 산업 전반 규모는 140억 6,800만 달러(4,150억 루블)에 달하는 반면 생산은 총 30억 1,000만 달러(888억 루블)에 그침. 2002년 러시아인들은 어패럴 및 섬유 산업 제품을 구매하는 데 227억 6,400만 달러(약 7,000억 루블)을 소비하였음(전체 구매 물량의 20%차지).
○전반적인 러시아 경제와는 다르게 2002년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불황이었음. 2002년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국가 GDP의 1.5%를 차지(소비에트연방공화국시기 12%)하였으며 재정수입(budget revenue)의 1.2%를 차지함. 생산규모는 현격하게 줄어들었음. 국내 생산이 줄어든 반면 수입품들이 점차 시장을 장악해가는 상황임. 어패럴 및 섬유 수입품은 주로 러시아 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기업들이 저가의 러시아 노동력을 이용, 위탁 생산한 것임. 지난해 위탁 생산으로 만들어진 제품은 러시아 전체 어패럴 및 섬유 제품 수출의 80%를 차지하였으며 전체 어패럴/섬유제품 생산의 25%를 차지하였음.
○불행히도 현재 수입물품의 상당 부분에 대해 공식적인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많은 소규모 상점들이 라이센스 없이 어패럴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음. 국내로 들어오는 어패럴, 섬유, 신발제품의 상당한 물량이 세관 등록을 거치지 않은 것들임.
한국 봉제산업의 신개척지,
대러 극동 연해주의 투자현황
봉제업 투자진출 배경
ㅇ 러시아산 의류, 대미 쿼타 미적용
- 러시아산 의류는 미국 및 유럽지역으로부터 궈타 적용을 받지 않아 투자진출의 최대 이점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현지의 저렴한 인건비
- 한국 봉제산업의 해외투자진출 중점대상지역인 중국, 중남미, 싸이판 등지의 인건비 상승 및 제반 사업여건 악화로 연해주는 최적의 한국봉제산업 투자지로 각광
ㅇ 한국으로부터의 원부자재 조달의 용이성
- 한국의 부산항에서 나호트카의 보스토치니항까지는 해상운송으로 2-3일 정도면 화물이 도착하며, 주 5회의 한국 직항노선이 운행중에 있어 원부자재의 조달이 용이함.
ㅇ 미국 등 최종 소비시장에의 적기 납품 가능
- 거의 대부분의 투자진출업체는 생산제품을 미국에 전량 수출하고 있음.
대연해주 봉제업 투자현황
ㅇ 한국의 대연해주 봉제업 투자는 97년을 기점으로 본격 진출하여 현재 의류생산을 비롯하여 자수, 나염 등 연관산업을 포함, 총 22개 업체에 이름.
ㅇ 대연해주 봉제업의 총 투자금액은 10,732천불로 2000년도에만 11개 업체, 5,300천불의 신규투자가 이루어졌음.
ㅇ 분야별로는 의류가 7,532천불로 전체투자의 70.1%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자수가 2,000천불, 기타 나염, 모자, 의류 포장박스 순임.
[ 분야별 대연해주 봉제업 투자현황 ]
구 분
투자업체수
투자금액
의 류
15
7,532
자 수
4
2,000
나 염
1
500
의류 포장박스
1
200
모 자
1
500
총 계
22
10,732
(단위 : U$천)
[ 자료원 : 무역관 자체집계 ]
문제점 및 해결과제
ㅇ 봉제업 일부 지역집중 현상에 대한 대책마련 시급
- 현재 인구 11만의 아르춈시에 8개의 봉제업체가 밀집해 있어 한국봉제업체간 노동인력 유출을 둘러싼 과당경쟁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신규진출업체의 경우 신개척지를 발굴, 투자지역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ㅇ 현지의 열악한 인프라 및 관세 및 조세체계의 복잡
- 현지는 통신, 전기, 난방 등의 인프라 시설이 열악하며 외국인 투자기업에대한 세제상의 혜택이 전무하고 각종 세제가 복잡하여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인력조달 및 관리상의 애로
- 일부 투자진출업체의 경우, 인력조달이 원할하지 않아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으나, 현지정부의 자국 노동자 사용 권장, 잦은 비자갱신 및 인력교체 등 중국인 노동자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음.
- 러시아인 노동자의 경우도, 잦은 무단결근 및 근무태만 등 관리상의 애로가 있으며, 최근에는 일부 사업장에서 노동조합 결성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노조와의 새로운 관계설정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노동력 착취로 비추어지는 현지 언론과의 불화
- 현지 일부 언론은 한국기업의 과다한 노동시간 강요 등을 빌미로 비판적 기사가 실리고 있어 주재 공관을 비롯하여 진상해명 및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음.
이 시장은 러시아 시장에 진입하려는 어패럴 종사 업체들에게 많은 기회를 주고 있는 만큼 포화상태와는 거리가 멀며 특히 울섬유, 데님 및 고품 질의 합성섬유와 같은 제품은 러시아 시장에서 상당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러시아 경제를 이끄는 15대 산업 중 하나임. 2002년 경제지표 상 이 부문은 전체 산업 중 12위를 차지하였음.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80만 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으며(이중 80%가 여성) 16,000업체가 활동하고 있음(2,800 중소업체 포함). 이러한 통계들은 러시아 연방 경제개발무역국에서 발표한 것임.
○2000년, 1998년 금융위기로 인해 야기된 루블화 평가절하에 힘입어 러시아 섬유 어패럴 산업은 22%의 생산증가를 달성하였음. 수입품은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음. 2001년 국내 생산은 여전히 상승 중이었던 반면(5%성장) 수입산은 전년도에 비해 주춤하는 양상을 보였음. 2002년 수입품은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하였고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게 되었음. 2003년 수입품은 총 어패럴 및 섬유 제품 시장의 75%를 차지한 것으로 추정됨
○2001년 어패럴 및 섬유 산업 전반 규모는 140억 6,800만 달러(4,150억 루블)에 달하는 반면 생산은 총 30억 1,000만 달러(888억 루블)에 그침. 2002년 러시아인들은 어패럴 및 섬유 산업 제품을 구매하는 데 227억 6,400만 달러(약 7,000억 루블)을 소비하였음(전체 구매 물량의 20%차지).
○전반적인 러시아 경제와는 다르게 2002년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불황이었음. 2002년 섬유 및 어패럴 산업은 국가 GDP의 1.5%를 차지(소비에트연방공화국시기 12%)하였으며 재정수입(budget revenue)의 1.2%를 차지함. 생산규모는 현격하게 줄어들었음. 국내 생산이 줄어든 반면 수입품들이 점차 시장을 장악해가는 상황임. 어패럴 및 섬유 수입품은 주로 러시아 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기업들이 저가의 러시아 노동력을 이용, 위탁 생산한 것임. 지난해 위탁 생산으로 만들어진 제품은 러시아 전체 어패럴 및 섬유 제품 수출의 80%를 차지하였으며 전체 어패럴/섬유제품 생산의 25%를 차지하였음.
○불행히도 현재 수입물품의 상당 부분에 대해 공식적인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많은 소규모 상점들이 라이센스 없이 어패럴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음. 국내로 들어오는 어패럴, 섬유, 신발제품의 상당한 물량이 세관 등록을 거치지 않은 것들임.
한국 봉제산업의 신개척지,
대러 극동 연해주의 투자현황
봉제업 투자진출 배경
ㅇ 러시아산 의류, 대미 쿼타 미적용
- 러시아산 의류는 미국 및 유럽지역으로부터 궈타 적용을 받지 않아 투자진출의 최대 이점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현지의 저렴한 인건비
- 한국 봉제산업의 해외투자진출 중점대상지역인 중국, 중남미, 싸이판 등지의 인건비 상승 및 제반 사업여건 악화로 연해주는 최적의 한국봉제산업 투자지로 각광
ㅇ 한국으로부터의 원부자재 조달의 용이성
- 한국의 부산항에서 나호트카의 보스토치니항까지는 해상운송으로 2-3일 정도면 화물이 도착하며, 주 5회의 한국 직항노선이 운행중에 있어 원부자재의 조달이 용이함.
ㅇ 미국 등 최종 소비시장에의 적기 납품 가능
- 거의 대부분의 투자진출업체는 생산제품을 미국에 전량 수출하고 있음.
대연해주 봉제업 투자현황
ㅇ 한국의 대연해주 봉제업 투자는 97년을 기점으로 본격 진출하여 현재 의류생산을 비롯하여 자수, 나염 등 연관산업을 포함, 총 22개 업체에 이름.
ㅇ 대연해주 봉제업의 총 투자금액은 10,732천불로 2000년도에만 11개 업체, 5,300천불의 신규투자가 이루어졌음.
ㅇ 분야별로는 의류가 7,532천불로 전체투자의 70.1%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자수가 2,000천불, 기타 나염, 모자, 의류 포장박스 순임.
[ 분야별 대연해주 봉제업 투자현황 ]
구 분
투자업체수
투자금액
의 류
15
7,532
자 수
4
2,000
나 염
1
500
의류 포장박스
1
200
모 자
1
500
총 계
22
10,732
(단위 : U$천)
[ 자료원 : 무역관 자체집계 ]
문제점 및 해결과제
ㅇ 봉제업 일부 지역집중 현상에 대한 대책마련 시급
- 현재 인구 11만의 아르춈시에 8개의 봉제업체가 밀집해 있어 한국봉제업체간 노동인력 유출을 둘러싼 과당경쟁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신규진출업체의 경우 신개척지를 발굴, 투자지역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ㅇ 현지의 열악한 인프라 및 관세 및 조세체계의 복잡
- 현지는 통신, 전기, 난방 등의 인프라 시설이 열악하며 외국인 투자기업에대한 세제상의 혜택이 전무하고 각종 세제가 복잡하여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인력조달 및 관리상의 애로
- 일부 투자진출업체의 경우, 인력조달이 원할하지 않아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으나, 현지정부의 자국 노동자 사용 권장, 잦은 비자갱신 및 인력교체 등 중국인 노동자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음.
- 러시아인 노동자의 경우도, 잦은 무단결근 및 근무태만 등 관리상의 애로가 있으며, 최근에는 일부 사업장에서 노동조합 결성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노조와의 새로운 관계설정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노동력 착취로 비추어지는 현지 언론과의 불화
- 현지 일부 언론은 한국기업의 과다한 노동시간 강요 등을 빌미로 비판적 기사가 실리고 있어 주재 공관을 비롯하여 진상해명 및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음.
추천자료
산업자원부(지식경제부) 업무추진, 산업자원부(지식경제부) 예산, 산업자원부(지식경제부) 국...
항공우주산업 배경, 항공우주산업 분야와 특징, 항공우주산업 현황, 항공우주산업과 우주왕복...
미디어산업의 추세 통계, 미디어산업의 규모 통계, 미디어산업의 TV방송산업 통계, 미디어산...
건설산업(건설업)의 특성, 건설산업(건설업)의 현황, 건설산업(건설업)의 다기능인력활용, 건...
산업별 성장, 산업별 생산지수변동과 스펙트럼분석, 산업별 생산변동 총체적 충격과 부문충격...
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정의,역사, 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주요활...
음반산업(음악사업) 개념, 음반산업(음악사업) 특징, 음반산업(음악사업) 동향, 음반산업(음...
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 정의와 중요성, 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 운영원리, 산업별노동조...
건설산업(건설업)의 종류, 건설산업(건설업)의 등록기준, 건설산업(건설업) 위험성, 건설산업...
산업별노동조합건설(산별노조건설)의 필요성, 산업별노동조합건설(산별노조건설)의 원칙과 방...
IT산업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 -SI산업중심으로 (IT산업,IT산업사례,IT산업정의및분류).PPT자료
산업입지(산업입지정책)의 개념, 산업입지(산업입지정책)의 유형, 산업입지(산업입지정책)의 ...
금융산업(금융업)의 다원화, 금융산업(금융업)의 대형화, 금융산업(금융업)의 고도화, 금융산...
관광산업(관광업)의 특징, 관광산업(관광업)의 중요성, 관광산업(관광업)의 성장요인, 관광산...
소개글